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847B1 - 연하근육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연하근육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847B1
KR102350847B1 KR1020200040750A KR20200040750A KR102350847B1 KR 102350847 B1 KR102350847 B1 KR 102350847B1 KR 1020200040750 A KR1020200040750 A KR 1020200040750A KR 20200040750 A KR20200040750 A KR 20200040750A KR 102350847 B1 KR102350847 B1 KR 10235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ube
shrink tube
swallow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529A (ko
Inventor
이경희
최윤영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와 구개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를 뺨과 구강근육, 혀 근육의 수축, 즉 등척운동을 통해 압박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이 혼자서도 위생적으로 연하근육 강화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연하근육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혀의 상부에 안착되고 혀의 등척운동에 따라 혀와 구개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수축튜브와, 상기 수축튜브의 전방측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상에 형성되고 혀의 상부에 상기 수축튜브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입술 또는 치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축튜브의 구강 내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는 위치확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하근육 운동장치{Apparatus for strengthening swallowing muscles}
본 발명은 혀와 구개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를 뺨과 구강근육, 혀 근육의 수축을 통해 압박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이 혼자서도 위생적으로 연하근육 강화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연하근육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 그리고 위생적 환경조성 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사람의 평균수명이 증대됨에 따라 현대사회는 노인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로 변모되었고,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들도 많이 행해지고 있다.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는 치매와 폐렴을 들 수 있다. 고령은 치매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65-69세까지의 치매 유병률은 1.3%이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5년마다 2배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85세 이상에서 치매 유병률은 30.5%로 나타난다. 특히 구강건강은 치매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저작 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뇌 혈류가 증가하면 이를 통해 인지기능이 향상될 있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노인의 경우에는 흡인성 폐렴에 많이 노출되는데, 이는 구강근육의 약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구강건강 관리와 근강근력 강화를 통하여 치매와 오연성 폐렴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최근 연구에 따르면 60세이상 노인의 약 40%가 음식물을 입에 넣어 삼키는 과정인 연하장애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연하는 구강 내의 음식물을 위장관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을 뜻하며, 연하장애(dysphagia)는 연하작용 경로, 즉, 구강에서 위까지 전달되는 경로인 구강기, 인두기 및 식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손상으로 인해서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하장애는 일명 삼킴장애로도 지칭된다.
이러한 연하장애는 전신근육 약화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의 연구결과는 전신 근육 약화가 머리와 목 근육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혀근육의 약화는 연하장애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연하장애와 관련해서 알려져 있는 전신질환은 흡인성 폐렴이 대표적이다. 흡인성 폐렴은 음식물 또는 구토한 토물이 기관 내에 들어가 생기는 폐렴으로, 전신마취의 각성시, 뇌졸중 등에 의한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 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들의 연하장애는 일반적으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파킨슨씨 병, 척수 손상, 운동신경원 질병, 다발성 경화증, 근육이영양증, 중증 근무력증 및 헌팅턴씨 병 등의 신경학적 질환 환자들, 그리고, 치매, 급성 염증성 질환, 외상, 이소성 갑상선, 혈관 기형 및 식도암 등의 비신경학적인 질환 환자들에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구강 내의 음식물들이 위장관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연하 경로 이외의 다른 경로, 예를 들어, 기도나 비강으로 전달됨에 따라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연하장애 환자의 경우, 코를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거나 위장의 구멍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기도 한다.
연하장애는 그 치료가 조기에 시행될수록 흡인성 폐렴과 영양장애 및 탈수 등 각종 합병증이 예방될 수 있어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FSS, video fluoro swallowing study)를 통한 조기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바륨이 포함된 음식물을 환자가 직접 삼키는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해 종래에는 연하장애 환자에게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여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거나 특정 장비를 통해 목 부근의 근육들을 자극하여 연하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하장애 개선 방법들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치료사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하므로,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비용 측면에서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혀근육을 강화시켜 연하장애의 예방과 치료를 유도하는 혀체조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혀체조 중 하나인 Tongue-hold swallow(THS)는 연하 동작에서 혀 기저부와 인두 후방 벽의 접촉이 음식물을 식도로 이동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에 기초하여 후방 인두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혀를 치아 사이로 내민 상태에서 연하 동작을 시행하는 운동이다.
통상적으로 혀를 내밀면 평소보다 연하하기가 어려워지는데, 이는 인두 후방 벽이 더 전방으로 이동해야만 혀 기저부와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ongue-hold swallow(THS) 동작은 후방 인두 근육에 저항을 가해 근육을 강화함에 따라 설골상근(suprahyoid muscles), 이설근(genioglossus), 위인두수축근(sup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s) 등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또한 혀체조는 혀와 경구개 사이에 공기가 주입된 센서를 위치시키고 압박을 가하게 지시하는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는 변화된 압력을 측정하고,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표시등의 색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변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30회 반복하되, 1주일에 3일, 하루 3회 실시한 결과, 모든 대상자에서 혀로 경구개를 세게 밀때 생기는 등척압(isometric pressure)과 연하압(swallowing pressures)이 유의하게 증가한 사례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라는 기구는 구강 운동을 목적으로 제작된 것은 아니며, 원래 구강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반복적인 구강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 기구는 구강 내에 주입한 수축튜브(센서포함 1개 18,000원 상당)와 외부 장비(약 500백만원 상당)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변화 상태를 볼 수 있고, 변화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를 통해서만 확인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기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운동을 목적으로 제작되지 않고 측정 목적이기 때문에 수축튜브 내 압력센서의 원할 한 작동을 작게 만들어져 있어서 노인들이 IOPI를 삽입한 채 반복적인 등척운동이 쉽게 진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우 부드럽기 때문에 전문가의 배석없이 스스로 운동을 하는 경우 수축튜브가 기도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어 위험에도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연하장애화자의 신체부위나 구강 내에 설치되어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거나 연하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보조기구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2562호(2014.05.07. 공고)에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밀착부를 환자의 가슴에 밀착하고, 상기 운동부의 상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상기 운동부의 상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11067호(2019.02.01. 공개)에는 두정엽부터 턱하방까지 환자 두상에 수직방향으로 감싸지도록 착용되되 착용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밴드본체와, 환자의 설골 상부 근육부위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본체의 내면 후방에 부착 구비되는 가압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는 띠 형상으로 제조되되 그 양단에 서로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들이 상호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 밴드본체에 의해 환자 두상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나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의 경우에는 가슴이나 머리와 같은 신체부위의 착용이 요구됨에 따라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2562호(2014.05.07.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11067호(2019.02.0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혀와 구개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를 뺨과 구강근육, 혀 근육의 수축, 즉 등척운동을 통해 압박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이 혼자서도 위생적으로 연하근육 강화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연하근육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혀의 상부에 안착되고 혀의 등척운동에 따라 혀와 구개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수축튜브와, 상기 수축튜브의 전방측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상에 형성되고 혀의 상부에 상기 수축튜브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입술 또는 치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축튜브의 구강 내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는 위치확인부와, 상기 연결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부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수축튜브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측정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연하근육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부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수축튜브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측정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관부와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혀의 등척운동 시에 상기 수축튜브가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방지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축튜브의 상부면에는 엠보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축튜브의 좌우측, 전후측 및 둘레 중 적어도 하나에는 혀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연결관부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은 플렉시블 관형튜브에 의해 상기 연결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에는 디스플레이패널형, 회전바늘형 및 수직게이지형 중 하나의 압력표시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에 의하면, 혀와 구개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를 뺨과 구강근육, 혀 근육의 수축, 즉 등척운동을 통해 압박하고 압력측정표시수단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이 혼자서도 위생적으로 연하근육 강화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에 의하면, 연결관부 상에 복수개의 위치확인부가 이격형성되어 위치확인부의 위치조정을 통해 구강 내의 수축튜브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혀의 등척운동 시에 사용되는 연하근육부위가 달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전체 연하근육을 편중됨없이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부에 흡입방지판이 구비됨에 따라 혀의 등척운동 시에 노인들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수축튜브가 갑자기 기도로 넘어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개략구조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혀의 상부에 안착되고 혀의 등척운동에 따라 혀와 구개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수축튜브와, 상기 수축튜브의 전방측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상에 형성되고 혀의 상부에 상기 수축튜브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입술 또는 치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축튜브의 구강 내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는 위치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각 구성부재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는 혀와 구개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10)를 뺨과 구강근육, 혀 근육의 수축, 즉 등척운동을 통해 압박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혀(3)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축튜브(10)와, 수축튜브(10)의 전방측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연결관부(20) 상에 형성되는 위치확인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축튜브(10)는 사용자의 구강 내로 투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구강 내 삽입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혀(3)의 상부에 안착되고 혀(3)의 등척운동에 따라 혀(3)와 구개(5)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축튜브(10)는 전체적으로 의료용 실리콘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며, 내부에는 압력발생을 위한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수축튜브(10)의 상부면에는 엠보돌기(11)가 형성된다. 엠보돌기(11)는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수축튜브(10)가 혀(3)와 구개(5) 사이에서 압축될 때 구개(5)에 가압밀착됨에 따라, 연하근육에 저항성을 높인 상태에서 연하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축튜브(10)가 현 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엠보돌기(11)는 또한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수축튜브(10)가 구개(5)에 닿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반구형 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축튜브(10)의 좌우측, 전후측 및 둘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부(12)가 형성된다. 접촉부(12)는 혀(3)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어 혀의 등척운동 시에 수축튜브(10)가 혀(3)의 상부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접합플랩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부면에 물이나 침과 같은 액체가 도포된 상태로 혀(3)의 상부면에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고정된다.
접촉부(12)는 수축튜브(10)의 두께 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도 1에는 수축튜브(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축튜브(10)의 전후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축튜브(10)의 전후좌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축튜브(10)의 둘레에 형성되어 혀(3)의 상부면 대부분을 면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수축튜브(10)의 전방측에는 연결관부(20)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연결관부(20)는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수축튜브(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차후에 설명될 압력측정표시수단(40)에 전달되도록 수축튜브(10) 내의 유체가 이동되는 관로에 해당한다.
연결관부(20)는 사용자의 입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연결관부(20) 상에는 위치확인부(30)가 형성된다. 위치확인부(30)는 혀(3)의 상부에 수축튜브(10)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입술 또는 치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수축튜브(10)의 구강 내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결관부(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격평행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확인부(30)는 연결관부(20) 상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확인부(30)가 연결관부(20) 상에 복수개로 이격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30)의 위치조정을 통해 구강 내의 수축튜브(1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에 따라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사용되는 연하근육부위가 달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경구개 및 연구개에 관계없이 전체 연하근육을 편중됨없이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연결관부(20)에는 압력측정표시수단(40)이 연결될 수 있다. 압력측정표시수단(40)은 연결관부(20)를 거쳐 전달되는 수축튜브(10)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수축튜브(10)를 이용한 연하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용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측정표시수단(40)은 플렉시블 관형튜브(41)에 의해 연결관부(20)에 연결된다. 플렉시블 관형튜브(41)는 연결관부(20)를 거친 수축튜브(10)의 압력이 압력측정표시수단(40)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측정표시수단(40)에는 압력표시구(42)가 구비된다. 압력표시구(42)는 혀(3)의 등척운동시에 연결관부(20)와 플렉시블 관형튜브(41)를 거쳐 전달된 수축튜브(10)의 압력이 사용자 또는 전문가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숫가 또는 눈금 등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압력표시구(42)는 액정, 엘이디 또는 7-세그먼트 등을 이용하여 압력값을 숫자,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압력 크기에 따라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회전되면서 압력값에 대응되는 눈금을 지시하는 회전바늘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압력 크기에 따라 볼, 또는 수은주 등이 이동되면서 압력값에 대응되는 눈금을 지시하는 수직게이지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패널형, 회전바늘형 및 수직게이지형 중 두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관부(20)와 전술한 압력측정표시수단(40) 사이에는 손잡이부(50)가 개재될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사용자나 전문가가 수축튜브(10)를 사용자의 구강 내로 투입하고자 할 때 파지하는 부분으로, 연결관부(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관부(20)와 별도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관부에 연결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연결관부(20)의 일단에는 연결관부(2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 1 체결부(51)가 구비되고, 연결관부(20)의 타단에는 압력측정표시수단(40)의 플렉시블 관형튜브(41)에 연결되는 제 2 체결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는 압력측정표시수단(40)의 플렉시블 관형튜브(41)에 연결되는 제 2 체결부(52)만 연결관부(20)의 타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체결부(51, 52)는 통상의 도관용 피팅연결구로 형성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관용 압압연결구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50)에는 흡입방지판(53)이 구비된다. 흡입방지판(53)은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수축튜브(10)가 사용자의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입술 등에 걸려질 수 있는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를 이용하여 혀(3)의 등척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혀(3)와 구개(5) 사이에 위치된 수축튜브(10)를 뺨과 구강근육, 혀(3) 근육의 수축, 즉 등척운동을 통해 압박하고 압력측정표시수단(40)의 압력표시구(42)를 통해 표시되는 압력값을 통해 해당 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연하근육의 힘이 강화되도록 함에 따라 노인들이 혼자서도 위생적이면서 쉽게 연하근육 강화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경우에는, 연결관부(20) 상에 복수개의 위치확인부(30)가 이격형성되어 위치확인부(30)의 위치조정을 통해 구강 내의 수축튜브(1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에 따라 혀(3)의 등척운동 시에 사용되는 연하근육부위가 달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전체 연하근육을 편중됨없이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하근육 운동장치의 경우에는, 손잡이부(50)에 흡입방지판(53)이 구비됨에 따라 혀(3)의 등척운동 시에 노인들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구강 내에 삽입된 수축튜브(10)가 갑자기 기도로 넘어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 혀
5 : 구개
10 : 수축튜브
11 : 엠보돌기
12 : 접촉부
20 : 연결관부
30 : 위치확인부
40 : 압력측정표시수단
41 : 플렉시블 관형튜브
42 : 압력표시구
50 : 손잡이부
51 : 제 1 체결구
52 : 제 2 체결구
53 : 흡입방지판

Claims (8)

  1. 사용자의 혀(3)의 상부에 안착되고 혀(3)의 등척운동에 따라 혀(3)와 구개(5)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수축튜브(10);
    상기 수축튜브(10)의 전방측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부(20);
    상기 연결관부(20) 상에 형성되고 혀(3)의 상부에 상기 수축튜브(10)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입술 또는 치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축튜브(10)의 구강 내 위치가 확인되도록 하는 위치확인부(30);
    상기 연결관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부(20)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수축튜브(10)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측정표시수단(40); 및
    상기 연결관부(20)와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관부(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튜브(10)의 상부면에는 엠보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축튜브(10)의 좌우측, 전후측 및 둘레 중 적어도 하나에는 혀(3)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접촉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12)는 상기 수축튜브(10)의 두께 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20)는 사용자의 입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위치확인부(30)는 상기 연결관부(20)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40)은 플렉시블 관형튜브(41)에 의해 상기 연결관부(20)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50)에는 등척운동 시에 상기 수축튜브(10)가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방지판(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표시수단(40)에는 디스플레이패널형, 회전바늘형 및 수직게이지형 중 하나의 압력표시구(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운동장치.
KR1020200040750A 2020-04-03 2020-04-03 연하근육 운동장치 KR10235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50A KR102350847B1 (ko) 2020-04-03 2020-04-03 연하근육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50A KR102350847B1 (ko) 2020-04-03 2020-04-03 연하근육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29A KR20210123529A (ko) 2021-10-14
KR102350847B1 true KR102350847B1 (ko) 2022-02-07

Family

ID=781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50A KR102350847B1 (ko) 2020-04-03 2020-04-03 연하근육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6488A1 (ja) * 2005-08-31 2007-03-08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並びに口腔機能回復訓練用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06B1 (ko) * 2010-04-29 2012-06-15 (주)덴토스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CN110038264B (zh) * 2013-09-18 2021-02-12 株式会社Jms 口腔机能训练装置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JP6510853B2 (ja) * 2015-03-27 2019-05-0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口唇閉鎖力測定用プローブ
KR20190011067A (ko) 2017-07-24 2019-02-01 이동열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6488A1 (ja) * 2005-08-31 2007-03-08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並びに口腔機能回復訓練用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29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ülow et al. Videomanometric analysis of supraglottic swallow, effortful swallow, and chin tuck in healthy volunteers
Margareta BuÈlow et al. Videomanometric Analysis of Supraglottic Swallow, E ortful Swallow, and Chin Tuck in Patients with Pharyngeal Dysfunction
US8372020B2 (en) Oral device
CA2867440C (en) Oral device with bolus simul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364035B2 (en) Swallow exerciser
Steele The blind scientists and the elephant of swallowing: A review of instrumental perspectives on swallowing physiology
AU684285B2 (en) Upper aero digestive tract measurement apparatus
USH1557H (en) Swallowing rehabilitation
US20210331034A1 (en) Tongue strengthen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CN113679942A (zh) 一种阵列式舌压检测与舌肌电刺激吞咽康复设备
RU1745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мио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KR102350847B1 (ko) 연하근육 운동장치
KR101759839B1 (ko)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CN215135695U (zh) 一种环咽肌的球囊扩张装置
JP2019013698A (ja) 口腔ケア支援ツール
RU18847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вышенной стираемости твердых тканей зубов и лечения ее осложнений со стороны зубочелюстной системы у молодых людей, занимающихся спортивными упражнениями с отягощением
US20060124137A1 (en) Isometric exercise method and program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snoring
Fuentes et al. Description of intraoral pressures on sub-palatal space in young adult patients with normal occlusion
Nyabanga et al. Oropharyngeal Dysphagia
Nyabanga et al. Oropharyngeal Dysphagia
Sakhare et al. Oral Habits and its Prevention in Children
Curtis Mechanisms of Respiratory-Swallow Coordination and the Effects of Skill Training on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Parkinson’s Disease
Matsuo et al. Effect of meal posture adjustment management on tongue movements during mastication
HU231345B1 (hu) Horkolás- és légzéskimaradás-gátló készülék
Son et al.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