KR101759839B1 -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839B1
KR101759839B1 KR1020160066884A KR20160066884A KR101759839B1 KR 101759839 B1 KR101759839 B1 KR 101759839B1 KR 1020160066884 A KR1020160066884 A KR 1020160066884A KR 20160066884 A KR20160066884 A KR 20160066884A KR 101759839 B1 KR101759839 B1 KR 10175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tongue
motion
move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근
김영
민세동
손은철
이수환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어서 사용자의 입이 정확하게 다물어진 상태에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이 실시될 수 있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동장에 의해 입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착용부재(100)의 안쪽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려서 혀운동하는 혀운동부재(200)와,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되어 혀운동부재(200)의 운동상태를 감지하는 운동측정부재(300)와,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재(400)와,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는 혀운동 및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각도를 제공받고, 제공되는 혀운동 및 각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DEGLUTITION REHABILITATION EXERCISING SYSTEM}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어서 사용자의 입이 정확하게 다물어진 상태에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이 실시될 수 있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킴 장애(Dysphagia)는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말한다. 최근에는 그 의미를 확장하여 삼키는 것에 관련된 모든 행위와 감각, 그리고 삼킴 준비를 위한 예비 행동까지 포함한다.
삼킴 장애는 신생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선천적인 기형이나 구조적인 손상 혹은 의학적인 상태의 결과로 초래될 수 있다. (Lazarus & Logemann, 1987; Logemann, 1989; Veis & Logemann,1985). 더욱이 기능적으로는 삼킴 장애로 인해 먹는 즐거움 또는 영양과 수분의 유지가 방해된다(Buchhloz,1996). 입으로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섭취한다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수단일 뿐만 아니라 보다 질적인 삶을 영위하는데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삼킴 장애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단순한 치아의 이상이나 보형물에 의한 가벼운 원인이 있고 뇌졸중(Stroke) 등 기타 신경성 질환에 의한 신경 마비로 인한 입, 인두 및 식도 근육의 마비, 인두나 식도가 좁아진 협착(Constricta), 주변 기관의 기형에 따른 식도 압박(Lusoria), 식도의 연축(Spasm)으로 인한 경련(Spastica), 음식을 입으로 식도로 이동시키는 추진 장애(Oropharyngeal)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침을 흘리거나 음식물이 식도에서 멈춘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음식 이동의 추진(Propulsion)이 어려운 구인두성 연하장애(Oropharyngeal)가 가장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삼킴 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이용한 보상 훈련 치료, 열-촉각 자극 치료, 생체 되먹임, 전기 자극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바와 같은 비수술적 방법은 환자의 흥미 유발이 어렵고 이로 인해 재활의 능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고, 정확한 재활 운동을 위해서는 혀 운동의 정량적인 평가와 제 3자의 지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302193호(2013.08.26.)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어서 사용자의 입이 정확하게 다물어진 상태에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이 실시될 수 있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동장에 의해 입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착용부재(100)의 안쪽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려서 혀운동하는 혀운동부재(200)와,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되어 혀운동부재(200)의 운동상태를 감지하는 운동측정부재(300)와,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재(400)와,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는 혀운동 및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각도를 제공받고, 제공되는 혀운동 및 각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앞니와 어금니가 수용되도록 'U'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몸체(11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상부에 형성되어 윗니가 수용되는 윗니수용부(12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하부에 형성되어 아랫니가 수용되는 아랫니수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혀운동부재(200)는 연질이나 경질이고, 혀의 테두리가 걸리면서 혀의 중앙부분이 노출되도록 판재형태이면서 끝단에 'U'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운동측정부재(300)는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혀운동을 센싱하고 센싱되는 센싱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센서(310)와, 센서(310)에서 센싱되어 변환되는 디지털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운동송신부(320)와, 센서(310)를 커버하는 상태로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는 커버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센서(310)는 연질의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운동부재(200)가 휘어짐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되거나, 경질의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도측정부재(400)는 착용부재(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판(410)과, 고정판(410)에 고정되어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각도센서부(420)와, 각도센서부(420)에서 데이터화된 각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각도송신부(430)와, 각도센서부(420) 및 각도송신부(430)를 고정판(410)에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판단부재(500)는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혀운동을 인식하는 혀운동인식부(510)와,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각도를 인식하는 각도인식부(520)와, 혀운동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혀운동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운동을 설정하는 기준운동설정부(530)와, 각도인식부(520)에서 인식되는 각도와 비교되기 위한 기준각도를 설정하는 기준각도설정부(540)와, 혀운동을 기준운동에 비교하여,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혀운동판단부(550)와, 각도를 기준각도에 비교하여, 각도가 기준각도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각도가 기준각도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각도판단부(560)와, 혀운동판단부(55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를 출력하는 혀운동신호출력부(570)와, 각도판단부(56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각도신호를 출력하는 각도신호출력부(5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혀운동신호 및 각도신호는 각기 다른 소리로 구성되거나, 각기 다른 색을 갖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준운동설정부(530)는 혀운동인식부(510)가 최초에 인식하는 혀운동을 기준운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준각도설정부(540)는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와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가 각도인식부(520)를 통해 인식되면,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를 기준각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어서 사용자의 입이 정확하게 다물어진 상태에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이 실시될 수 있어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혀를 들어 올리는 재활훈련 및 고개를 숙이는 재활훈련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서, 음식물 삼킴에 관련되는 근육이 강화되어 삼킴 장애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 및 스마트폰을 휴대할 수 있어서, 삼킴 장애에 대한 재활훈련을 병원과 같은 훈련기관에 내원하지 않으면서 혼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착용부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판단부재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혀운동부재가 운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측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은, 착용부재(100)와, 혀운동부재(200)와, 운동측정부재(300)와, 각도측정부재(400)와, 판단부재(500)를 포함한다.
착용부재(100)는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동장에 의해 입에 착용되는 것으로, 마우스피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앞니와 어금니가 수용되도록 'U'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몸체(11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상부에 형성되어 윗니가 수용되는 윗니수용부(12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하부에 형성되어 아랫니가 수용되는 아랫니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치아가 파고들면서 물리고, 사용자의 잇몸에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재(100)를 물어서 고정함에 따라 착용부재(100)가 입에 착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혀운동부재(200)는 착용몸체(110)의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려서 혀운동하기 위한 것으로, 혀의 테두리가 걸리면서 혀의 중앙부분이 노출되도록 판재형태이면서 끝단에 'U'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혀의 끝부분과 혀의 둘레가 혀운동부재(200)에 지지되면서 혀의 중앙부분은 입천정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혀의 둘레를 혀운동부재(200)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혀를 들어 올리면 혀의 중앙부분이 입천정에 접촉되므로, 삼킴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혀운동부재(200)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같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리는 운동 중에 혀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고,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 휘어진 후에 들어 올리는 힘이 해제되면 원상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들어 올리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혀의 근육과 함께 음식을 삼키는데 도움이 되는 근육들이 함께 자극되면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혀운동부재(200)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어서, 혀에 의해 들어 올려 지지는 않지만 혀운동에 사용될 수 있다.
운동측정부재(300)는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되어 혀운동부재(200)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혀운동을 센싱하고 센싱되는 센싱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센서(310)와, 센서(310)에서 센싱되어 변환되는 디지털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운동송신부(320)와, 센서(310)를 커버하는 상태로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는 커버부(330)를 포함한다.
센서(310)는 혀운동부재(200)에 내장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가속도센서나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센서는 경질의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단한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센서는 플랙시블한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부드러운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에 의해 연질의 혀운동부재(200)가 휘어짐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운동송신부(320)는 디지털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송신부(320)는 센서(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부재(10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330)는 센서(310)를 커버하는 상태로 착용부재(100)에 열융착으로 고정되는 연질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330)에 의해 커버되는 센서(310)는 사용자의 혀나 입안의 침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침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혀로 혀운동부재(200)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센서(310)가 측정하면 센서(310)에서 측정된 센싱값이 운동송신부(32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각도측정부재(400)는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는 각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각도측정부재(400)는 접착테이프나 밴드에 의해 사용자의 이마나 턱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도측정부재(400)는 착용부재(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판(410)과, 고정판(410)에 고정되어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각도센서부(420)와, 각도센서부(420)에서 데이터화된 각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각도송신부(430)와, 각도센서부(420) 및 각도송신부(430)를 고정판(410)에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440)를 포함한다.
고정판(410)은 장방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착용부재(100)에 사출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도센서부(420)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관성센서(inertial sensor), 가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센서부(420)는 내장되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각도송신부(430)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각도고정부(440)는 포켓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판(41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고정부(440)는 착용부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탄성이 있어서, 강제로 삽입되는 각도센서부(420) 및 각도송신부(4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재(100)를 입에 물면 고정판(410)의 끝단이 사용자의 입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각도고정부(440)가 사용자의 입술에서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는다. 즉, 각도센서부(420) 및 각도송신부(430)가 사용자의 입에 의해 오염됨이 방지된다.
착용부재(100)를 입에 물고 고개를 숙이면 각도센서부(420)가 이를 감지하면 각도송신부(430)를 통해 감지된 각도가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판단부재(500)는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는 혀운동 및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각도를 제공받고, 제공되는 혀운동 및 각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PC나 스마트폰에 다운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판단부재(500)는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혀운동을 인식하는 혀운동인식부(510)와,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각도를 인식하는 각도인식부(520)와, 혀운동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혀운동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운동을 설정하는 기준운동설정부(530)와, 각도인식부(520)에서 인식되는 각도와 비교되기 위한 기준각도를 설정하는 기준각도설정부(540)와, 혀운동을 기준운동에 비교하여,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혀운동판단부(550)와, 각도를 기준각도에 비교하여, 각도가 기준각도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각도가 기준각도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각도판단부(560)와, 혀운동판단부(55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를 출력하는 혀운동신호출력부(570)와, 각도판단부(56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와 다른 각도신호를 출력하는 각도신호출력부(5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혀운동신호 및 각도신호는 각기 다른 소리로 구성되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각기 다른 색을 갖는 모양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운동신호는 짧으면서 높은 신호음일 수 있고, 각도신호는 상대적으로 길면서 낮은 신호음일 수 있다.
기준운동설정부(530)는 혀운동인식부(510)가 최초에 인식하는 혀운동을 기준운동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재(100)를 입에 물고 운동측정부재(300)를 들어 올리면,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는 혀운동이 판단부재(500)로 제공되는데, 최초에 제공되었던 혀운동이 기준운동설정부(530)에 의해 기준운동으로 설정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혀운동하는 혀운동이 기준운동으로 설정되므로,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기준운동이 설정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무리하지 않으면서 자신에 적합한 힘으로 혀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혀로 혀운동부재(200)를 들어 올리면 운동측정부재(300)가 혀운동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혀운동이 혀운동판단부(55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출력부(570)에 의해 혀운동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혀운동부재(200)를 반복적으로 들어 올릴 때마다 혀운동신호가 출력되므로 자신이 혀운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혀로 혀운동부재(200)를 들어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혀운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혀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준각도설정부(540)는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와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가 각도인식부(520)를 통해 인식되면,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를 기준각도로 설정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는 상태의 각도가 대략 0도이고, 고개를 숙이는 상태의 각도가 대략 30~80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재(100)를 입에 물고 고개를 숙이지 않는 상태 및 고개를 숙이는 상태의 각도가 각도측정부재(400)를 통해 각각 측정된다. 측정된 각도들은 판단부재(500)로 제공되므로,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를 기준각도설정부(540)를 통해 기준각도로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를 숙이면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각도가 각도판단부(56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출력부(570)에 의해 각도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고개를 숙이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마다 혀운동신호가 출력되므로 자신이 고개운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고개를 숙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도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고개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혀를 들어 올리는 운동과 고개를 숙이는 운동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하여 혀근육과 함께 삼킴 기능에 관여하는 근육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삼킴 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착용부재
110 : 착용몸체
120 : 윗니수용부
130 : 아랫니수용부
200 : 혀운동부재
300 : 운동측정부재
310 : 센서
320 : 운동송신부
330 : 커버부
400 : 각도측정부재
410 : 고정판
420 : 각도센서부
430 : 각도송신부
440 : 각도고정부
500 : 판단부재
510 : 혀운동인식부
520 : 각도인식부
530 : 기준운동설정부
540 : 기준각도설정부
550 : 혀운동판단부
560 : 각도판단부
570 : 혀운동신호출력부
580 : 각도신호출력부

Claims (9)

  1.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동장에 의해 입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착용부재(100)의 안쪽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혀로 들어 올려서 혀운동하는 혀운동부재(200)와,
    혀운동부재(200)에 구비되어 혀운동부재(200)의 운동상태를 감지하는 운동측정부재(300)와,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재(400)와,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는 혀운동 및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각도를 제공받고, 제공되는 혀운동 및 각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재(500)를 포함하고,
    각도측정부재(400)는
    착용부재(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판(410)과,
    고정판(410)에 고정되어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각도센서부(420)와,
    각도센서부(420)에서 데이터화된 각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각도송신부(430)와,
    각도센서부(420) 및 각도송신부(430)를 고정판(410)에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앞니와 어금니가 수용되도록 'U'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몸체(11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상부에 형성되어 윗니가 수용되는 윗니수용부(120)와,
    착용몸체(110)를 따라 하부에 형성되어 아랫니가 수용되는 아랫니수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혀운동부재(200)는 연질이나 경질이고, 혀의 테두리가 걸리면서 혀의 중앙부분이 노출되도록 판재형태이면서 끝단에 'U'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운동측정부재(300)는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혀운동을 센싱하고 센싱되는 센싱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센서(310)와,
    센서(310)에서 센싱되어 변환되는 디지털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운동송신부(320)와,
    센서(310)를 커버하는 상태로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되는 커버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센서(310)는 연질의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운동부재(200)가 휘어짐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되거나, 경질의 혀운동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단부재(500)는
    운동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혀운동을 인식하는 혀운동인식부(510)와,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어서 송신되는 각도를 인식하는 각도인식부(520)와,
    혀운동인식부(510)에서 인식되는 혀운동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운동을 설정하는 기준운동설정부(530)와,
    각도인식부(520)에서 인식되는 각도와 비교되기 위한 기준각도를 설정하는 기준각도설정부(540)와,
    혀운동을 기준운동에 비교하여,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혀운동이 기준운동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혀운동판단부(550)와,
    각도를 기준각도에 비교하여, 각도가 기준각도에 일치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각도가 기준각도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각도판단부(560)와,
    혀운동판단부(55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혀운동신호를 출력하는 혀운동신호출력부(570)와,
    각도판단부(560)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면 각도신호를 출력하는 각도신호출력부(5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혀운동신호 및 각도신호는 각기 다른 소리로 구성되거나, 각기 다른 색을 갖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기준운동설정부(530)는 혀운동인식부(510)가 최초에 인식하는 혀운동을 기준운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기준각도설정부(540)는 각도측정부재(400)에서 측정되는 고개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와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가 각도인식부(520)를 통해 인식되면,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도를 기준각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KR1020160066884A 2016-05-31 2016-05-31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75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884A KR101759839B1 (ko) 2016-05-31 2016-05-31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884A KR101759839B1 (ko) 2016-05-31 2016-05-31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839B1 true KR101759839B1 (ko) 2017-07-19

Family

ID=5942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884A KR101759839B1 (ko) 2016-05-31 2016-05-31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8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6B1 (ko) * 2018-04-20 2019-06-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혀운동 기구
KR102035930B1 (ko) * 2018-04-20 2019-10-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을 이용한 혀운동기기
RU197955U1 (ru) * 2019-09-16 2020-06-08 Юрий Леонидович Васильев Тренажер для мышц лица и ше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083B2 (ja) * 2005-04-14 2010-12-01 高志 秋廣 口輪筋及び舌筋鍛練器具
KR200472562Y1 (ko) *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083B2 (ja) * 2005-04-14 2010-12-01 高志 秋廣 口輪筋及び舌筋鍛練器具
KR200472562Y1 (ko) *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6B1 (ko) * 2018-04-20 2019-06-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혀운동 기구
KR102035930B1 (ko) * 2018-04-20 2019-10-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을 이용한 혀운동기기
RU197955U1 (ru) * 2019-09-16 2020-06-08 Юрий Леонидович Васильев Тренажер для мышц лица и ше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088B1 (ko)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KR20200053548A (ko) 구강 훈련 기구
US11364035B2 (en) Swallow exerciser
KR101759839B1 (ko)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US9895575B2 (en) Device for training of face, lip and throat muscles
WO2019047291A1 (zh) 用于监控口面肌训练的装置及方法
JP5924724B2 (ja) 顎口腔運動状態の推定方法及び顎口腔運動状態の推定装置
US202002297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oral function
CN113679942A (zh) 一种阵列式舌压检测与舌肌电刺激吞咽康复设备
CN210495080U (zh) 踝泵运动训练器
KR100870912B1 (ko)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
CA3113204A1 (en) Tongue strengthen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KR102350847B1 (ko) 연하근육 운동장치
JP6682358B2 (ja) 口輪筋トレーニング器具
CN109907934A (zh) 舌训练器
KR20190052776A (ko) 미소 근교정기
Franzke et al. TOFI: Designing Intraoral Computer Interfaces for Gamified Myofunctional Therapy
JP6933783B1 (ja) 口腔内迷走神経刺激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TWM607958U (zh) 口部訓練裝置
Valentim et al.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instruments to measure orofacial structures
TWM592742U (zh) 口腔訓練復健器
KR20200040579A (ko) 센서가 내장되는 씹기운동수단
ITPZ20130006U1 (it) Bite equalizzatore dell'occlusione dentale
WO2017030514A2 (en) A swallowing exercise apparatus
UA53518U (uk) Пристрій для усунення міофункціональних порушен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