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13Y1 - 절곡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절곡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13Y1
KR200471313Y1 KR2020110005527U KR20110005527U KR200471313Y1 KR 200471313 Y1 KR200471313 Y1 KR 200471313Y1 KR 2020110005527 U KR2020110005527 U KR 2020110005527U KR 20110005527 U KR20110005527 U KR 20110005527U KR 200471313 Y1 KR200471313 Y1 KR 200471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
bending
blocking
pres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56U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2020110005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1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곡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 구동되는 프레스 유닛이 구비된 절곡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 유닛의 승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스 유닛의 승강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프레스 유닛에 구비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절곡프레스 장치{BENDING PRESS DEVICE}
본 고안은 절곡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의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부스바는 배전반 등의 설계에 따라 장착 및 다른 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절곡, 절단 또는 펀칭되는 등의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부스바의 가공 작업은 일종의 절곡프레스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절곡프레스 장치는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판재를 프레스 작업을 통해 벤딩 또는 펀칭 등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절곡프레스 장치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인입되어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사고로 인해 작업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승강 구동되는 프레스 유닛이 구비된 절곡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 유닛의 승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스 유닛의 승강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프레스 유닛에 구비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구동아암에 결합된 가압 프레임부; 상기 가압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프레임부와 함께 승강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하방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스부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 소재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유닛의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가압 프레임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교체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의 형상은 평면상으로 방형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스부가 결합된 영역이 전후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가압 프레임부의 전후 개방된 영역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프레스 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프레스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프레스 장치의 프레스 유닛이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곡프레스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절단 또는 펀칭 작업을 하는 절곡프레스 장치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프레스 장치에 다른 형상의 차단부가 구비된다.
절곡프레스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유닛(100), 구동부(200) 및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스 유닛(100)은 구동아암(210)을 포함하고 있는 구동부(200)와 결합된 가압 프레임부(110)를 구비한다.
가압 프레임부(110)는 "
Figure 112011046458463-utm00001
" 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마주보는 판재의 일단부에 가로방향으로 다른 판재가 결합된 것이다.
가압 프레임부(110)는 가압 프레임부(110)와 함께 승강되는 프레스부(120)와 결합된다.
프레스부(120)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접 가압하는 역할 즉, 상부금형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하단부가 가공형태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
다각형 형상의 프레스부(120)는 양단부에 제1돌출부(121)와 제2돌출부(122)가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며, 제2돌출부(122)의 단부에는 볼트가 더 형성된다.
프레스부(120)는 가압 프레임부(110)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스부(120)는 양단부에 돌출된 제1돌출부(121)와 제2돌출부(122)가 가압 프레임부(110)에 형성된 고정홈(111)에 각각 삽입된다.
삽입된 제1돌출부(121)는 별도로 구비된 결합부(123)가 제1돌출부(121)에 일치되도록 밀착된 후, 고정조임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부(123)와 제1돌출부(121)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가압 프레임부(110)에 삽입된 제2돌출부(122)는 가압 프레임부(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져, 외부로 노출된 제2돌출부(122)에 원형 형상의 오링(124)이 삽입된 후, 동시에 고정너트(N)를 제2돌출부(122)에 형성된 볼트에 결합함으로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프레스부(120)는 하방이격되게 배치되어 프레스부(120)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가 구비된다.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는 가압되는 프레스부(120)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 사이에 개재되는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의 판재가 절곡, 절단 또는 펀칭된다.
프레스 유닛(100)의 프레스부(120)는 가압 프레임부(11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프레스 과정에서 교체가능하게 마련된다.
분리시켜 교체되는 프레스부(120)는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가압 프레임부(110)의 고정홈(111)에 상기 프레스부(120)의 제1돌출부(121)와 제2돌출부(122)를 각각 삽입시킨 후, 상기 제1돌출부(121)에 결합부(123)와 고정조임볼트(B)로 결합시키며, 대응되는 제2돌출부(122)에 오링(124)과 고정너트(N)를 회전결합시켜 마무리한다.
프레스 유닛(100)은 프레스 유닛(100)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200)가 구비된다.
구동부(200)는 원통형 형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에 형성된 구동아암(210)이 가압 프레임부(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200)에 포함된 구동아암(210)은 프레스 유닛(100)의 가로방향을 결합된 다른 판재에 구비되어 구동부(200)로 인해 프레스 유닛(100)이 반복적으로 승강된다.
가압 프레임부(110)는 구동아암(210)이 포함된 구동부(200)가 구동됨으로 가압 프레임부(110)가 승강되는데 구동부(200)를 통해 가압 프레임부(110)의 승강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프레임부(110)는 구동부(200)로 인해 승강 구동이 용이하여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프레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스 유닛(100)은 승강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프레스 유닛(100)을 차단하는 차단부(300)가 구비된다.
차단부(30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차단부(300)로 이루어져 가압 프레임부(11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게 된다.
차단부(300)는 넓은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단에는 개방된 인입 요홈(301)이 형성되어 차단부(300)가 가압 프레임(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절곡 대상물인 부스바는 차단부(300)의 인입 요홈(301)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차단부(300)의 양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장착편(310)이 형성된다.
절곡된 차단부(300)의 장착편(310)은 가압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에도 장착편(310)과 동일하게 장착홈(112)이 형성되어 장착편(310)이 삽입되어 미끄러지듯이 하강하게 된다.
차단부(300)는 프레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일부분이 파손 및 노후화로 인해 교체가 불가피할 경우에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하게 부분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프레스 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에 연결 구비된 프레스 유닛(100)을 하강시켜 프레스 유닛(100)의 프레스부(120)가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와 맞물리도록 한다.
하강되는 프레스 유닛(100)은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차단부(300)가 프레스 유닛(1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40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임으로 프레스 유닛(100)만 하강하게 된다.
차단부(300)는 하강되는 프레스 유닛(100)의 프레스부(120)와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의 프레스 작업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가압 프레임부(110)는 프레스부(120)가 결합된 영역이 전,후 개방되게 마련되고, 차단부(300)는 가압 프레임부(110)의 전,후 개방된 영역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차단부(300)는 일단부가 개방된 것은 가압 프레임부(110)와 프레스부(120)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고정너트(N)가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 프레임부(110)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차단부(300)는 프레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절곡프레스 장치 내에 인입되어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3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재로 "
Figure 112011046458463-utm00002
"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차단부(300a)는 가압 프레임부(110)에 삽입하게 된다.
일단부가 개방된 차단부(300a)는 승강되는 과정에서 가압 프레임(110)의 외부에 노출된 결합부(123) 또는 고정너트(N)에 걸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단부(300a)는 가압 프레임부(110)에 신속하면서 어긋남이 없이 삽입되어 차단부(300a)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30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단부(300b)는 가압 프레임부(110)에 삽입하게 된다.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단부(300b)는 고정조임볼트(B)와 고정너트(N)를 가압 프레임부(110)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승강하는데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가압 프레임부(110)에 신속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분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프레스 장치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프레스 유닛(100)과 프레스 유닛(100)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200)가 구비된다.
다음에, 프레스 유닛(100)은 상호 마주보는 가압 프레임부(110)의 고정홈(111)에 프레스부(120)의 제1돌출부(121)와 제2돌출부(122)를 각각 삽입시킨 후, 제1돌출부(121)에는 결합부(123)와 고정조임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제1돌출부(121)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122)는 외부로 노출된 볼트에 오링(124)과 고정너트(N)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고정너트(N)를 회전시켜 가압 프레임부(110)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차단부(300)는 가압 프레임부(110)의 장착홈(112)과 차단부(300)의 장착편(310)을 일치되게 얹은 상태에서 상부를 순차적으로 눌러 하강시키면서 가압 프레임부(110)에 결합된다.
위와 같이 결합을 거쳐 완성된 절곡프레스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유닛(100)의 하부에 연결 구비된 구동부(200)가 구동되어 프레스 유닛(100)을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스 유닛(100)은 구동부(200)의 구동아암(2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구동부(200)가 구동으로 프레스 유닛(10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강되는 프레스 유닛(100)은 가압 프레임부(110)에 결합된 프레스부(120)가 하방이격된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에 맞물리도록 가압된다.
프레스부(120)가 피가압 소재 지지부(130)에 가압되는 동안 고정부(400)의 상부에 얹혀진 차단부(300)가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가압으로 인해 동판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판재가 절곡, 절단 또는 펀칭과 같은 프레스 작업이 완료된다.
프레스 작업이 완료된 절곡프레스 장치의 구동부(200)는 구동으로 인해 프레스 유닛(100)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되, 고정부(400)의 상부에 얹혀진 차단부(300)는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차단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차단부(300a, 300b)의 교체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 구동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100 : 프레스 유닛 110 : 가압 프레임부
111 : 고정홈 112 : 장착홈
120 : 프레스부 121 : 제1돌출부
122 : 제2돌출부 123 : 결합부
124 : 오링 130 : 피가압 소재 지지부
200 : 구동부 210 : 구동아암
300 : 차단부 310 : 장착편
400 : 고정부 B : 고정조임볼트
N : 고정너트

Claims (5)

  1. 가압 프레임부와, 상기 가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프레임부와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는 프레스부과, 상기 프레스부로부터 하방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프레스부의 하강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하게 되는 피가압 소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스 유닛과; 상기 가압 프레임부와 구동아암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프레임부를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절곡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프레임부의 승강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상기 가압 프레임부에 조립되되, 하단에는 절곡 대상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인입 요홈이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절곡프레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가압 프레임부의 승강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가압 프레임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홈에 안내되어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는 장착편을 더 포함하는 절곡프레스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형상은 평면상으로 방형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프레스 장치.
  5. 삭제
KR2020110005527U 2011-06-20 2011-06-20 절곡프레스 장치 KR200471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527U KR200471313Y1 (ko) 2011-06-20 2011-06-20 절곡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527U KR200471313Y1 (ko) 2011-06-20 2011-06-20 절곡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56U KR20120008956U (ko) 2012-12-28
KR200471313Y1 true KR200471313Y1 (ko) 2014-02-21

Family

ID=5141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527U KR200471313Y1 (ko) 2011-06-20 2011-06-20 절곡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1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23Y1 (ko) * 1999-05-31 2000-07-15 주식회사코스텍프레스 파워프레스의 방호장치
KR20110059035A (ko) * 2009-11-27 2011-06-02 이종성 부스바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23Y1 (ko) * 1999-05-31 2000-07-15 주식회사코스텍프레스 파워프레스의 방호장치
KR20110059035A (ko) * 2009-11-27 2011-06-02 이종성 부스바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56U (ko)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92378B (zh) 一种用于金属加工的铜锭打孔设备
KR101084296B1 (ko) 디스태킹 행거 장치
KR100862805B1 (ko) 포터블형 펀칭 장치
CN211161477U (zh) 一种便捷式冲孔折弯一体机
CN110076224B (zh) 一种钢筋网折弯生产线
CN102601669A (zh) 自动送料装置
KR20140000824U (ko) 샤링기
CN205766510U (zh) 一种边料裁剪机
KR200471313Y1 (ko) 절곡프레스 장치
KR20150083583A (ko) 비계용 수직비계봉 용접장치
KR100915998B1 (ko) 코일 연결용 용접장치 및 이 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코일
KR100783322B1 (ko) 수동 절단 절곡기
CN218310541U (zh) 一种用于汽车零件加工的冲压机防护装置
CN212851240U (zh) 一种用于pcb板加工用冲孔装置
CN210359014U (zh) 焊脚切脚机
CN204869031U (zh) 编织袋加工设备的定位脱袋机构
CN213559349U (zh) 一种不损坏铝合金内部结构的铝合金冲压设备
CN211783284U (zh) 一种用于汽车钣金翻孔的快速检测装置
CN210586670U (zh) 一种型材冲孔切断一体机
CN208150336U (zh) 一种焊带搬运中转系统
CN210587385U (zh) 一种用于汽车钣金剪切的液压剪板机
KR101095760B1 (ko) 차량용 배터리케이스의 천공장치
KR101822382B1 (ko) 벨트 절단 장치
CN214421838U (zh) 便于调节的印刷用压纸机
JP4953844B2 (ja) 回転カッター装置を備えたプレス剪断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26

Effective date: 201401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