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445A -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445A
KR20160046445A KR1020140142302A KR20140142302A KR20160046445A KR 20160046445 A KR20160046445 A KR 20160046445A KR 1020140142302 A KR1020140142302 A KR 1020140142302A KR 20140142302 A KR20140142302 A KR 20140142302A KR 20160046445 A KR20160046445 A KR 2016004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ead
angle
he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154B1 (ko
Inventor
장성호
장우혁
권혁규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부가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며; 머리받침부가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며; 높이조절부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며; 각도조절부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한다.

Description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하란 구강 내의 음식물을 위장관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여러 신경들에 의해 지배받는 괄약근을 비롯한 많은 두경부 근육들과 골격 및 기타 연부 조직들이 복잡하게 작용한다. 연하작용 경로 중 어느 부위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이를 연하장애(Dysphagia), 삼킴장애 혹은 연하곤란이라 하는데, 그 주요 원인으로는 식이 섭취와 관련된 근육, 신경학계 이상을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정신과적인 질환이나 약물 등도 연하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뇌졸중 환자는 대한민국에서 매년 10만 명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51~73(%)의 환자는 음식 섭취가 곤란한 연하장애를 겪고 있다.
연하장애는 입술과 혀의 조절 약화뿐만 아니라 삼킴 반사의 지연, 인두 음식의 저류, 후두로의 음식 유입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에 의한 두부/경추 손상, 뇌종양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손상의 환자 경우에서도 연하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두경부암 중에서 구강암과 인두암으로 인한 연하장애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연하곤란 환자는 대부분 흡인(Aspiration)이 발생하는데, 정상인의 경우에는 기침 등을 통하여 이물질을 기도 밖으로 배출할 수 있지만, 연하곤란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폐로 음식물이 유입되어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무서운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기도에 막힌 음식물을 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질식(Asphyxia)으로 인한 즉사(Instantaneous Death)라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식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충족이 생명에 위협을 주게 되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12호(2008.11.21 등록)는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인체의 갑상설골에 부착하여 음식물의 삼킴 시점을 검출하는 음식삼킴시점 검출부와; 인체의 양쪽 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부착되어 그 양쪽 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극부착장치부와; 음식물 삼킴 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체의 음식물 삼킴 시점을 판별한 다음 전극부착장치부가 그 부착된 인체로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제어하고, 전기자극장치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고압의 펄스제어신호에 따라 전극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전극부착장치부로 인가시키는 전극신호 생성회로부와; 전극부착장치부의 후면부에 그 몸체 단부가 상, 하,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그 전체몸체가 인체의 귀에 걸도록 형성되며, 그 몸체 내부로 전극신호 생성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전극부착장치부로 전달하는 전선이 구비되는 고정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스트레인게이지의 움직임을 통해 환자가 삼키는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안면 양쪽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그 부착된 전극부착구조물을 통해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들에게 연하 과정을 전기자극장치를 통해 도와주어 설골의 전, 상방 상승 정도 및 상승 패턴을 정상화시키므로 그에 따라 인체의 연하과정 치료효율을 극대화시키며, 또한 환자의 삼키는 시점을 정확히 계측하여 전기 자극을 적시에 인가하기 때문에 인체의 연하작용을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연하보조용 장치의 정밀성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62호(2014.04.29 등록)는 연하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가슴 및 목 부위에 밀착시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값싼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 가능하고, 그 사용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밀착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 연장부의 상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밀착부를 환자의 가슴에 밀착하고, 운동부의 상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운동부의 상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 장치나 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경우에 초기에 몸통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거나 올바른 머리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로 인해 몸통은 식사 자세를 유지하기가 힘들고, 머리가 중심선에서 벗어난 자세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자세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에는 연하 반사를 일으키는데 방해가 되고, 흡인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흡인으로 폐렴을 유발시키고, 이에 폐렴으로 인하여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최악의 상황으로 질식이 발생하고 질식으로 인한 즉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에서의 식사가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장치나 기구들의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게 해 주는 기구나 장치 등을 개발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1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6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기 위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받침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환자의 등이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몸고정수단;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등받이고정수단; 및 양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을 각각 연결해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의 일 측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권취하여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취장치; 및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거나,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환자의 뒤통수가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지지수단은, 양 측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측면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부재;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받침대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목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높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 자세시작버튼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세팅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에 세팅시키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시작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며,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확인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환자 특성을 등급별로 분류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각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와 기 설정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높이조절부에 출력하여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머리받침부에 출력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각도조절부에 출력하여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에 대해서 흡인을 예방하기 위한 최적의 자세를 유지시켜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보호자(또는, 간호사, 간병사 등)가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쉽게 보조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으로 기존의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형성시켜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독립적인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흡인으로 고생하거나 흡인으로 인한 폐렴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 없이도 매우 효율적으로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등받이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머리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밴딩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등받이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머리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밴딩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는 도 5를 참조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등받이부(110), 머리받침부(120), 높이조절부(130), 각도조절부(14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110)는, 상부에 높이조절부(130)가 형성되며,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110)는, 환자의 안전한 식사 자세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몸통이 편안하게 놀릴 수 있도록 환자의 등이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110)는, 몸고정수단(111), 등받이고정수단(112), 연결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몸고정수단(111)은, 일 측이 연결수단(113)을 통해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벨트, 밴드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오목한 부분에 고정시켜 준다.
등받이고정수단(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연결수단(113)을 통해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벨트, 밴드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또는, 의자 등)와 같은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준다.
연결수단(113)은,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을 각각 연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등받이고정수단(112)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의 경우에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일 측을 권취하여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권취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권취장치를 통해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해당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머리받침부(120)는,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환자의 안전한 식사 자세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놀릴 수 있도록 환자의 뒤통수가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머리지지수단(121)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지지수단(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머리지지수단(121)은, 양 측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측면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머리지지수단(121)은, 환자 자기 자신이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있는 경우에 양 측면에서 환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머리 받침대 등과 같은 밴딩수단(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딩수단(122)은 양 측부(또는, 머리지지수단(121)의 일 측)에 형성되어, 환자 자기 자신이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없는 경우에 환자의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머리(특히, 이마 부분)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해 준다.
높이조절부(130)는,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슬라이드홈부재, 슬라이드부재, 슬라이드고정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홈부재는,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안내해 준다. 슬라이드부재는, 머리받침부(1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슬라이드고정부재는, 슬라이드홈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각도조절부(140)는,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목 각도(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각도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140)는, 환자의 머리를 상측 방향으로 올리거나 하측 방향으로 숙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또는, 높이조절부(130)의 상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받침대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상하 각도(즉, 환자의 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등받이부(110)가 실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우선 등받이부(110)의 등받이고정수단(112)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등받이부(110)를 고정시켜 준 후에, 등받이부(110)가 고정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환자가 앉게 되면, 이에 등받이부(110)의 등받이고정수단(112)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등이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환자의 몸을 오목한 부분에 고정시켜 주게 되며, 그런 다음에 높이조절부(130)는 환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각도조절부(140)는 환자의 목 각도(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각도를 조절해 줌과 동시에, 머리받침부(120)는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줌으로써, 환자의 최적 삼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자세를 만들 수 있도록 의자나 휠체어 등에 바로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흡인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연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더 안전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보상적 전략 중에서 환자의 자세 변화(Postural Change)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자세 변화로는 고개 숙이기(Neck-flexion), 고개 비마비 측으로의 기울이기(Head-tilt), 고개 마비 측으로의 돌리기(Head-rotation) 등이 있다. 특히,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가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는, 연하 반사(Swallowing Reflex)의 지연이나, 혀 기저부(Base)의 수축력 약화, 후두 폐쇄(Laryngeal Closure) 감소 등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하며, 또한 후두계곡(Valleculae)의 공간을 넓혀 줌으로써 음식이 인두를 통해 느린 속도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후두 전정에 있는 음식이 나올 수 있도록 하여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며, 아울러 기도로 가는 통로를 좁혀 줌으로써 음식의 침범 정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데, 이때 등받이부(110)에 의해서 환자의 몸통을 편안하게 바로 앉은 상태에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해서 환자의 고개를 기 설정된 각도로 숙이도록 해 준다. 여기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는 각도는 5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0~50도로 다양하게 각도를 변경하여도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각도조절부(140)는 연하곤란 환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인지적인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별 연하곤란 환자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각도를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고개 숙임 각도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에 대해서 흡인을 예방하기 위한 최적의 자세를 유지시켜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보호자(또는, 간호사, 간병사 등)가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쉽게 보조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으로 기존의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형성시켜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독립적인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흡인으로 고생하거나 흡인으로 인한 폐렴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 없이도 매우 효율적으로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200)는, 입력부(210),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운용자(또는, 보호자, 간호사, 간병사 등)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그런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흡인 방지 자세를 세팅하기 위한 자세세팅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또한 추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흡인 방지 자세를 자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세시작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210)는,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 특성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높이조절부(250)에 출력해 높이조절부(25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에 출력해 머리받침부(2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각도조절부(2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에 따라 머리받침부(240)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높이조절부(250)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각도조절부(260)의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세팅시켜 주며, 그런 후에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에 따라 메모리부(230)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제어부(220)로부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30)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인지적인 특성 등에 대한 환자 특성을 등급별로 분류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며, 각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여 환자에 대한 연하 방지가 확실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미리 시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와 기 설정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에 대응하여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를 보상해 주기 위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머리받침부(240)는,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해 주기 위한 등받이의 상부(즉, 각도조절부(260)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주며,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켜 준다.
높이조절부(250)는, 등받이의 상부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해 준다.
각도조절부(260)는, 등받이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즉, 높이조절부(2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해 준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20)의 제어 동작 상태,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의 동작 상태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등받이를 환자의 등에 착용시켜 환자의 몸을 고정해 준 후에, 운용자(또는, 보호자, 간호사, 간병사 등)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1), 해당 단계 S701에서 확인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2).
상술한 단계 S702에서 생성시킨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의 상부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절부(250)에 출력된다. 이때, 높이조절부(250)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해 주게 된다(S703).
상술한 단계 S703에서 환자의 머리 높이를 조절해 준 다음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4), 해당 단계 S704에서 확인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5).
상술한 단계 S705에서 생성시킨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의 상부(즉, 각도조절부(2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머리받침부(240)에 출력된다. 이때, 머리받침부(240)를 환자의 머리에 착용시켜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준 상태에서,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켜 주게 된다(S706).
상술한 단계 S706에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해 준 다음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7), 해당 단계 S707에서 확인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8).
상술한 단계 S708에서 생성시킨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즉, 높이조절부(2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부(260)에 출력된다. 이때, 각도조절부(260)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해 주게 된다(S709).
상술한 단계 S709에서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를 조절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흡인 방지 자세를 세팅하기 위한 자세세팅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S710), 해당 단계 S710에서 확인한 자세세팅버튼에 따라 머리받침부(240)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높이조절부(250)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각도조절부(260)의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세팅시켜 준다(S711).
상술한 단계 S711에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세팅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흡인 방지 자세를 자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세시작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S712), 해당 단계 S712에서 확인한 자세시작버튼에 따라 메모리부(230)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13).
상술한 단계 S713에서 생성시킨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는, 각각 높이조절부(250),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된다. 이때, 높이조절부(25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며, 또한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자동적으로 위치시켜 주며, 또한 각도조절부(26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해 준다(S714).
상술한 단계 S714에서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 특성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보상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각도조절부(26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보상해 줄 수 있음으로써, 환자의 최적 삼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흡인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연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더 안전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110: 등받이부
111: 몸고정수단
112: 등받이고정수단
113: 연결수단
120, 240: 머리받침부
121: 머리지지수단
122: 밴딩수단
130, 250: 높이조절부
140, 260: 각도조절부
210: 입력부
220: 제어부
230: 메모리부
270: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기 위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받침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몸고정수단;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등받이고정수단; 및
    양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을 각각 연결해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권취하여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취장치; 및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거나,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부재;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높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세팅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에 세팅시키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시작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며,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확인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10.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높이조절부에 출력하여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머리받침부에 출력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각도조절부에 출력하여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
KR1020140142302A 2014-10-21 2014-10-21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KR10164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ko) 2014-10-21 2014-10-21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ko) 2014-10-21 2014-10-21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45A true KR20160046445A (ko) 2016-04-29
KR101640154B1 KR101640154B1 (ko) 2016-07-15

Family

ID=5591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ko) 2014-10-21 2014-10-21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82B1 (ko) * 2019-12-17 2021-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재활환자를 위한 경사침대용 고개떨굼방지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77A (ko) 2022-02-09 2023-08-17 이가은 알약 복용용 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184A (ja) * 1997-09-25 1999-04-13 Matsumoto Gishi Seisakusho:Kk 着脱式頭部姿勢制御装置
KR200275786Y1 (ko) * 2002-01-24 2002-05-16 박홍재 의자용 머리받침
JP2003325596A (ja) * 2002-05-13 2003-11-18 Fuji Kogyo Kk 頭受け具
KR100870912B1 (ko) 2007-08-23 2008-11-2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
JP2012016583A (ja) * 2010-06-10 2012-01-26 Yoshida Dental Mfg Co Ltd ヘッドレストを備える椅子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184A (ja) * 1997-09-25 1999-04-13 Matsumoto Gishi Seisakusho:Kk 着脱式頭部姿勢制御装置
KR200275786Y1 (ko) * 2002-01-24 2002-05-16 박홍재 의자용 머리받침
JP2003325596A (ja) * 2002-05-13 2003-11-18 Fuji Kogyo Kk 頭受け具
KR100870912B1 (ko) 2007-08-23 2008-11-2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
JP2012016583A (ja) * 2010-06-10 2012-01-26 Yoshida Dental Mfg Co Ltd ヘッドレストを備える椅子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5-07 박지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82B1 (ko) * 2019-12-17 2021-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재활환자를 위한 경사침대용 고개떨굼방지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54B1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640B1 (ko) 하악 전진 장치
EP3205241B1 (en) Headres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Zhang et al. A real-time auto-adjustable smart pillow system for sleep apnea detection and treatment
US7890193B2 (en) Oral device
EP2732757B1 (en) Non-invasive, wireless, portable device applicable to the finger to reduce the risk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and reduce the risk of apnea, slower heart rate, and heart arrest in all age groups
US2011029508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alyzing, and/or adjusting sleep conditions
JP7448273B2 (ja) 睡眠中の被験者の呼吸努力を軽減するための装着可能な装置
CN104582661A (zh) 睡眠姿势控制床系统
CN106859887A (zh) 基于检测呼吸实现睡姿变换的护理床垫
CN107468358A (zh) 一种肌功能训练矫治系统
CN105078102A (zh) 一种睡姿检测方法和可调节高度的枕头
KR20150129580A (ko)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KR102193742B1 (ko) IoT 기반 원격 수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40154B1 (ko)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BR112021007240A2 (pt) treinamento de músculo oral
CN211067751U (zh) 眼科术后康复组件
JP4175278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防止装置
JP6233847B2 (ja) 気道確保装置
CN103948373A (zh) 一种保持病人呼吸道通畅且可监测胃内容物反流的装置
KR101667671B1 (ko) 신체 장착형 전기 자극 교정장치
CN110916422B (zh) 一种主动干预引导侧卧的止鼾床垫系统
US6165134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spiratory rhythm control
CN218127734U (zh) 一种电动床
KR102347542B1 (ko)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WO2019207576A1 (en) A system for changing the sleeping position of a sleeping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