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18Y1 -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18Y1
KR200471218Y1 KR2020120008736U KR20120008736U KR200471218Y1 KR 200471218 Y1 KR200471218 Y1 KR 200471218Y1 KR 2020120008736 U KR2020120008736 U KR 2020120008736U KR 20120008736 U KR20120008736 U KR 20120008736U KR 200471218 Y1 KR200471218 Y1 KR 20047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water
membrane filter
fiber membrane
filt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성
Original Assignee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 와코텍 filed Critical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to KR2020120008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사막 필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원수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지역에 제한받지 않도록 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유입부 및 출수부가 형성되며, 무독성 항균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와 관로를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中空)의 결합부재;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 및 결합부재와 관로를 형성하며, 단부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부와 출수부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공섬유와 중공섬유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상기 결합부재의 관로 및 출수부의 관로에 형성된 격자 형태의 격자망;상기 각각의 격자망 내측에 밀착된 부직포;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밀착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된 중공의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물주머니;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각 양단부와 부직포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세라믹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라믹 볼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섬유에 접촉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with Ultra Filtera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사막 필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원수를 휴대하여 사용지역에 제한되지 않도록 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등을 즐길 수 있는 여행지 등에서는 야외에서 구할 수 있는 물이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음용 가능한 식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야외 훈련이 잦은 군인들의 경우, 식수 부족으로 인해 훈련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수기는 복수의 필터와, 원수를 펌핑하기 위한 가압펌프와, 가압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정수기는 야외에서 여러 사람에게 많은 양의 정수물은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람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마다 수시로 물을 마시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특히, 가압펌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원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휴대용 정수기의 설치장소에 있어서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인용 휴대 정수기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개인용 휴대 정수기는 사용자가 강이나 하천의 물을 직접 빨아올리면, 물은 개인용 휴대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되어 정수물로 제공되는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개인용 휴대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개인용 휴대 정수기는 본체(10)와, 필터(20)와, 흡입튜브(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개인용 휴대 정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필터(20)를 보호한다.
이때, 본체(10)의 하단부에는 강이나 하천의 물(이하, '원수'라 함)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1)은 마개(12)로 차폐되며, 사용시에는 흡입튜브(30)가 끼워지는 부위이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원수를 본체(10)의 내부로 빨아들이기 위한 빨대(1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필터(20)는 유입공(11)을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eration)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흡입튜브(30)는 원수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서, 호스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인용 휴대 정수기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수시켜 마시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단부에 권선된 흡입튜브(30)를 풀어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입공(11)에 결합시킨다.
이후, 흡입튜브(30)의 단부를 강이나 하천에 침수시킨 후, 사용자는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빨대(30)를 입에 물고 원수를 흡입시킨다.
흡입튜브(30)를 따라 흡입된 원수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20)를 거쳐 여과된 후 정수물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개인용 휴대 정수기는 개인용으로 제공되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가압펌프의 작용없이 바로 흡입하여 물을 마실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정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개인용 휴대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중공사막 필터(20)에 여과된 오염 물질이 남아 있어, 오랜 기간 사용 후에는 오염 물질로 인해 2차 오염될 우려가 큰 문제가 있었다.
즉, 중공사막 필터(20)의 내부에는 여러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남아 있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은 항상 젖어 있는 중공사막 필터(20) 환경으로 인해 2차 오염 물질을 발생시킴으로써 정수효과가 저하되어 정수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빨대(13)의 내부 역시 항상 물에 젖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빨대(13)의 내부는 정수물이 배출되는 관로이므로 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번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개인용 휴대 정수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강이나 하천 등의 원수 제공지역이 있어야 하므로, 사용 지역에 대한 제한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군인들의 행군 훈련시 또는 오지 여행시 강이나 하천 등의 원수 제공지역이 없을 경우 개인용 휴대 정수기는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3-0035778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237669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공사막 필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여과된 물의 항균 효과를 극대화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휴대용 물주머니를 제공하여 사용 장소에 제한 없이 정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유입부 및 출수부가 형성되며, 무독성 항균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와 관로를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中空)의 결합부재;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 및 결합부재와 관로를 형성하며, 단부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부와 출수부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공섬유와 중공섬유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상기 결합부재의 관로 및 출수부의 관로에 형성된 격자 형태의 격자망;상기 각각의 격자망 내측에 밀착된 부직포;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밀착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된 중공의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물주머니;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각 양단부와 부직포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세라믹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라믹 볼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섬유에 접촉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일단부와 출수부 사이에는 출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공간에는 복수의 세라믹 볼이 배치되고 출수공간과 출수부 사이에는 부직포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출수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의 내주면에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일단부가 걸려 밀착된 단턱이 형성되고,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일단부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o-ring)이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로 삽입된 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고정부의 외주면과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o-ring)이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과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타단부 사이에는 세라믹 볼 및 부직포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횡단면은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출수부와 출수공간 사이에는 격자 형태의 격자망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양측에 복수의 세라믹 볼이 배치됨으로써, 원수 및 여과된 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에 배치된 중공섬유에 세라믹 볼이 접촉되어 항균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중공섬유에 여과된 오염물질로부터 2차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수물의 품질을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입부의 하단부에 물주머니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사용 지역에 제한없이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물주머니에 강이나 하천의 원수를 담아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강이나 하천 등의 원수 제공지역이 아니더라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유입부의 하단부와 물주머니 간에 결합이 나사 결합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물주머니의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유입부의 하단부에 물주머니의 네크부가 나사 결합시, 상기 네크부의 단부는 연질의 밀착부재 경사면에 밀착됨으로써, 네크부와 밀착부재 간에 밀폐력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의 경사면 일부가 네크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씰링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정수작용 중에 물주머니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인용 휴대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는 중공사막 필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원수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지역에 제한받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결합부재(200)와, 밀착부재(300)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와, 물주머니(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의 재질은 무독성 항균 소재임이 바람직하며,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유입부(110) 및 출수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10)는 도면상 몸체(100)의 하단부에 해당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부위이다.
이때, 유입부(1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결합부재(20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출수부(120)는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부위이며, 도면상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출수부(120)는 몸체(100)의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의 형태는 평면에서 봤을 때 반원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입을 대고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측 상부 내주면에는 단턱(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130)은 후술하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일단이 걸려 위치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턱(130)과 출수부(12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설명의 편의상 출수공간(140)이라 한다.
상기 출수공간(140)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통해 여과된 물이 모인 후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출수공간(140)에는 무독성 항균 바이오 세라믹 볼(CB:이하, '세라믹 볼'이라 함)이 복수로 배치된다.
세라믹 볼(CB)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통해 여과된 물을 출수공간(140)에서 최종적으로 항균 작용을 시킴과 더불어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에 대한 항균 작용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출수공간(140)과 출수부(120) 사이에는 부직포(F)가 설치된다.
부직포(F)는 세라믹 볼(CB)이 출수부(120)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통해 혹시 여과되지 못하고 배출된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거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출수부(120)의 관로에는 격자 형태의 격자망(N)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격자망(N)은 출수부(120)가 개방되었을 때, 외부의 이물질이 부직포(F)를 향해 유입되는 것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200)는 물주머니(500)를 몸체(100)의 유입부(110)에 탈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몸체(100)의 유입부(110)에 나사 결합된다.
결합부재(200)는 몸체(1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100)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재(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유입부(11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00)의 하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물주머니(500)의 네크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00)의 일단부(도면상 상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된 고정부(210)가 더 형성된다.
고정부(210)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때, 고정부(200)의 외주면에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o-ring)이 결합된다.
한편, 고정부(200)는 결합부재(200)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200)의 내주면과 고정부(200) 사이는 이격되어 끼움홈(2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끼움홈(220)은 밀착부재(30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부위이다.
그리고, 결합부재(200)의 관로, 정확하게는 고정부(210) 사이에는 출수부(120)의 격자망(N)과 동일한 격자망(N)이 형성된다.
격자망(N)은 후술하는 부직포(F)가 결합부재(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00)의 내부에는 부직포(F)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200)는 유입부(11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내부와 통하는 유입관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부직포(F)는 격자망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재차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 역시 무독성 항균 소재임이 바람직하며,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밀착부재(300)는 물주머니(500)가 결합부재(200)에 결합되었을 때, 물주머니(500) 네크부와의 기밀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합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220)에 끼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밀착부재(300)의 일단부에는 끼움홈(220)에 결합되는 끼움돌기(310)가 형성되고, 밀착부재(300)의 타단부에는 경사면(320)이 형성된다.
경사면(320)은 밀착부재(300)의 타단부 테두리로부터 밀착부재(300)의 일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밀착부재(300)의 재질은 네크부와의 기밀 유지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연질임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임(PE)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Ultra Filteration cartridge)(400)는 강이나 하천의 원수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는 몸체(100)의 유입부(110) 및 출수부(120) 방향으로 배치되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일단부(도면상 상단부)는 몸체(100)의 단턱(130)에 걸려 위치된다.
그리고,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타단부(도면상 하단부)는 결합부재(200)의 고정부(210)에 고정된다.
이때,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몸체(100)의 내측면과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R)이 결합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관통된 중공의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미세구멍이 무수히 많이 형성된 복수의 중공섬유(420)로 구성된다.
이때, 중공섬유(420)는 케이스(410)의 일단부(도면상 상단부)에 우레탄 폼으로 고정된 후 코팅되어 고정되며, 케이스(410)의 타단부(도면상 하단부)에는 원수 및 중공섬유(420)의 항균 작용을 위한 복수의 세라믹 볼(CB)이 내장된다.
즉, 중공섬유(420)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구성으로서, 항상 물에 젖어 있는 상태이므로, 중공섬유에 여과되어 있는 오염물질로부터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세라믹 볼(CB)은 항균 작용을 통해 중공섬유(420)에 2차 오염을 발생을 억제하여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정수 능력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물주머니(500)는 원수를 휴대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네크부(510)와 저장부(520)로 구성된다.
네크부(510)는 원수가 저장부(520)로 유입되거나 저장부(520)로부터 원수가 출수되는 부위이며, 저장부(520)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네크부(5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데 이는, 결합부재(200)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저장부(520)는 원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휴대가 간편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수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00)에는 유입부(110) 및 출수부(120)를 개폐하는 마개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어느 하나의 부직포(F)를 유입부(110)를 통해 출수공간(140)에 삽입하여 격자망(N)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세라믹 볼(CB)을 출수공간(140)에 배치시킨다.
이때, 부직포(F)는 격자망(N)을 차폐하고 있으므로 세라믹 볼(CB)은 격자망(N)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몸체(100)의 유입부(110)를 통해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는 일단부가 단턱(130)에 걸리면서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몸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오링(R)은 몸체(100)의 내주면에 압착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몸체(100)의 유입부(110)를 통해 복수의 세라믹 볼(CB)을 삽입시킨다.
이때, 복수의 세라믹 볼(CB)은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되며, 중공섬유(420)에 밀착이 되며 결합부재(200)와의 결합으로 인해 케이스(410)의 하방으로 빠져나가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200)의 격자망(N) 내측에 다른 하나의 부직포(F)를 배치시킨 후, 상기 결합부재(200)를 몸체(100)의 유입부(110)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200)의 고정부(210)는 케이스(410)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부(210)에 결합된 오링(R)은 케이스(410)의 내측면에 압착이 된다.
또한, 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세라믹 볼(CB)은 부직포(F) 및 격자망(N)이 받쳐줌으로써 케이스(410)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이탈되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밀착부재(300)의 끼움돌기(310)를 결합부재(200)의 끼움홈(220)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300)의 경사면(320)은 결합부재(200)의 내측 즉, 물주머니(500)의 네크부(510)가 나사 결합되는 부위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부(110) 정확하게는 결합부재(2000 및 출수부(120)를 차폐하고 있는 마개를 분리한 후, 유입부(110) 측을 원수에 침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출수부(120)를 입에 대고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원수는 결합부재(200)의 관로를 통해 유입되며, 원수에 포함된 큰 입자의 이물질은 격자망(N)을 통해 1차로 걸러지고 부직포(F)를 통해 재차 걸러진다.
이후, 원수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의 내부에 내장된 세라믹 볼(CB)을 거치면서 항균작용이 일어난 후, 중공섬유(420)를 통과하면서 각종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중공섬유(420)를 통해 여과된 물은 출수공간(140)으로 모여 세라믹 볼(CB)을 거치면서 재차 항균작용이 일어난 후 부직포(F) 및 격자망(N)을 통해 출수부(120)로 배출된다.
이후, 출수부(120)로 배출된 물은 음용할 수 있는 식수로 정수되어 사용자가 바로 마시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 등의 원수가 제공된 지역에는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를 바로 원수에 대고 정수작용을 수행할 수 있지만, 원수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서의 정수작용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물주머니(500)에 원수를 저장하여 다니다가 필요한 경우에 물주머니(500)를 결합부재(20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물주머니(500)를 결합부재(2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물주머니(500)의 네크부(510)를 결합부재(200)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네크부(510)의 단부는 밀착부재(300)에 형성된 경사면(320)에 밀착이 되며, 상기 경사면(320)은 네크부(5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가 된다.
이때, 밀착부재(300)의 재질은 연질이므로, 네크부(510)와 경사면(320)의 압착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크부(510)와 밀착부재(300)의 결합구조는 네크부(510)와 밀착부재(300) 간에 기밀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주머니(50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수작용은 다음과 같다.
물주머니(500)를 기울여 밀착부재(300)의 관로를 통해 원수를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원수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400)를 통해 여과되어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이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정수작용은 강이나 하천의 원수에 대고 흡입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는 재질을 항균 재질로 함과 더불어 복수의 세라믹 볼을 몸체 내부에 삽입하여 원수에 대한 항균 작용은 물론,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에 대한 항균 작용을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몸체의 내부뿐만 아니라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에도 세라믹 볼이 배치됨으로써 중공섬유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2차 오염물질에 의한 정수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가 간편한 물주머니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강이나 하천 등의 원수 제공지역이 아니더라도 정수물을 음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사용 지역에 제한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유입부
120 : 출수부 130 : 단턱
140 : 출수공간 200 : 결합부재
210 : 고정부 220 : 끼움홈
300 : 밀착부재 310 : 끼움돌기
320 : 경사면 400 :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
410 : 케이스 420 : 중공섬유
500 : 물주머니 510 : 네크부
520 : 저장부 CB : 세라믹 볼
F : 부직포 N : 격자망 R : 오링

Claims (4)

  1.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유입부 및 출수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유입부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와 관로를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中空)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 및 결합부재와 관로를 형성하며, 단부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부와 출수부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공섬유와 중공섬유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되되 결합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부재의 내주면과 끼움홈을 형성하는 고정부;
    상기 결합부재의 관로 및 출수부의 관로에 형성된 격자 형태의 격자망;
    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일단부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사이 및 고정부의 외주면과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오링(o-ring);
    상기 각각의 격자망 내측에 밀착된 부직포;
    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밀착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된 중공의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물주머니;
    상기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각 양단부와 부직포 사이에 배치되되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섬유에 접촉된 복수의 세라믹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출수부측 내주면에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의 일단부가 걸려 위치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과 출수부 사이에는 중공사막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된 물이 모이는 출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 볼은 출수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8736U 2012-09-27 2012-09-27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KR200471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36U KR200471218Y1 (ko) 2012-09-27 2012-09-27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36U KR200471218Y1 (ko) 2012-09-27 2012-09-27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18Y1 true KR200471218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36U KR200471218Y1 (ko) 2012-09-27 2012-09-27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691A (zh) * 2017-03-30 2017-06-30 浙江绿龙新材料有限公司 一种家用反渗透净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671A (ja) * 1993-03-31 1994-12-06 Tome Sangyo Kk 携帯用液体浄化器
KR200230705Y1 (ko) * 2001-02-07 2001-07-03 김성훈 휴대용 정수기의 정수캡
JP2005111341A (ja) * 2003-10-06 2005-04-28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携帯型浄水装置
KR101177929B1 (ko) 2011-09-27 2012-08-28 윤기영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671A (ja) * 1993-03-31 1994-12-06 Tome Sangyo Kk 携帯用液体浄化器
KR200230705Y1 (ko) * 2001-02-07 2001-07-03 김성훈 휴대용 정수기의 정수캡
JP2005111341A (ja) * 2003-10-06 2005-04-28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携帯型浄水装置
KR101177929B1 (ko) 2011-09-27 2012-08-28 윤기영 휴대용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691A (zh) * 2017-03-30 2017-06-30 浙江绿龙新材料有限公司 一种家用反渗透净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822525U (zh) 液体过滤口罩或鼻罩
RU2014113338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KR20180002283A (ko) 웨어러블 공기 정화 겸 가습장치
CN201735084U (zh) 水过滤口罩
CN105948296B (zh) 一种双水道净水龙头组合滤芯
KR200471218Y1 (ko) 휴대용 중공사막 필터 정수기
CN205367925U (zh) 具反冲洗功能的多用途微型吸管式净水器
KR20140142018A (ko) 정수패치, 정수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장치
TWM454407U (zh) 海水淡化救生裝置
CN206289717U (zh) 一种易拆卸地漏
CN103877682A (zh) 一种空气净化器
KR20130049909A (ko) 휴대용 정수기
CN107761826A (zh) 一种设有冗余水泵的智能水箱
CN209412923U (zh) 一种水池滤网漏篮
JP2007160027A (ja) 空気清浄装置
CN208008578U (zh) 一种便携式户外用滤芯
WO2020083337A1 (zh) 便携自动水过滤器
CN208212909U (zh) 一种调压式反冲洗超滤管及军用水壶
CN205830821U (zh) 简易干湿分离过滤装置
KR20210000267U (ko)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KR102447483B1 (ko) 정수 용기
KR200273299Y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30007491U (ko) 살균기능을 갖는 수족관 정화장치
CN217838544U (zh) 一种便携式单人野外应急净水装置
CN213112800U (zh) 滤芯结构、滤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