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83Y1 -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83Y1
KR200471983Y1 KR2020130002231U KR20130002231U KR200471983Y1 KR 200471983 Y1 KR200471983 Y1 KR 200471983Y1 KR 2020130002231 U KR2020130002231 U KR 2020130002231U KR 20130002231 U KR20130002231 U KR 20130002231U KR 200471983 Y1 KR200471983 Y1 KR 200471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protrusion
hol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범
Original Assignee
권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범 filed Critical 권우범
Priority to KR2020130002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25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mortise and tenon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eparate pins, dow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면체 형상의 보관함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각 측벽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네 개의 프레임이 사각으로 결합되고, 배면에는 사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고서를 보관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 있어서, 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홈부와 제1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의 바닥면에는 압입 홀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 단부에는 상기 제1홈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수직 방향으로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상기 제2홈부에 압입되고, 상기 제2돌기부가 상기 제1홈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돌기부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홈부의 압입 홀에 압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Structure for Coupling Corner of Old Book Keeping Box }
본 고안은 고서(古書)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 형상의 보관함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각 측벽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책과 같은 도서는 책장이나 책꽂이에 보관되며, 일반적으로 책이 사각 형상을 이루므로, 책장이나 책꽂이도 책의 형상에 따라 사각의 함체 형상을 이룬다. 특히, 고서(古書)와 같은 오래된 책들은 표지와 속지가 대부분 한지로 제작되어 고서 자체에서는 수직 방향으로의 지지력을 거의 갖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서들은 대부분 수평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한 권씩 보관이 되며, 이를 위한 고서 보관함은 책장이나 책꽂이와는 달리 고서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사각 함체 형상을 이룬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서 보관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프레임(10)이 사각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고, 일 측의 배면에는 사각 플레이트(40)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네 개의 프레임(10)은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데, 각 프레임(10)의 연결은 접착제(30)나 못(20)이 이용되었다. 이때, 각 프레임(10)은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부는 홈부(11)와 돌기부(12)가 반복 형성되는 요철 형상을 이룬다. 일 측 프레임(10)의 돌기부(12)는 타 측 프레임(10)의 홈부(11)에 끼워지면서 서로 엇물림 되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접착제(30)나 못(20)과 같은 보조적인 고정 수단에 의하여 결합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서는 홈부(11)와 돌기부(12)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양 측의 프레임이 쉽게 이탈되므로 프레임(10)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제(30)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접착제로는 천연접착제나 화학접착제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접착제(30)로부터 발생되는 유기물이나 화학성분에 의하여 고서가 부패되거나 화학적 변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서는 접착제(30)만으로는 충분한 고정력을 나타내지 못하여 못(20)을 이용한 보조적인 고정 수단이 요구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0)에 있어서, 일 측의 프레임은 타 측의 프레임에 대하여 두 방향(-x, y)으로 이탈이 될 수 있고, 타 측의 프레임은 일 측의 프레임에 대하여 다른 두 방향(x, -y)으로 이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프레임(10)에 대하여 양 측 방향(x, y)으로 못(20)을 이용한 고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서(古書)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각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의 고서 보관함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결합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착제의 유기물이나 화학성분으로부터 고서의 오염이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은 수의 고정 못을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고정력을 나타내면서 모서리의 결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네 개의 프레임이 사각으로 결합되고, 배면에는 사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고서를 보관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 있어서, 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홈부와 제1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의 바닥면에는 압입 홀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 단부에는 상기 제1홈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수직 방향으로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상기 제2홈부에 압입되고, 상기 제2돌기부가 상기 제1홈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돌기부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홈부의 압입 홀에 압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수단은 대나무 못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구조는 네 개의 상기 프레임 내측 하단에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압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는 각 프레임의 압입 홈에 압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고서 보관함에 있어서 네개의 각 프레임 단부가 사다리꼴 형상의 엇물림으로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천연접착제나 화학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유기물이나 화학성분으로부터 고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공정이 사용되지 않고, 최소한의 못을 이용하여 결합을 고정시키므로, 결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서 보관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서 보관함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서 보관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의 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배면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서 보관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의 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서 보관함은, 네 개의 프레임(100)과 하나의 플레이트(300)로 구성되고, 고정 수단으로 고정 못(2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각 프레임(10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복수의 홈부(110a,110b)와 돌기부(120a,120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 형상을 이루어, 이웃하는 프레임(100a,100b)과는 홈부(110a,110b)와 돌기부(120a,120b)에 의한 엇물림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사각 판상으로 사각 형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100)의 하측 또는 상측 단부에 결합되며, 프레임(100)과의 결합으로 일 측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고정 못(200)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고, 엇물림으로 결합된 프레임(100)의 단부를 관통하여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홈부(110a,110b)와 돌기부(120a,120b)는 엇물림 구조의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어, 이웃하는 프레임(100a,100b)과 사다리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고서 보관함에 적용되는 프레임(100), 플레이트(300) 및 고정 못(200)은 고서에 물리적, 화학적으로 악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목재로 구성되며, 특히 고정 못(200)은 대나무 못이 이용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측의 제1프레임(100a) 단부는 다수의 제1홈부(110a)와 제1돌기부(120a)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홈부(110a)와 제1돌기부(120a)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y 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즉, 제1홈부(110a)는 내 측은 상하폭이 넓게 형성되고, 단부인 외 측(-y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돌기부(120a)는 내 측은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고, 단부인 외 측(-y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또한, 타 측의 제2프레임(100b) 단부는 제1프레임(100a)의 제1홈부(110a)와 제1돌기부(120a)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돌기부(120b)와 제2홈부(110b)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돌기부(120b)와 제2홈부(110b)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는 평행을 이루지만, 프레임의 수직 방향(y 방향)에 대하여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즉, 제2돌기부(120b)는 프레임의 내면은 상하 폭이 넓게 형성되고, 외면은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홈부(110a)는 프레임의 내면은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외면은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제2돌기부(120b)는 제1홈부(110a)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고, 동시에 제2홈부(110b)에는 제1돌기부(120a)가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단부는 수직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각 홈부(110a,110b)와 돌기부(120a,120b)는 제2프레임(100b)의 길이 방향(x 또는 -x 방향)으로만 압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프레임(100a)과 제2프레임(100b)은 제1프레임(100a)의 길이 방향(y 또는 -y 방향)으로의 이탈이 서로 제지되고, 제2프레임(100b)의 길이 방향(x 또는 -x 방향)으로만 압입과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모서리 결합 구조에 의하여 각 홈부(110a,110b)와 돌기부(120a,120b)가 일 측으로만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엇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접착 공정이 적용되지 않더라도 높은 견고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서는 못을 이용하여 결함을 고정시키는 수단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프레임(100a)의 제1홈부(110a) 바닥면에는 압입 홀(130a)이 형성되고, 제2프레임(100b)의 제2돌기부(120b)에는 관통 홀(130b)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 홀(130b)과 압입 홀(130a)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00a)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 못(200)은 제2돌기부(120b)의 관통 홀(130b)을 관통하고, 제1홈부(110a)의 압입 홀(130a)에 압입된다. 고정 못(200)이 압입됨으로 인하여, 제1프레임(100a)과 제2프레임(100b)이 제2프레임(100b)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의 이탈이 제지되어 결합이 고정된다.
결국, 본 고안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엇물림 결합과 고정 못의 압입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견고한 수직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못(200)은 일 측 방향으로만 압입되어도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수의 고정 못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제1프레임(100a)과 제2프레임(100b)은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의 프레임(100)이다. 이때, 제1홈부(110a), 제1돌기부(120a), 제2홈부(110b) 및 제2돌기부(120b)도 이웃하는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특정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130b)과 압입 홀(130a)도 이웃하는 프레임을 일 측 방향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특정 프레임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 대한 모서리 결합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모서리 결합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배면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0)는 사각의 판상을 이루며, 사각으로 결합된 프레임(100)의 내면에 접하도록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각 프레임(100)의 내면 하부에는 플레이트(3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압입 홈(140)이 형성되고, 플레이트(300)의 가장자리 측 단부가 각 프레임(100)의 압입 홈(140)에 압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플레이트(300)의 가장자리에는 프레임(100)의 압입 홈(140)에 대응하는 형상의 압입 돌기(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의 본 고안은 고서 보관함을 제작함에 있어서, 천연접착제나 화학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이나 화학성분으로부터 고서의 부패나 화학적 변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상의 엇물림 결합을 이용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나무 못을 이용한 고정으로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100a,100b : 프레임
110a,110b : 홈부 120a,120b : 돌기부
130a : 압입 홀 130b 관통 홀
140 : 압임 홈
200 : 고정 못
300 : 플레이트

Claims (3)

  1. 네 개의 프레임이 사각으로 결합되고, 배면에는 사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고서를 보관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에 있어서,
    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홈부와 제1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의 바닥면에는 압입 홀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
    단부에는 상기 제1홈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수직 방향으로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상기 제2홈부에 압입되고, 상기 제2돌기부가 상기 제1홈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돌기부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홈부의 압입 홀에 압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결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대나무 못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네 개의 상기 프레임 내측 하단에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압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는 각 프레임의 압입 홈에 압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KR2020130002231U 2013-03-25 2013-03-25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KR200471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31U KR200471983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31U KR200471983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83Y1 true KR200471983Y1 (ko) 2014-03-27

Family

ID=5148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31U KR200471983Y1 (ko) 2013-03-25 2013-03-25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68B1 (ko) * 2015-03-10 2016-06-02 조찬희 바리솔 조명용 라이트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75Y1 (ko) 2005-03-07 2005-06-02 (주)에리트퍼니처 신발장
KR100890344B1 (ko) 2008-06-24 2009-03-25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75Y1 (ko) 2005-03-07 2005-06-02 (주)에리트퍼니처 신발장
KR100890344B1 (ko) 2008-06-24 2009-03-25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68B1 (ko) * 2015-03-10 2016-06-02 조찬희 바리솔 조명용 라이트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3464A (en) Knockdown reusable container
KR200471983Y1 (ko) 고서 보관함의 모서리 결합 구조
KR20150049610A (ko) 포장박스용 조립 앵글
WO2015033672A1 (ja) 猫用爪研ぎ
JP2015016889A (ja) トレイ型の包装箱
JP3116269U (ja) 収納箱
JP5567111B2 (ja) 組立て用紙箱
KR20120001732U (ko) 일체형의 포장용 종이 상자
JP5049250B2 (ja) 家具固定構造
US20140031149A1 (e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Top Of Ping-Pong Table
JP2008254813A (ja) 多角形包装箱
KR101808250B1 (ko) 블록 조립체
KR20080010184A (ko) 포장용 트레이
JP2006335388A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US1116632A (en) Shipping-box.
KR102410601B1 (ko) 팔레트의 적층을 위한 보조자재
JP3133038U (ja) 創作的組立家具
JPH0331731Y2 (ko)
JP2007022027A (ja) 木質部材の連結構造
KR200360962Y1 (ko) 조립식 북엔드
JP2010132297A (ja) 収納ケース
KR200162218Y1 (ko) 회수가 용이한 박스
JP2001124028A (ja) 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箱体
JP6615635B2 (ja) 輸送治具
JP2017047908A (ja) 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