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36Y1 -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 Google Patents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36Y1
KR200471236Y1 KR2020120006037U KR20120006037U KR200471236Y1 KR 200471236 Y1 KR200471236 Y1 KR 200471236Y1 KR 2020120006037 U KR2020120006037 U KR 2020120006037U KR 20120006037 U KR20120006037 U KR 20120006037U KR 200471236 Y1 KR200471236 Y1 KR 200471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steam
ship
main bod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427U (ko
Inventor
서명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3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 B63H21/08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relating to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공급된 후 냉각 및 유입되어 응축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오버플로우 배수부;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steam post-processing tank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각종 장비 및 오일 탱크로 공급된 후 냉각되어 응축되는 응축수가 내부에 저장된 후 넘치게 되는 응축수는 캐스케이드 탱크로 공급되도록 캐스케이드 탱크의 상부에 구비된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스팀(steam)을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 히터가 설치됨으로써 스팀 히터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 시스템이 마련된다.
이러한 선박의 스팀 공급 시스템은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 히터로 공급하고, 스팀 히터를 경유한 응축수가 보일러로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데, 이때 스팀이나 응축수의 순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녹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캐스케이드 탱크(cascade tank)가 마련된다.
선박용 스팀 공급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31244호(2011년04월1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스팀 공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히터를 비롯한 각종 장비 및 오일 탱크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1)와, 상기 스팀 히터를 비롯한 각종 장비 및 오일 탱크를 경유한 스팀이 냉각되어 응축되는 응축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옵저베이션 탱크(observation tank)(3)와, 옵저베이션 탱크(3)의 하부에 구비되어 옵저베이션 탱크(3)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 된 응축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캐스케이드 탱크(5)와, 상기 보일러(1) 및 상기 캐스케이드 탱크(5) 사이에 구비되어 캐스케이드 탱크(5)에 저장된 물을 보일러(1)로 내보내는 펌프(7)를 포함한다.
종래의 옵저베이션 탱크(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의 오염상태(오일 찌꺼기의 유무 등)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4)과, 케이싱(4)의 일측에 구비된 오일 센서(6)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옵저베이션 탱크(3)는 오일 센서(6)의 위치가 오버플로우 수위보다 높을 경우 오일 탐지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케이싱(4)에 용접된 보스(boss) 등의 체결 부재들을 일일이 철거한 후 재시공하여 오일 센서(6)의 위치를 변경해줘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31244호(2011년04월19일자 등록)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일 감지 수단의 위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오버플로우 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함으로써 오일 잔류 등의 응축수의 오염상태가 제대로 파악될 수 있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보스 등의 체결 부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 및 운전 관리가 간편해질 수 있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보스 등의 체결 부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재용접 및 재도장 작업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는: 선박의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공급된 후 냉각 및 유입되어 응축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오버플로우 배수부;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오일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캐스케이드 탱크의 상부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오버플로우 파이프와,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에 구비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는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판상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는,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이 개방되게 천공 형성되며, 천공 형성된 영역의 하부가 수평을 이루며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최상부에는 설치기준부가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오일 감지부의 위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오버플로우 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에서 오일 잔류 등의 응축수의 오염상태가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아울러, 보스 등의 체결 부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오일 탐지 작업 및 운전 관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나아가, 보스 등의 체결 부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재용접 및 재도장 작업으로 인한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용 스팀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스팀 보일러(1)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공급된 후 냉각 및 유입되어 응축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본체(20)와, 본체(20)의 일측에 구비된 오버플로우 배수부(30)와, 오버플로우 배수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2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에 의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는 본체(20)에서 오버플로우 배수부(3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오일 감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일 감지부(50)의 위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오버플로우 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에서 오일 잔류 등의 응축수의 오염상태가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오일 감지부(50)는 본체(20)에서 오버플로우 배수부(30)가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 타측에 구비된 오일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20)는 캐스케이드 탱크(5)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는 선박용 스팀 공급 시스템의 옵저베이션 탱크로서, 보일러에서 발생 된 스팀이 스팀 히터를 비롯한 각종 장비 및 오일 탱크를 경유한 후 열교환 냉각 및 응축되어 유입되는 응축수가 캐스케이드 탱크(5)로 오버플로우 되기 전에 모아져 오염상태가 처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오버플로우 배수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오버플로우 파이프(31)와, 오버플로우 파이프(31)에 구비된 플랜지(33)를 포함한다.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파이프(31)에 가로방향으로 플랜지(33)에 결합되도록 판상으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플레이트(plate)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오버플로우 배수부(30)의 플랜지(33)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오버플로우 파이프(31)의 전체 영역이 아닌 하부 일부 영역이 가로 막히게 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높일 수 있고, 오버플로우 배수부(30)의 플랜지(33)로부터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를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켜 오버플로우 파이프(31)의 전체 영역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다시 원래의 높이로 낮출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3)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이 개방되게 천공 형성되며, 천공 형성된 영역의 하부가 수평을 이루며 플랜지(33)에 결합되도록 플랜지(33)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최상부에는 설치기준부(41)가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의 전체 형상은 오버플로우 파이프(3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원형이 되고,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의 상부영역에는 본체(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오버플로우 되는 오버플로우 통공(43)이 판면에 천공 형성되며, 오버플로우 통공(43)의 형상은 대략 원호가 되되 하부는 가로로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원호 부분은 개방되고 하부 원호 부분은 가로 막히도록 형성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가 오버플로우 배수부(30)의 플랜지(33)에 결합되면 오버플로우 파이프(31)의 내부에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히게 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이때, 설치기준부(41)를 좌우로 조정하여 설치기준부(41)가 정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오버플로우 통공(43)의 하부가 수평이 되게 하여 본체(2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 통공(43)을 통해 캐스케이드 탱크(5)로 원활하게 오버플로우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 통공(43)의 크기를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들을 미리 마련함으로써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20)에서 보스 등의 체결 부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오일 탐지 작업 및 운전 관리가 간편해질 수 있고, 본체(20)에서의 재용접 및 재도장 작업으로 인한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10)의 파손이 본 고안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20 : 본체 30 : 오버플로우 배수부
31 : 오버플로우 파이프 33 : 플랜지
40 :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 41 : 설치기준부
50 : 오일 감지부

Claims (6)

  1. 선박의 스팀 보일러(1)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공급된 후 냉각 및 유입되어 응축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구비된 오버플로우 배수부(30);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20)의 오버플로우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30)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오버플로우 파이프(31),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31)에 구비된 플랜지(33)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는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31)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플랜지(33)에 결합되도록 판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수위 조절부(40)는 상기 플랜지(33)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영역이 개방되게 천공 형성되며,
    천공 형성된 영역의 하부가 수평을 이루며 상기 플랜지(33)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33)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최상부에는 설치기준부(41)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부(30)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오일 감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캐스케이드 탱크(5)의 상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20006037U 2012-07-10 2012-07-10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KR200471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7U KR200471236Y1 (ko) 2012-07-10 2012-07-10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7U KR200471236Y1 (ko) 2012-07-10 2012-07-10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7U KR20140000427U (ko) 2014-01-21
KR200471236Y1 true KR200471236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37U KR200471236Y1 (ko) 2012-07-10 2012-07-10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3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891Y1 (ko) * 2004-04-28 2004-07-30 주식회사 동화엔텍 수위 조절용 드레인 파이프가 부착된 열교환기
KR20120038536A (ko) * 2009-07-27 2012-04-23 피피엠클린 아베 선박의 오일-오염 빌지수와 폐수의 정화 방법, 정화 장치 및 이를 장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891Y1 (ko) * 2004-04-28 2004-07-30 주식회사 동화엔텍 수위 조절용 드레인 파이프가 부착된 열교환기
KR20120038536A (ko) * 2009-07-27 2012-04-23 피피엠클린 아베 선박의 오일-오염 빌지수와 폐수의 정화 방법, 정화 장치 및 이를 장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7U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6681A3 (fr)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de chaleur à partir d'eaux usées, système therm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édé
JP2016102378A5 (ko)
JP6542659B2 (ja) 燃焼装置
FI120549B (fi) Menetelmä ja laite soodakattilan pohjan tyhjentämiseen
KR200471236Y1 (ko)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JP2008082565A (ja) 生産用蒸気のドレン回収装置
JP6488937B2 (ja) 脱気水用フラッシュ蒸気回収装置
CN109208262B (zh) 洗衣机的蒸汽发生装置、洗衣机及清洗方法
JP2006194531A (ja) 蒸気減温装置
KR101705588B1 (ko) 진공 탈가스 설비용 침적관 구조체
KR101425341B1 (ko) 압전 소자를 이용한 체인 세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세척 방법
KR101271651B1 (ko) 대류식 무동력 배기가스 폐열회수 시스템
JP2005185745A (ja) 麺茹で装置
KR100885215B1 (ko) 냉각수 여과 장치
CN205570897U (zh) 一种汽车维修用零件清洗浸泡装置
JP6371082B2 (ja) 圧送排水装置
JP5855929B2 (ja) 熱交換器
KR101265029B1 (ko) 세탁소용 증기 발생 시스템의 배수 트랩
JP2007319722A (ja) 槽底吐出吸込金物、金物内部ユニット、循環機構付き槽ユニット及び槽底吐出吸込金物の取付施工方法
KR101348333B1 (ko) 선박용 해수 스트레나의 구조
CN106638832A (zh) 食品加工车间使用的清洗下水过滤箱
JP5732211B2 (ja) 熱交換装置
JP5457893B2 (ja) 廃蒸気回収装置
JP2008264222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170000508U (ko)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