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28Y1 -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28Y1
KR200472328Y1 KR2020130000449U KR20130000449U KR200472328Y1 KR 200472328 Y1 KR200472328 Y1 KR 200472328Y1 KR 2020130000449 U KR2020130000449 U KR 2020130000449U KR 20130000449 U KR20130000449 U KR 20130000449U KR 200472328 Y1 KR200472328 Y1 KR 200472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inner member
outer member
groove
moun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학
Original Assignee
정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학 filed Critical 정연학
Priority to KR2020130000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반의 걸이부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선반 거치 레일의 플랜지 하부와 밀착하는 결합부를 갖는 외측 부재로 구성되는 고정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갖되 이 탄성부에 외측 부재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부재는 이 돌기가 수용되는 제1 홈을 갖는다. 따라서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 시, 내측 부재 탄성부의 돌기가 외측 부재의 제1 홈과 결합하게 된다.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가 선반 거치 레일로 삽입되어 주방용 선반이 부착된 후, 고정 홀더의 외측부재를 내측부재와 결합시키면, 외측부재의 결합부가 선반 거치 레일의 플랜지 하부와 밀착함으로써 주방용 선반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Holder for holding a shelf to a rail}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주방용 선반이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된 후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선반을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나, 많이 사용되는 방법의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봉으로 일측에 플랜지(8)를 가지며 이 플랜지를 따라 홈(9)이 형성되는 선반 거치 레일(7)을 사용하는 것이다. 선반 거치 레일(7)은 통상적으로 주방의 벽체 부분이나 싱크대 상부장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주방용 선반(1)은 일반적으로 선반부(2), 이 선반부에 안치된 물품이 선반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ㄷ 자형 프레임(5) 및 걸이부(3)로 구성된다. 걸이부(3)의 상단부는 상기 선반 거치 레일(7)의 홈(9)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걸림부(5)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 오목부(4)가 형성된다. 선반(1)을 선반 거치 레일(7)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9) 때문에 선반(1)이 흔들릴 수 있으며, 선반부(2)에 안치된 물품이 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불안정해 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101901호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로서 잠금 캡(10)을 사용하고 있다. 이 캡(10)은 걸이부(3)의 오목부(3)와 밀착하도록 힌지(11)에 의해 걸이부(3)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캡(10)에는 다수의 리브(12,13)가 형성되며, 캡(10)이 축회전하여 걸이부의 오목부(3)와 밀착하게 위치되는 경우, 최상단 리브(12)가 선반 거치 레일(7)의 플랜지(8)와 밀착함으로써 걸이부(3)의 걸림부(5)가 선반 거치 레일(7)에 부착된 후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주방용 선반이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된 후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걸이부(3)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걸이부(3)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캡(10)을 걸이부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리브(12)와 플랜지(8)와의 밀착력도 작아지게 되어 선반의 흔들림 방지가 미흡하게 된다. 또한, 캡(10)을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부주의한 가격으로 인하여 힌지(11)가 손상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주방용 선반이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된 후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 두께가 얇은 경우를 포함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고정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홀더가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파손의 위험이 작은 고정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반의 걸이부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선반 거치 레일의 플랜지 하부와 밀착하는 결합부를 갖는 외측 부재로 구성되는 고정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갖되 이 탄성부에 외측 부재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부재는 이 돌기가 수용되는 제1 홈을 갖는다. 따라서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 시, 내측 부재 탄성부의 돌기가 외측 부재의 제1 홈과 결합하게 된다.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가 선반 거치 레일로 삽입되어 주방용 선반이 부착된 후, 고정 홀더의 외측부재를 내측부재와 결합시키면, 외측부재의 결합부가 선반 거치 레일의 플랜지 하부와 밀착함으로써 주방용 선반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내측 부재의 탄성부에 탄성부를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부재가, 내측부재를 선반 걸이부에 나사 또는 리벳으로 고정할 때, 이 나사 또는 리벳이 내측부재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제2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고정홀더에 따르면, 주방용 선반이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된 후에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고정홀더는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 두께가 얇은 경우를 포함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나아가서 본 고안의 고정 홀더는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공지 고정 홀더에 비해 파손의 위험이 작다.
도 1은 공지의 고정 홀더가 부착된 주방용 선반 및 선반 거치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선반이 고정 홀더가 없는 상태로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어 사용될 때, 주방용 선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가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 일측에만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외측 부재의 내측 방향 사시도이다.
도 7은 주방용 선반 걸이부에 부착된 본 고안에 다른 고정 홀더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가 부착된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가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을 위해 걸이부의 일측만 부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가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선반 걸이부의 일측에만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100)가 부착된 상태이나, 실제 사용시에는 걸이부의 양측에 고정 홀더(100)가 부착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주방용 선반(50)은 통상적인 선반과 마찬가지로 선반부(70), 이 선반부에 안치된 물품이 선반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ㄷ 자형 프레임(90) 및 걸이부(60)로 구성된다. 걸이부(60)는 종래의 걸이부와 마찬가지로 그 상단부에 선반 거치 레일(7)의 홈(9)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걸림부(61)가 형성되나, 도 1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걸이부(6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으며 오목부(4)(도 1 참조)는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고안에 따른 고정홀더(100)의 내측부재가 고정될 고정 홈(64)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외측 부재(110)의 내측 방향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100)는 외측 부재(110)와 내측 부재(120)로 구성된다.
내측 부재(120)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선반(50)의 걸이부(60)에 고정되며, 나사 또는 리벳은 내측 부재의 고정 홈(125)과 걸이부의 고정 홈(64)을 관통한다. 내측 부재 동체에는 걸이부(60)를 감싸며 밀착하도록(도 8의 우측 걸이부 참조) 일측으로 개방되는 홈부(127)가 형성되어서 내측 부재 동체는 그 단면 모양이 ㄷ 자 형태를 갖는다. 내측 부재(120)에는 내측 부재가 걸이부(60)에 고정되었을 때 걸이부 방향(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128)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내측 부재(120) 동체는 탄성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탄성부(128) 양측에 슬릿(129)이 형성되어서 탄성부(128)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탄성변형된다. 한편, 이 탄성부(128)에는 외측 부재 방향(상기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121)가 형성된다. 탄성부(128)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123)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부재(110)는 상기 내측 부재(120)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외측 부재(110)가 내측 부재(120)를 감싸며 결합하도록 외측 부재 역시 일측으로 개방되는 홈부(111)가 형성되어서 외측 부재 동체 역시 그 단면 모양이 대략 ㄷ 자 형태를 갖되, 선반 걸이부(60)와 결합하는 플랜지(113)를 갖는다. 외측 부재(110)의 일측에는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하는 경우 선반 거치 레일(7)의 플랜지(8) 하부와 밀착하는 결합부(115)가 형성된다. 이 결합부(115)는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한 상태에서 걸이부(60)의 걸림부(61)의 절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재(110) 동체의 내측에는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 시 내측 부재 탄성부의 돌기(121)가 수용되는 제1 홈(117)을 갖는다. 또한 외측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부재를 선반 걸이부(60)에 나사 또는 리벳으로 고정할 때 이 나사 또는 리벳이 내측부재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나사나 리벳 머리부분 또는 그 대향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제2 홈(1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주방용 선반 걸이부에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종방향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 7 및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가 부착된 주방용 선반의 걸이부가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홀더(100)는 그 내측 부재(110)만이 나사 또는 리벳(130)에 의해 선반 걸이부(60)의 고정 홈(64)에 고정된다(도 8의 우측 걸이부 참조). 이때, 나사 또는 리벳(130)은 그 머리 부분(131)의 대향 단부 부분이 외측 부재의 제2 홈(119)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향단부의 말단부가 내측 부재를 지나 연장되지 않도록 나사 또는 리벳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 공차 등에 의해 상기 대향단부의 말단부가 내측 부재를 지나 연장되더라도 이 연장부분은 제2 홈(119)에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 부재가 선반 걸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반 걸이부의 걸림부(60)가 선반 거치 레일(7)의 홈(9)으로 삽입되어 적당한 자리에 위치되면 최종적으로 외측 부재를 내측 부재에 결착한다. 이 결착은 외측 부재의 플랜지(113)가 내측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외측 부재를 내측 부재 하부보다 훨씬 아래의 선반 걸이부(60) 위치에서 직접 또는 약간 좌나 우로 기울여서 일단 선반 걸이부와 결합시킨다. 이 결합상태에서 선반 걸이부(60)는 외측 부재의 홈부(111)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외측 부재를 선반 걸이부(60)를 따라 위로 이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재는 내측 부재를 감싸며 이와 결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측 부재의 플랜지(113)는 선반 걸이부(60)와 결합하고 내측 부재 탄성부(128)의 돌기(121)는 외측 부재의 제1 홈(117)과 결합한다.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가 결합하면, 외측 부재의 결합부(115)는 선반 거치 레일(7)의 플랜지(8) 하부와 밀착함으로써(도 8의 좌측 걸이부 참조) 선반 거치 레일의 홈(9)으로 삽입된 선반 걸이부의 걸림부(61) 거치 레일의 플랜지(8)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방용 선반(50)은 선반 거치 레일(7)에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의 결합상태에서는 외측 부재의 제1 홈(117)에 수용된 내측 부재 탄성부(128)의 돌기(121)는 외측 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외측 부재를 내측 부재와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손가락으로 내측 부재의 가압부(123)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내측 부재의 돌기(121)를 외측 부재의 제1 홈(117)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외측 부재를 내측 부재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부재는 탄성 플라스틱 외에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Claims (3)

  1. 걸이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이 중공형 봉 형태를 갖되 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과 플랜지가 형성된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되어 사용될 때, 주방용 선반이 선반 거치 레일에 부착된 후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가 선반의 걸이부에 고정되는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선반 거치 레일의 플랜지 하부와 밀착하는 결합부를 갖는 외측 부재로 구성되며,
    내측 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갖되 이 탄성부에 외측 부재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부재는 이 돌기가 수용되는 제1 홈을 가져서,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와 결합 시, 내측 부재 탄성부의 돌기가 외측 부재의 제1 홈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의 탄성부에 탄성부를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재가, 내측부재를 선반 걸이부에 나사 또는 리벳으로 고정할 때, 이 나사 또는 리벳이 내측부재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제2 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홀더.
KR2020130000449U 2013-01-18 2013-01-18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KR200472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49U KR200472328Y1 (ko) 2013-01-18 2013-01-18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49U KR200472328Y1 (ko) 2013-01-18 2013-01-18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28Y1 true KR200472328Y1 (ko) 2014-04-16

Family

ID=5148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49U KR200472328Y1 (ko) 2013-01-18 2013-01-18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434B1 (ko)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50A (ko) * 2008-04-15 2009-10-20 (주)대진아트와이어 주방용품 걸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50A (ko) * 2008-04-15 2009-10-20 (주)대진아트와이어 주방용품 걸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434B1 (ko)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896B1 (en) Supporting rack assembly
RU226305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ящик и зажим
US8931862B2 (en) Drawer
US20150296982A1 (en) Mounting device for drawer system
US9771975B2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connection of a furniture pull-out movably guided in a furniture body via a guide unit with the guide unit
US9937615B1 (en) Adjustable tool holder
KR200472328Y1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 홀더
JP2005080709A (ja) 収納ケース
US9456691B2 (en) Structure to prevent drawer from falling off
JP2006234379A (ja) クッキングレンジ
JP2020148340A (ja) 接続装置
EP2433545A1 (en) Handy mop
JP6335137B2 (ja) レール取付構造
CN109764623B (zh) 可调式搁物架以及使用该可调式搁物架的冰箱
JP6868384B2 (ja) 棚板支持具
KR20190080231A (ko) 맞물림 방법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JP4301090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ギング構造
JP2568798Y2 (ja) 棚の仕切装置
KR101759778B1 (ko) 분할 수납용 디바이더
KR20090016204A (ko) 착탈식 손잡이
JP6356650B2 (ja) 見出ホルダー
JP2718890B2 (ja) 着脱自在なバーなどの固定具
JP3187187U (ja) 移動式クリップボード
JP3184996U (ja) 商品情報表示用クリップ及び商品情報表示体
JP3211178B2 (ja) 額縁の裏板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