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08U -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08U
KR20170000508U KR2020150005073U KR20150005073U KR20170000508U KR 20170000508 U KR20170000508 U KR 20170000508U KR 2020150005073 U KR2020150005073 U KR 2020150005073U KR 20150005073 U KR20150005073 U KR 20150005073U KR 20170000508 U KR20170000508 U KR 20170000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ming
tray
flat bar
deck
dr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08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01/12

Abstract

본 고안은 선체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식 코밍 트레이를 설치하게 되어 전동수레 등의 장비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데크 상에 탱크와 파이프의 각종 장비가 설치되며, 상기 각종 장비를 둘러싸면서 데크에 설치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 둘레를 감싸는 코밍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 상부에 밀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REMOVABLE DECK COAMING TRAY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식 코밍 트레이를 설치하게 되어 전동수레 등의 장비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밀폐공간의 자연통풍이나 각종 탱크 내부의 압력 조절 또는 유체높이 측정 등을 위해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선박의 노출 갑판에는 이러한 배관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벤트헤드(AIR VENT HEAD) 또는 수위측정기능을 갖춘 사운딩헤드(SOUNDING HEAD)가 설치된다.
에어벤트헤드나 사운딩헤드 중에서 공기와 함께 오일이 배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오일탱크 등과 연결된 것)에는 그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오일코밍(Oil coaming)을 설치한다.
공기와 함께 오일이 배출될 경우 이 오일이 오일코밍 내에 고이도록 함으로써 선체나 해양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인 오일코밍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10)의 에어벤트헤드(또는 사운딩헤드)(20) 주위를 포위하는 상자형태의 평강(flat bar,30)이 마련된다. 즉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4개의 평강(flat bar,30)이 상자형태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이 용접에 의해 갑판에 고정되는 형태다.
한편, 오일코밍들 중에서 선체의 측벽이나 갑판 상의 부설물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은 갑판의 배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통상 150 ~ 200mm정도 선체의 측벽 또는 갑판 상의 부설물과 이격을 유지한다.
갑판 상의 빗물이 선체측벽(또는 부설물)과 오일코밍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갑판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한다.
오일코밍을 선체의 측벽이나 부설물에 밀착시켜 설치할 경우 오일코밍과 측벽 사이의 구석부분에 빗물이 고여 배수장애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일코밍을 선체의 측벽이나 갑판 상의 부설물과 이격시켜 설치하면, 오일코밍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점유가 커지기 때문에 갑판 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이러한 오일코밍은 에어벤트헤드 등의 주위 사방을 포위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코밍의 설치에 따른 재료의 소요가 컸다.
또한, 종래에는 평강(flat bar)이 갑판 상에 용접이 되어 설치가 됨으로서, 장비와 장비 사이의 통행로는 평강과 평강 사이의 간격으로 고정이 되고, 장비 배치 간격을 더 이상 넓힐 수 없고 해당 간격이 너무 좁으면 특정 사이즈의 손수레 및 전동 수레가 지나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밍 트레이를 데크로부터 필요에 따라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시 특정 사이즈의 손수레 및 전동 수레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로서, 데크 상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와 배관을 둘러싸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에 탈장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 둘레를 감싸게 되는 코밍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바는 데크 상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로 근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 상부에 밀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드레인 밸브로부터 새어 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플랫바 안쪽의 장비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플랫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드레인 밸브로부터 새어 나오는 물이나 기름이 플랫바 안쪽의 장비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플랫바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바닥판의 외곽 둘레에 상부로 설치되되 드레인 밸브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기름이 한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플랫바 상부 쪽에는 제외하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차단판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랫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탈부착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에 설치되되 데크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로서, 데크 상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와 배관을 둘러싸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에 탈장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 둘레를 감싸는 코밍 트레이와, 상기 코밍 트레이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끼움 방식으로 탈착시키는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는 코밍 트레이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플랫바가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전,후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데크 상에 각종 장비와 배관을 둘러싸는 플랫바를 설치하고 플랫바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코밍 트레이를 설치함으로써 손수레 및 전동 수레의 이동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에 따르면, 데크 상에 각종 장비 및 배관을 둘러싸게 되는 플랫바를 각종 장비에 최대한 밀착되게 설치하고 상기 플랫바에 드레인 밸브를 감싸는 코밍 트레이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게 됨으로써 이동 통로에 대한 유연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장비 배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간편하게 코밍 트레이를 탈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코밍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코밍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200)와, 코밍 트레이(300)와, 고정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플랫바(200)는 데크(10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데크(100) 상에 설치된 탱크와 파이프 등의 각종 장비(110)를 둘러싸면서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랫바(200)는 데크(100) 상의 각종 장비(110)에 최대한 근접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데크(100) 상에 각종 장비(110)를 감싸면서 플랫바(200)를 설치하되 각종 장비(110)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근접시켜 설치하게 됨에 따라 데크(100) 상의 이동 통로의 넓이를 최대로 넓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랫바(200)는 각종 장비(110)에서 흘러나오는 물이나 기름이 넘치지 않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세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랫바(200)는 각종 장비(110)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면서 데크(100) 상에 용접 고정되어지게 된다.
상기 코밍 트레이(300)는 플랫바(200)에 탈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드레인 밸브(120) 하부에 드레인 밸브(120)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밍 트레이(300)는 플랫바(200)에 설치되어질 때 데크(100)와 공간을 형성하는 높이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코밍 트레이(300)는 바닥판(310)과, 차단판(320)과, 고정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310)은 플랫바(2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310)은 드레인 밸브(120)로부터 새어 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플랫바(200) 안쪽의 장비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플랫바(2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코밍 트레이(300)가 플랫바(200)에 설치되어질 때 상기 바닥판(310)을 플랫바(200)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코밍 트레이(300)에 쌓이지 않고 플랫바(200)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서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310)은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플랫바(200) 안쪽의 각종 장비(110)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플랫바(200) 상부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바닥판(310)이 플랫바(200)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플랫바(200)의 상부 보다 더 돌출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플랫바(200)의 바깥쪽 즉 데크(100)의 이동 통로 쪽으로 흐르지 않고 플랫바(200)의 안쪽 즉 각종 장비(110) 쪽으로 흘러내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판(320)은 바닥판(310)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주게 된다.
상기 차단판(320)은 바닥판(310)의 외곽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320)은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플랫바(200) 안쪽의 각종 장비(12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플랫바(200) 상부 쪽에는 제외하고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차단판(320)이 바닥판(310) 상부에 설치되되 양측 면과 바깥쪽 면은 설치되고 안쪽 면은 설치하지 않게 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데크(100) 상의 이통 통로 쪽으로는 흘러내리지 않고 플랫바(200) 안쪽의 각종 장비(110) 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차단판(32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정부재(410)와, 연결부재(420)와, 볼트(430) 및 너트(44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차단판(320)의 측부에 'L'자 형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부 측면이 차단판(320)에 용접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의 바닥면에는 볼트(430)가 삽입되어 너트(440)로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홈(4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420)는 플랫바(200)의 외측에 'ㄱ'자 형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20)의 측면이 플랫바(200)에 용접되어지며, 상부면이 고정부재(4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볼팅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부면에는 고정부재(410)와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43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홈(42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볼트(430)는 연결부재(420)의 볼트삽입홈(421)에 삽입되면서 고정부재(410)의 볼트체결홈(411)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볼트체결홈(411)을 통과한 볼트(430)에 너트(440)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410)와 연결부재(420)가 볼트(430) 및 너트(440)로 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코밍 트레이(300)가 플랫바(200)에 고정되어 드레인 밸브(120)를 커버할 수 있으며, 손수레 및 전동 수레가 통과하거나 유지보수시 상기 볼트(430) 및 너트9440)를 풀어 상기 플랫바(200)로부터 코밍 트레이(300)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로부터 분리한 다음 드레인 밸브(120)를 제거하게 되면 데크(100) 상에 이동 통로가 넓어져 손수레 및 전동 수레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코밍 트레이(300)의 바닥판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판(33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310)에는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수거판(330)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배출부(311)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311)는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수거판(330)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수거판(330)은 바닥판(310)의 하부에 바닥판(310)과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거판(330)이 차단판(320)의 내측으로 바닥판(310) 하부에 바닥판(310)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배출부(311)를 통해 수거판(330)으로 떨어져 모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거판(330)의 끝단면에는 배출부(311)를 통해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수거판(330)으로 모일 때 수거판(330) 바깥쪽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흐름방지턱(331)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흐름방지턱(331)은 수거판(330)에 모인 물이나 기름을 수거통(도시하지 않음)에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바닥판(310)의 하부면과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200)와, 코밍 트레이(300)와, 끼움 부재(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플랫바(200)는 데크(10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데크(100) 상에 설치된 탱크와 파이프 등의 각종 장비(110)를 둘러싸면서 각종 장비(110)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코밍 트레이(300)는 플랫바(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120)를 감싸게 된다.
상기의 코밍 트레이(300)는 플랫바(200) 상부에 밀착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을 받게 되는 바닥판(310)과, 상기 바닥판(310)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320)과, 상기 차단판(3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 끼움 방식으로 탈착시키는 끼움부재(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끼움부재(500)는 코밍 트레이(30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로 복수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재(500)와 끼움부재(500) 사이에 플랫바(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부(51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플랫바(200)에 드레인 밸브(120)를 하부에서 감싸게 되는 코밍 트레이(300)를 설치하고자 할 때 상기 끼움부재(500)와 끼움부재(500) 사이의 끼움홈부(510) 내로 플랫바(200)를 끼워서 상기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500)에 의해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할 필요없이 드레인 밸브(120)가 코밍 트레이(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끔 설치하여 설치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한편, 손수레 및 전동수레의 이동이나 장비 보수시 플랫바(200)에 끼움부재(500)로 끼워져 있는 코밍 트레이(300)를 들어올려서 플랫바(200)로부터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데크 상에 탱크와 파이프 등의 각종 장비(110)가 설치됨에 있어 각종 장비(110)를 둘러싸면서 플랫바(200)가 설치되고 플랫바(2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코밍 트레이(300)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데크(100) 상의 각종 장비(110)와 각종 장비(110) 사이의 이동 통로를 넓힐 수 있어 손수레 및 전동 수레가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를 가지는 선박에 적용된다.
즉, 상기 데크(100) 상에 설치된 각종 장비(110)와 최대한 밀착되면서 플랫바(200)가 설치되며 플랫바(200)의 상부에 간편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드레인 밸브(120)를 감싸면서 코밍 트레이(300)를 설치하여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을 코밍 트레이(300)에서 받을 수 있고 손수레 및 전동수레를 이동시키거나 장비를 보수하고자 할 때에는 플랫바(200)에 설치된 코밍 트레이(300)를 간편하게 분리한 다음 드레인 밸브(120)를 제거하여 이동 통로의 넓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모든 선박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데크(100) 상에 탱크나 파이프 등의 각종 장비(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종 장비(1100의 외측 둘레에 드레인 밸브(120)의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각종 장비(110)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플랫바(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플랫바(200)가 각종 장비(110)에 최대한 근접되어 설치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플랫바를 드레인 밸브의 설치 위치 바깥쪽에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드레인 밸브(120)의 설치 위치만큼의 여유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바(200)에 볼팅 방식이나 끼움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코밍 트레이(300)를 설치하면서 드레인 밸브(120)를 감싸게 되어 상기 드레인 밸브(120)에서 떨어지는 물이나 기름을 코밍 트레이(300)에서 원활하게 받아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데크(100) 상에서 손수레 및 전동 수레를 이동시키거나 장비를 보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플랫바(200)에 볼팅 방식이나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로부터 분리한 다음 드레인 밸브(120)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밍 트레이(300)를 플랫바(200)에서 분리하고 드레인 밸브(12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코밍 트레이(300)와 드레인 밸브(120)의 설치 간격만큼의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코밍 트레이(300)와 드레인 밸브(120)의 제거한 간격만큼의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특정 사이즈의 손수레 및 전동수레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데크 110 : 각종 장비
120 : 드레인 밸브 200 : 플랫바
300 : 코밍 트레이 310 : 바닥판
311 : 배출부 320 : 차단판
330 : 수거판 331 : 흐름방지턱
400 : 고정수단 410 : 고정부재
411 : 볼트체결홈 420 : 연결부재
421 : 볼트삽입홈 430 : 볼트
440 : 너트 500 : 끼움부재
510 : 끼움홈부

Claims (11)

  1. 데크 상에 탱크와 파이프의 각종 장비가 설치되며, 상기 각종 장비를 둘러싸면서 데크에 설치되는 플랫바; 및
    상기 플랫바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 둘레를 감싸는 코밍 트레이;
    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바는 데크 상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의 외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밍 트레이는,
    상기 플랫바의 상부에 밀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의 양측부와 플랫바의 외측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드레인 밸브로부터 새어 나오는 물이나 기름을 플랫바 안쪽의 장비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플랫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드레인 밸브로부터 새어 나오는 물이나 기름이 플랫바 안쪽의 장비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플랫바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바닥판의 외곽 둘레에 상부로 설치되되 드레인 밸브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기름이 한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플랫바 상부 쪽에는 제외하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차단판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플랫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탈부착시키는 볼트 및 너트;
    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밍 트레이는 플랫바에 설치되되 데크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9. 데크 상에 탱크와 파이프의 각종 장비가 설치되며, 상기 각종 장비를 둘러싸면서 데크에 설치되는 플랫바;
    상기 플랫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레인 밸브 둘레를 감싸는 코밍 트레이; 및
    상기 코밍 트레이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코밍 트레이를 플랫바에 끼움 방식으로 탈부착시키는 끼움부재;
    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코밍 트레이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플랫바가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전,후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크 상에 설치된 플랫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코밍 트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를 가지는 선박.
KR2020150005073U 2015-07-28 2015-07-28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700005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73U KR20170000508U (ko) 2015-07-28 2015-07-28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73U KR20170000508U (ko) 2015-07-28 2015-07-28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08U true KR20170000508U (ko) 2017-02-07

Family

ID=5840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73U KR20170000508U (ko) 2015-07-28 2015-07-28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565A (ko) 2020-09-16 202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갑판에 밀착되는 탈부착형 코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565A (ko) 2020-09-16 202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갑판에 밀착되는 탈부착형 코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614B2 (en) Facilities connection box for pre-facilitation of wafer fabrication equipment
US7073994B2 (en) Cargo deck for an aircraft
GB2515273A (en) Improved transfer system
KR20170000508U (ko) 탈부착 가능한 데크 코밍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2008189194A (ja) 車両
US20210238023A1 (en) Conversion frame for fuel dispenser
KR101304406B1 (ko) 선박용 루버 벤트
EP2947212B1 (en) Backflow prevention valve and method of preventing backflow during water supply
KR101661627B1 (ko) 화물창 내 빌지 웰의 개폐 구조
KR101209610B1 (ko) 씨체스트 커버장치
KR200477367Y1 (ko) 수중 작업이 가능한 선미관 씰 보호용 커버 장치
US20210253204A1 (en) Thru Hull with Removable Drainage Device
US20100098490A1 (en) Drain pipe
CN205524808U (zh) 一种用于船舶露天甲板排水的可拆卸滤桶
KR20150000674U (ko) 선박용 빌지해트
WO2009141017A1 (en) Adjustable tarpaulin for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EP3126215B1 (en) Floating structure
KR20130002882U (ko) 해양구조물의 유입변압기용 오일 수거구조
KR20130006874U (ko) 선박 맨홀용 배수장치
JP2018079834A (ja) 船舶の置きタンクの液体漏洩防止装置
JP7274963B2 (ja) 排水構造
FR2968118A1 (fr) Dispositif d'obturation et de protection pour une cuve d'un reacteur nucleaire
KR200471236Y1 (ko) 선박용 스팀 후처리 탱크
KR20150011664A (ko) 빌지 웰 일체형 체인 락커
US20090145160A1 (en) Beverage dispensing unit and ice bin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