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91Y1 - 박막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박막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91Y1
KR200472091Y1 KR2020130009821U KR20130009821U KR200472091Y1 KR 200472091 Y1 KR200472091 Y1 KR 200472091Y1 KR 2020130009821 U KR2020130009821 U KR 2020130009821U KR 20130009821 U KR20130009821 U KR 20130009821U KR 200472091 Y1 KR200472091 Y1 KR 200472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sheet
extruder
cooling wat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관
Original Assignee
강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관 filed Critical 강호관
Priority to KR2020130009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91Y1/ko
Priority to CN201420527851.7U priority patent/CN204249303U/zh
Priority to US14/491,784 priority patent/US91743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92Drying moulded articles or half products, e.g. preforms, during or after mould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6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roller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55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6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7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by applying pressurised gas to the surface of the fla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38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29K2083/005LSR, i.e. liquid silicone rubber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스트립형태의 박막시트(1)를 성형하는 압출기(A)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를 수냉시키는 냉각수조(C)와, 상기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7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타공판(71)이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조(D)와, 상기 탈수조(D)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탈수장치(E)와,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는 박막시트(1)를 감는 권취기(F)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장치(E)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박막시트 제조장치{thin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박막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박막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 또는 TV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고성능 전자제품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제품들은 점차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이러한 전자제품의 내부에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제품의 박막시트가 삽입되어, 기판이나 각종 부품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기판이나 각종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박막시트는 플랙시블하면서 탄성이 있는 실리콘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두께는 0.4mm 내외의 두께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박막시트의 원료로 사용되는 실리콘은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쉽게 찢어지는 약점이 있음으로, 친환경적이면서 강도가 높은 고무를 비롯한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박막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종래의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고무를 두께가 얇은 박막시트형태로 제작하기가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전자제품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에 따라, 상기 박막시트의 두께 역시 0.4mm 이하로 얇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두께 0.4mm 이하의 제품을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704091호 등록특허 10-1226455호 등록특허 10-0531270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를 이용하여 두께가 얇은 박막시트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박막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스트립형태의 박막시트(1)를 성형하는 압출기(A)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를 수냉시키는 냉각수조(C)와, 상기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7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타공판(71)이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조(D)와, 상기 탈수조(D)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탈수장치(E)와,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는 박막시트(1)를 감는 권취기(F)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장치(E)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송풍구(83a)는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관(84)의 송풍구(84a)는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로울러(8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82d)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흡기장치(88)가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88)에 의해 상기 이송로울러(8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상향연장된 비산방지판(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기(F)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열풍을 불어내는 열풍건조기(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출기(A)와 냉각수조(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장치(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께조절장치(B)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되는 박막시트(1)의 전후방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31,32)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40)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특정하는 간격측정기구(5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울러(31,3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로울러(31,3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는 가압로울러(31,32)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압로울러(31,32)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압출기(A)에 의해 압출된 박막시트(1)를 냉각수조(C)를 이용하여 냉각시킨 후, 탈수조(D)와 탈수장치(E)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후 권취기(F)를 이용하여 권취함으로써, 고무재질의 이용하여 얇은 박막시트(1)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탈수장치(E)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로울러(86,8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송로울러(8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박막시트(1)의 상하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박막시트(1)의 상하면에 묻은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압출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두께조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두께조절장치를 도시한 배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두께조절장치를 도시한 평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냉각수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탈수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의 탈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고무재질로 구성된 2mm 두께의 박막시트(1)를 제작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박막시트(1)를 제작하는 고무는 천연고무에 다양한 종류의 합성물질을 혼합한 열가소성 합성고무를 이용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를 압출하여 스트립형태의 박막시트(1)를 성형하는 압출기(A)와,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장치(B)와,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후 두께조절장치(B)를 통과하는 박막시트(1)를 수냉시키는 냉각수조(C)와,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조(D)와, 상기 탈수조(D)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탈수장치(E)와,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는 박막시트(1)를 감는 권취기(F)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출기(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단에는 각각 투입구(11a)와 배출구(11b)가 형성된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12a)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투입구(11a)로 공급된 고무를 전방으로 가압이송하는 압출스크류(12)와, 상기 실린더(11)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스크류(1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고무를 가열하는 히터(13)와, 상기 배출구(11b)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스크류(12)에 의해 배출구(11b)로 압출된 고무가 통과하는 성형공(14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성형금형(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공(14a)은 측방향으로 길고 전후방향의 폭이 제작하고자 하는 박막시트(1)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 즉, 0.2mm의 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3)와 구동모터(12a)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1a)로 원료인 합성고무를 공급하면, 고무는 상기 히터(13)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압출스크류(12)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이송된 후 상기 성형금형(14)의 성형공(14a)을 관통하면서 얇은 박막시트(1)형태로 성형되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두께조절장치(B)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되는 박막시트(1)의 전후방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31,32)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40)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특정하는 간격측정기구(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로울러(31,32)는 측방향으로 길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양측 중앙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3)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는 고정가압로울러(31)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가압로울러(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가압로울러(32)에 구비된 회전축(33)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블록(3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의 회전축(33)의 일단에는 체인(37a)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6)에 연결되는 스프로켓(37)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와 가변가압로울러(32)의 회전축(33)의 타단에는 상호 치합되는 한 쌍의 기어(35)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6)를 이용하여 고정가압로울러(31)를 구동시키면,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와 가변가압로울러(32)가 연동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와 가변가압로울러(32)는 인접면이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는 가압로울러(31,32)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압로울러(31,32)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8)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로울러(31,32)에서 상기 기어(35)가 구비된 쪽의 회전축(33)은 상호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된 내, 외측지지관(33a,3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단(38)은 회전식커플러에 의해 상기 내측지지관(33a)에 연결된 급수관(38a)과, 회전식커플러에 의해 상기 외측지지관(33b)에 연결된 배수관(38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38a)은 수돗물 등과 같이 상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지지관(33a)을 통해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가압로울러(31,32)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수관(38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간격조절기구(4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중간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나사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지지블록(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나사축(41)과, 상기 나사축(41)의 기단부에 각각 구비된 핸들(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핸들(42)을 이용하여 나사축(41)을 정역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4)과 가변가압로울러(32)가 전후진되면서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와 가변가압로울러(32)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간격측정기구(5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접촉핀(52a)이 상기 가변가압로울러(32)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마이크로미터(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와 가변가압로울러(32)의 둘레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간격측정기구(50)의 마이크로미터(52)가 상기 가변가압로울러(32)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미터(52)의 영점을 조절한 후, 상기 간격조절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가압로울러(32)의 둘레면이 상기 고정가압로울러(31)의 둘레면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52)의 측정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가변가압로울러(32)와 고정가압로울러(31)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구동모터(36)를 구동시키고 상기 냉각수단(38)을 이용하여 가압로울러(31,32)가 냉각되도록 한 후,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가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박막시트(1)의 양면이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 의해 압착되면서 박막시트(1)의 두께가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로 조절된다.
이때,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는 온도가 매우 높은데 반해, 상기 가압로울러(31,32)는 상기 냉각수단(38)에 의해 냉각됨으로, 상기 박막시트(1)가 가압로울러(31,3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1차 냉각된다.
상기 냉각수조(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 것으로, 상기 두께조절장치(B)를 통과한 박막시트(1)가 냉각수에 잠기도록 냉각수조(C)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조(C)의 후단부에는 구동로울러(6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로울러(61)는 실리콘재질의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조(C)의 후단부 일측에 구비된 지지대(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구동모터(63)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조(C)의 내부에는 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64)이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가이드봉(64)의 하측을 통과하여 물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를 상기 가이드봉(64)의 하측과 상기 구동로울러(61)의 상면을 경유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박막시트(1)는 습기에 의해 상기 구동로울러(61)의 둘레면에 달라붙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로울러(61)가 상기 박막시트(1)를 당겨 박막시트(1)가 냉각수조(C)에 담긴 냉각수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후방의 탈수조(D)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탈수조(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7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타공판(71)이 배치되고 일측에는 도시 안된 배수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가 상기 타공판(71)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이 1차 제거된다.
상기 탈수장치(E)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로울러(8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회전축(82f)에 결합된 스프로켓(82b)과 체인(82c)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82a)에 연결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82d)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흡기장치(88)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일측에는 배기구(82e)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장치(88)는 흡기관(88a)을 통해 상기 배기구(82e)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로울러(8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82e)는 이송로울러(82)의 회전축(82f)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장치(88)를 이용하여 이송로울러(8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공(82d)을 통해 이송로울러(82)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박막시트(1)를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상측둘레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공(82d)을 통해 이송로울러(82)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82a)로 이송로울러(82)를 구동시키면, 상기 박막시트(1)가 당겨져 후방에 구비된 권취기(F)로 이송된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송풍관(83,84)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로울러(82)에 의해 당겨지는 박막시트(1)의 상하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송풍구(83a)는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박막시트(1)의 상면에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바람을 불어낸다.
그리고, 상기 하부 송풍관(84)의 송풍구(84a)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바람을 불어낸다.
상기 송풍기(85)는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급기관(85a)을 통해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지지로울러(86,8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8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박막시트(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전방지지로울러(86)와, 상기 전방지지로울러(86)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박막시트(1)의 상면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로울러(8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전방지지로울러(86)의 상면과 후방지지로울러(87)의 하측면을 경유하고,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상면을 경유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이송로울러(82)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흡기장치(88)와 송풍기(85)를 작동시키면, 상기 박막시트(1)가 이송로울러(82)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송풍구(83a,84a)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막시트(1)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여 상하면에 묻은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권취기(F)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후측에는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상향연장된 비산방지판(89)이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의해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이 제거될 때, 박막시트(1)에서 튀어나온 수분이 후방으로 튀어,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다시 수분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기(F)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장치(E)의 지지프레임(81) 후방 상측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81)의 상면에 구비된 측판(91)과, 상기 측판(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92a)에 의해 구동되어 둘레면에 상기 박막시트(1)를 감는 권취드럼(92)과, 상기 권취드럼(9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열풍을 불어내는 열풍건조기(93)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건조기(93)는 송풍기에 구비된 송풍관의 내부에 히터가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박막시트(1)를 상기 권취드럼(92)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92a)와 열풍건조기(93)를 작동시키면,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는 상기 권취드럼(92)에 권취되며, 이때, 상기 열풍건조기(9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박막시트(1)에 남은 수분이 추가적으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압출기(A)에 의해 압출된 박막시트(1)를 냉각수조(C)를 이용하여 냉각시킨 후, 탈수조(D)와 탈수장치(E)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후 권취기(F)를 이용하여 권취함으로써, 고무재질의 이용하여 얇은 박막시트(1)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탈수장치(E)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로울러(86,8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송로울러(8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박막시트(1)의 상하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박막시트(1)의 상하면에 묻은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송풍구(83a)는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관(84)의 송풍구(84a)는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 송풍관(83)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박막시트(1)의 상면 전방으로 경사지게 분사되고 상기 하부 송풍관(84)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수직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송풍구(83a,84a)에서 분사된 공기가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분사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됨으로, 박막시트(1)의 상하면에 묻은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로울러(8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82d)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로울러(82)에는 흡기장치(88)가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88)에 의해 상기 이송로울러(8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흡착되도록 함으로,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서 박막시트(1)가 슬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구동로울러(61)의 경우 수분이 묻은 상태의 박막시트(1)가 상면에 걸쳐짐으로, 수분에 의해 박막시트(1)가 구동로울러(61)에 달라붙게 되어, 구동로울러(61)가 구동될 때 박막시트(1)가 구동로울러(61)의 둘레면에서 슬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이송로울러(82)는 탈수장치(E)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박막시트(1)가 둘레면에 걸쳐짐으로, 단순히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박막시트(1)를 걸쳐놓을 경우 이송로울러(82)가 구동될 때 이송로울러(82)와 박막시트(1)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박막시트(1)가 후방으로 당겨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흡기공(82d)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로울러(82)에 흡기장치(88)를 연결하여,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박막시트(1)가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로울러(82)가 구동될 때 이송로울러(82)와 박막시트(1)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로울러(82)를 이용하여 박막시트(1)를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당겨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후측에는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상향연장된 비산방지판(89)이 구비됨으로, 상기 탈수장치(E)를 이용하여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털어 제거할 때, 수분이 후방으로 비산되어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다시 묻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F)에는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열풍을 불어내는 열풍건조기(93)가 구비되어,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일차로 제거된 박막시트(1)를 가열한다.
따라서, 박막시트(1)에 남은 수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수분이 묻은 박막시트(1)가 상기 권취기(F)에 권취되어 상호 달라붙거나, 수분에 의해 변색 또는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A)와 냉각수조(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장치(B)가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재차 조절함으로써, 박막시트(1)의 두께를 0.4mm 이하로 매우 얇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압출기(A)를 이용하여 고무를 압축하여 상기 성형금형(14)의 성형공(14a)으로 배출하여 박막시트(1)를 제작할 경우, 고무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성형공(14a)을 통해 배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는 상기 성형공(14a)의 폭에 비해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압출기(A)에 의해 제작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상기 두께조절장치(B)를 이용하여 재차 조절함으로써, 매우 얇은 박막시트(1)를 정확한 두께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여 건조된 박막시트(1)를 단순히 상기 권취기(F)를 이용하여 권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권취기(F)에 상기 박막시트(1)와 합지되는 테이프가 권취된 공급롤을 더 구비하여, 상기 공급롤에서 풀려나온 테이프를 상기 박막시트(1)와 합지하여, 상기 박막시트(1)의 일면에 테이프가 합지된 상태의 박막시트(1)가 상기 권취기(F)에 권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38)은 회전식커플러에 의해 상기 내측지지관(33a)에 연결된 급수관(38a)과, 회전식커플러에 의해 상기 외측지지관(33b)에 연결된 배수관(38b)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냉각수단(38)은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라디에이터 또는 냉각사이클 등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는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박막시트 제조장치는 고무를 이용하여 박막시트(1)를 제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리콘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박막시트(1)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A. 압출기 B. 두께조절장치
C. 냉각수조 D. 탈수조
E. 탈수장치 F. 권취기

Claims (6)

  1.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스트립형태의 박막시트(1)를 성형하는 압출기(A)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를 수냉시키는 냉각수조(C)와,
    상기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7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타공판(71)이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조(C)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조(D)와,
    상기 탈수조(D)를 통과한 박막시트(1)에 묻은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탈수장치(E)와,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하는 박막시트(1)를 감는 권취기(F)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장치(E)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81)과,
    상기 지지프레임(81)에 구비되며 구동모터(8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박막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82)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전방에 상기 박막시트(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박막시트(1)를 향해 개방된 송풍구(83a,84a)가 형성된 상하부 송풍관(83,84)과,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에 연결되어 상하부 송풍관(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상하부 송풍관(83,84)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86,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송풍구(83a)는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송풍관(84)의 송풍구(84a)는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울러(8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82d)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흡기장치(88)가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88)에 의해 상기 이송로울러(8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박막시트(1)가 상기 이송로울러(82)의 둘레면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관(83)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상향연장된 비산방지판(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F)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탈수장치(E)를 통과한 박막시트(1)의 하측면에 열풍을 불어내는 열풍건조기(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A)와 냉각수조(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된 박막시트(1)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장치(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께조절장치(B)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압출기(A)에서 압출되는 박막시트(1)의 전후방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31,32)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구(40)와,
    상기 가압로울러(31,32)의 간격을 특정하는 간격측정기구(5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울러(31,32)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로울러(31,32)에는 가압로울러(31,32)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압로울러(31,32)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시트 제조장치.
KR2020130009821U 2013-11-28 2013-11-28 박막시트 제조장치 KR200472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1U KR200472091Y1 (ko) 2013-11-28 2013-11-28 박막시트 제조장치
CN201420527851.7U CN204249303U (zh) 2013-11-28 2014-09-15 薄膜片制造装置
US14/491,784 US9174376B2 (en) 2013-11-28 2014-09-19 Thin film sheet fabri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1U KR200472091Y1 (ko) 2013-11-28 2013-11-28 박막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91Y1 true KR200472091Y1 (ko) 2014-04-04

Family

ID=5148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821U KR200472091Y1 (ko) 2013-11-28 2013-11-28 박막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4376B2 (ko)
KR (1) KR200472091Y1 (ko)
CN (1) CN20424930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35B1 (ko) * 2017-01-06 2017-07-26 최종석 고무 성형품 건조방법
CN113997478A (zh) * 2021-11-04 2022-02-01 海阳市凌晖包装有限公司 用于制造吹塑薄膜的吹塑薄膜机组
CN114603816A (zh) * 2022-03-25 2022-06-10 贺瑞峰 一种滴灌带生产牵引组件
KR102473701B1 (ko) * 2022-02-11 2022-12-01 정경석 고무 압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7946B4 (de) 2015-04-29 2024-01-2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einer für die Fahrzeugreifenherstellung geeigneten Kautschukmischung
CN105835331A (zh) * 2016-04-28 2016-08-10 芜湖利通新材料有限公司 Pvc胶皮的生产工艺
CN107775938A (zh) * 2016-08-31 2018-03-09 和则宏(天津)新型建材有限公司 具有管材位置矫正功能的高温余热回收型管材冷却系统
CN109956355A (zh) * 2017-12-26 2019-07-02 重庆市勇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传送装置
CN108454060A (zh) * 2018-01-04 2018-08-28 安徽艾迪文新材料有限公司 一种片材密度可控的塑料挤片装置
CN108058361A (zh) * 2018-01-05 2018-05-22 广东松山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薄膜挤出褶皱的预设拉力出料结构
CN111559100A (zh) * 2020-05-30 2020-08-21 成都阿茂芙科技有限公司 一种pet材料薄膜生产设备
CN111873500A (zh) * 2020-07-15 2020-11-03 王洛 一种薄膜生产工艺
CN112848621B (zh) * 2021-02-09 2022-10-25 德州华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土工膜横向淋水甩边装置
CN116714154B (zh) * 2023-08-07 2023-10-13 合肥普特化轻材料有限公司 一种pvc塑料成型挤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91B1 (ko) * 2003-09-17 2007-04-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인플레이션 압출 성형 방법, 이를 위한 압출 성형 장치 및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821322B1 (ko) * 2007-02-21 2008-04-11 김소자 합성수지시트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롤러 장치
KR20100014488A (ko) * 2007-03-28 2010-02-1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0288A (en) * 1967-10-02 1969-09-30 Du Pont Roll orienting process
US5171499A (en) * 1991-11-05 1992-12-15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Method of forming strip product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FR2959958B1 (fr) * 2010-05-11 2012-06-15 Michelin Soc Tech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e gomme pour pneumatique comprenant des moyens de refroidissement a eau
US9308672B2 (en) * 2011-03-01 2016-04-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ellet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91B1 (ko) * 2003-09-17 2007-04-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인플레이션 압출 성형 방법, 이를 위한 압출 성형 장치 및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821322B1 (ko) * 2007-02-21 2008-04-11 김소자 합성수지시트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롤러 장치
KR20100014488A (ko) * 2007-03-28 2010-02-1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35B1 (ko) * 2017-01-06 2017-07-26 최종석 고무 성형품 건조방법
CN113997478A (zh) * 2021-11-04 2022-02-01 海阳市凌晖包装有限公司 用于制造吹塑薄膜的吹塑薄膜机组
CN113997478B (zh) * 2021-11-04 2024-04-12 海阳市凌晖包装有限公司 用于制造吹塑薄膜的吹塑薄膜机组
KR102473701B1 (ko) * 2022-02-11 2022-12-01 정경석 고무 압출 장치
CN114603816A (zh) * 2022-03-25 2022-06-10 贺瑞峰 一种滴灌带生产牵引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249303U (zh) 2015-04-08
US9174376B2 (en) 2015-11-03
US20150147420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091Y1 (ko) 박막시트 제조장치
KR101757902B1 (ko) 계란팩 제조를 위한 펄프몰드 성형시스템
CN206247747U (zh) 一种塑料地板底料的冷却装置
CN103921540A (zh) 一种橡胶导带多套色辊筒印花机
KR100988150B1 (ko) 내용물 저장 튜브의 사이드 실링장치
CN205033643U (zh) 一种纸箱的涂胶压合一体机中的涂胶装置
CN214646795U (zh) 一种印刷用压平干燥装置
CN214027684U (zh) 一种环保印刷装置
KR101137195B1 (ko) 합성수지패널 제조장치
CN211921600U (zh) 皮革花纹成型机
CN212579027U (zh) 一种塑料鞋加工用冷却装置
CN212072898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塑料挤出机
CN216635401U (zh) 一种3d打印软性耗材用冷却装置
CN210436591U (zh) 一种用于填充母料挤出条的冷却干燥系统
CN207901844U (zh) 一种具有张紧装置的标签印刷机
CN112297604A (zh) 一种3d玻璃盖板移印机
KR200351267Y1 (ko) 통기성 필름 제조 장치
WO2005090059A1 (en) Foot valve system
CN204712433U (zh) 塑料挤出机用冷却装置
CN214027787U (zh) 一种用于印刷产品的干燥设备
CN210569672U (zh) 一种滚筒式干燥装置
US8580175B2 (en) Continuous curing and post-curing method
CN211105465U (zh) 一种透明聚酯薄膜成型机
CN210924184U (zh) 一种纳米浮雕压印装置
KR101444581B1 (ko) 인쇄기능이 구비된 비닐튜브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