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920A -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920A
KR20220033920A KR1020200116382A KR20200116382A KR20220033920A KR 20220033920 A KR20220033920 A KR 20220033920A KR 1020200116382 A KR1020200116382 A KR 1020200116382A KR 20200116382 A KR20200116382 A KR 20200116382A KR 20220033920 A KR20220033920 A KR 2022003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rynx
chin
strength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655B9 (ko
KR102437655B1 (ko
Inventor
빈영진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20011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6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55B1/ko
Publication of KR10243765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5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강화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거치대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사용자의 가슴에 기대어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져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는 필름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턱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에 사용자의 턱으로부터 상기 필름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측정값을 표시하고 측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확인대;를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연하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후두 강화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특히 훈련 상황을 실시 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훈련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Tension type training device to strengthen the larynx}
본 발명은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강화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하장애(Dysphagia, 또는 삼킴 장애)란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장애를 말한다. 최근에는 그 의미를 확장하여 삼키는 것에 관련된 모든 행위와 감각, 그리고 삼킴 준비를 위한 예비 행동까지 포함한다.
연하장애는 신생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선천적인 기형이나 구조적인 손상 혹은 의학적인 상태의 결과로 초래된다. 더욱이, 기능적으로는 연하장해로 인해 먹는 즐거움 또는 영양과 수분의 유지가 방해된다. 특히, 입으로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섭취한다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수단일 뿐만 아니라 보다 질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이용한 보상 훈련 치료, 열-촉각 자극 치료, 생체 되먹임, 전기 자극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해 후두근의 강화를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08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삼킴 장애 환자(연하장애)의 재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혀의 위치를 감지하여 컴퓨터 오락 또는 다른 원격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재활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제3자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능동적인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34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저항운동 텐션바를 턱밑에 부착한 후 아래로 내리는 저항운동 변화의 힘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후 턱의 압력 변화를 제어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며, 제어모듈은 압력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환경의 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측정 및 평가 프로그램은 턱의 아래로 내리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 및 평가하며, 또한, 게임을 통한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한 형태의 후두상승 강화 훈련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94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피험자가 효과적으로 연하의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호흡 검출부, 피험자에게 주는 연하 유도부, 연하 검출부, 연하 판정부,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연하 훈련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마스크 이외에 제어부, 출력부, 정량적 혀 운동 능력 평가장치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 간으로 훈련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 역시 사용자가 혼자가 훈련은 가능하나, 그 훈련과정에서 발생 또는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별도의 장치에서 확인 등이 요구됨에 따라 이 또한 실시 간으로 훈련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 역시 연하 훈련을 위한 다양한 장치와 기기를 구비해야 함으로 인해 전문적인 장비는 물론 그로 인한 훈련장도 또한 국한되는 단점과 함께 이 또한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훈련 상황을 직접 확인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0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3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94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강화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 훈련하고자 턱을 받치는 부분과 가슴 부분이 안정적이면서 안락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압력 측정은 물론 압력을 설정함은 물론 색상으로 표시와 함께 음성으로도 안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거치대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사용자의 가슴에 기대어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져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는 필름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턱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에 사용자의 턱으로부터 상기 필름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측정값을 표시하고 측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확인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의 전방 측으로 수평 상태로 형성되되, 끝단에 상향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턱 받침대는 지지대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필름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받침턱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부는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폭 방향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서 표면에 쿠션재가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의 사용자의 가슴이 기대어지는 부분과 받침대의 표면에는 쿠션재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압력설정과 시간 설정을 위해 형성되는 각각의 조작 버튼, 압력의 측정 따라 색상이 변하는 LED 표시부, 및 음성이 방출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어모듈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강화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하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후두 강화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특히 훈련 상황을 실시 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훈련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사용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표시패널을 직시하게 됨에 따라 턱 당김 자체를 학습시켜 안전한 보상적 후두 강화 자세 교육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스스로 의지를 갖도 치료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한, 훈련과 함께 별도의 기기나 장비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과 동시에 측정값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은 물론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훈련과 정확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간단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휴대성이 용이함에 따라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 누구라도 간단하게 사용하면서 훈련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후두의 강화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 사용자가 후두 강화 훈련하고자 턱을 받치는 부분과 가슴 부분이 안정적이면서 안락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압력 측정은 물론 압력을 설정함은 물론 색상으로 표시와 함께 음성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더 편리하면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하장애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신생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선천적인 기형이나 구조적인 손상 혹은 의학적인 상태의 결과로 초래된다. 더욱이, 기능적으로는 연하장해로 인해 먹는 즐거움 또는 영양과 수분의 유지가 방해된다. 특히, 입으로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섭취한다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수단일 뿐만 아니라 보다 질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위하여 구강 및 안면부의 감각 자극, 구강 및 인후근육의 강화 운동, 자세의 교정을 이용한 보상 훈련 치료, 열-촉각 자극 치료, 생체 되먹임, 전기 자극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해 후두 강화를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추가적인 여러 기기와 장치 등이 요구되는 단점은 물론 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과 함께 특히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 간으로 훈현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강화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두 강화 훈련을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1)는 전체적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태이면서 전체적인 형상 또는 한글 자음의 리을 자("ㄹ")와 가까운 형태로, 받침대(10), 지지대(20), 턱 받침대(30) 및 확인대(4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받침대(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테이블 등과 같은 거치대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받침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혹은 테이블 또는 거치대 등에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받침대(10)는 지지대(20)의 전방 측으로 수평 상태로 형성되되, 끝단에 연하 훈련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면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절곡되는 손잡이(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0)에는 파지시 우수한 그립(grip) 감을 가질 수 있도록 스펀지 또는 연성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쿠션재(C)가 씌워지거나 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는 상기 받침대(10)의 일단에 사용자의 가슴에 기대어 지지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사용자의 가슴이 기대어지는 부분에 안정감과 안락감을 가질 수 있도록 스펀지 또는 연성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쿠션재(C)가 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지대는 사용자가 후두 강화를 위해 턱 받침대를 가입시 그 사용자의 가슴에 지지 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하을 한다.
턱 받침대(30)는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져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는 필름압력센서(32)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턱 받침대(3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지지대(2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34), 상기 텐션부(34)의 상단에 즉, 사용자의 턱이 올려지는 부분에 필름압력센서(3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받침턱부(36)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부(36)는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폭 방향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서 표면에 쿠션재(C)가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부는 트인 부분이 사용자의 가슴 측을 향하는 부등호 형태로 사용자가 받침턱부에 턱을 올려놓고 가압시 가압에 따른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진다. 상기 텐션부는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결합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텐션부를 트인 부분이 사용자의 목과 가슴 부분을 향하도록 부등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받침턱부에 사용자의 턱을 올려놓고 가압할 때 확인대의 표시패널을 직접 실시 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턱부(36)는 텐션부(34)의 상단에서 다시 한번 소정각도만큼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턱을 받칠 때, 보다 안정적이면서 편안하게 받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쿤션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턱 또한 안락하면서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두 강화를 위한 강화 훈련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받침턱부에 턱을 올려놓고 가압함으로써, 필름압력센서에 가압하는 측정값과 시간을 확인대에 구비되는 표시패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가한 압력과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지속적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확인대(40)는 상기 지지대(20)에 사용자의 턱으로부터 상기 필름압력센서(32)에 가해지는 압력의 측정값을 표시하고 측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42)과 제어모듈(44)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표시패널(42)에는 상기 제어모듈(44)과 연결되어 압력설정과 시간 설정을 위해 형성되는 각각의 조작 버튼(42A), 압력의 측정 따라 색상이 변하는 LED 표시부(42B), 및 음성이 방출되는 스피커(42C)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확인대는 지지대에 사용자의 가슴이 기대어지는 부분의 반대 측에 수평 상태로 형성되면서 제어모듈과 표시 패널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받침턱부에 턱을 올려놓고 가압함에 따라 표시 패널을 통하여 측정값은 물론 측정 시간을 실시 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훈련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LED 표시부를 통하여 색상에 따라 훈련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더 간편하게 훈련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에 후두 강화를 위해서는 병원에서 직업치료사에 의해 사용되는 의료 전문가용은 여러 명의 압력 수치 저장기능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들어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표시 패널은 가정이나 병실 또는 요양병원 등에서 환자 혼자 운동할 수 있는 환자운동용으로는 LED 안내 등 같은 꼭 필요한 기능만 탑재하여 가성 비 효과로 접근성이 좋게 만들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한편, 제어모듈에 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통하여 후두 강화 훈련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따라 미리 측정값과 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도 후두 강화 훈련이 가능하다. 이는 후두 강화를 위한 후두 강화 훈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한 것이므로 더욱더 효율적인 후두 강화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텐션형 훈련장치(1)를 구성하는 받침대(10), 지지대(20), 턱 받침대(30) 및 확인대(40)를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체로 형성시 재질의 특성상 가볍고 튼튼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가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후두 강화를 위한 후두 강화 훈련을 직접 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강화 훈련에 따른 훈련 상황을 사용자가 실시 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특히 훈련 상황을 실시 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훈련과 함께 별도의 기기나 장비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과 동시에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은 물론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훈련과 정확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휴대성이 용이함에 따라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사용자 누구라도 간단하게 사용하면서 훈련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후두 강화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확인대에 구비되는 제어모듈과 표시패널을 탈착 가능하도록 한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표시 패널(42)은 제어모듈(44)로부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접속 가능하게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과 제어모듈은 무선상으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송수신부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탈착 방식은 슬라이드 방식 또는 후크 방식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표시 패널은 사용자가 측정값과 측정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관리자 또한 데이터 확인이 요구됨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표시 패널의 탈착으로 인해 그 표시 패널 또는 제어모듈의 이상 시에도 유지보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 텐션형 훈련장치
10 : 받침대 12 : 손잡이
20 : 지지대 30 : 턱 받침대
32 : 필름압력센서 34 : 텐션부
36 : 받침턱부 40 : 확인대
42 : 표시 패널 42A : 조작 버튼
42B : LED 표시패널 42C : 스피커
44 : 제어 모듈

Claims (6)

  1. 하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거치대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사용자의 가슴에 기대어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이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져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는 필름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턱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에 사용자의 턱으로부터 상기 필름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측정값을 표시하고 측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확인대;를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의 전방 측으로 수평 상태로 형성되되, 끝단에 상향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 받침대는 지지대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필름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받침턱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부는 사용자의 턱이 받쳐지는 폭 방향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서 표면에 쿠션재가 탈착 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사용자의 가슴이 기대어지는 부분과 받침대의 표면에는 쿠션재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압력설정과 시간 설정을 위해 형성되는 각각의 조작 버튼, 압력의 측정 따라 색상이 변하는 LED 표시부, 및 음성이 방출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어모듈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후두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KR1020200116382A 2020-09-10 2020-09-10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KR10243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82A KR102437655B1 (ko) 2020-09-10 2020-09-10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82A KR102437655B1 (ko) 2020-09-10 2020-09-10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20A true KR20220033920A (ko) 2022-03-17
KR102437655B1 KR102437655B1 (ko) 2022-08-29
KR102437655B9 KR102437655B9 (ko) 2023-01-16

Family

ID=8093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382A KR102437655B1 (ko) 2020-09-10 2020-09-10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7027A (zh) * 2022-05-24 2022-08-19 洛阳理工学院 一种演唱训练系统
CN115253189A (zh) * 2022-07-07 2022-11-01 北京体育大学 一种腘绳肌离心训练和监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62Y1 (ko) *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101672088B1 (ko) 2014-05-12 2016-1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US20170258663A1 (en) * 2016-03-08 2017-09-14 Page Parker Progressive resistance rehabilitation swallow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80041345A (ko)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
KR20190017944A (ko) 2016-07-01 2019-02-20 가꼬우호우징 효고 이카다이가쿠 연하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62Y1 (ko) *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101672088B1 (ko) 2014-05-12 2016-1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US20170258663A1 (en) * 2016-03-08 2017-09-14 Page Parker Progressive resistance rehabilitation swallow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90017944A (ko) 2016-07-01 2019-02-20 가꼬우호우징 효고 이카다이가쿠 연하 훈련 장치
KR20180041345A (ko)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후두 상승 강화 훈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7027A (zh) * 2022-05-24 2022-08-19 洛阳理工学院 一种演唱训练系统
CN114927027B (zh) * 2022-05-24 2024-05-03 洛阳理工学院 一种演唱训练系统
CN115253189A (zh) * 2022-07-07 2022-11-01 北京体育大学 一种腘绳肌离心训练和监测系统
CN115253189B (zh) * 2022-07-07 2023-08-08 北京体育大学 一种腘绳肌离心训练和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655B9 (ko) 2023-01-16
KR102437655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475B2 (en) Wearable CPR assist, training and testing device
US11759677B2 (en) Respiratory training and airway pressure monitoring device
US10671202B2 (en) Touch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437655B1 (ko)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EP3373275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annequin
US10449413B2 (en) Exercise devices and methods with retractable cords
US10952660B2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61117B1 (ko)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운동관리 줄넘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방법
CN204618243U (zh) 一种健康自测一体机
KR20100092797A (ko) 복식 호흡 유도 장치
US20110195387A1 (en) Abdominal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bdominal breath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3128659A (ja) 携帯式呼吸誘導装置
JP2010158289A (ja) 安静誘導付き血圧測定装置
JP4554710B2 (ja) 使用者の身体条件に応じて振動刺激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507360B2 (en) Posture correction and weight balance apparatus
KR101945338B1 (ko) 체력 측정 진단에 대한 체력 개선 시스템
TWI392525B (zh) 腹式呼吸訓練裝置、腹式呼吸訓練系統及其方法
JP2010088703A (ja) ハンディ型トレーニング機器
CN111282249A (zh) 一种瑜伽健身辅助器械
ES1227019U (es) Conjunto de meditacion inteligente para ensenar, conocer y corregir la postura meditativa sedente
CN215609171U (zh) 一种呼吸评估与训练控制系统
US20240001214A1 (en) Training Accessory for Electronic Device
KR101945339B1 (ko) 체력 측정 시스템
JP3252324B2 (ja) 呼吸に合わせて身体を動かす方法における身体状態の測定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KR101674414B1 (ko)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7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0908

Effective date: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