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483B1 - 정수 용기 - Google Patents

정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483B1
KR102447483B1 KR1020200054326A KR20200054326A KR102447483B1 KR 102447483 B1 KR102447483 B1 KR 102447483B1 KR 1020200054326 A KR1020200054326 A KR 1020200054326A KR 20200054326 A KR20200054326 A KR 20200054326A KR 102447483 B1 KR102447483 B1 KR 10244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tainer
water purification
lay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293A (ko
Inventor
한석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20005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4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 용기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다른 정수 용기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용기몸체 및 필터와 복수의 레이어 및 필터커버를 통해 간이하게 해체되어 부품의 교체 및 내부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다른 정수 용기는,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진 필터와 내벽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구를 통해 액체와 필터의 접촉면적을 넓혀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 용기{WATER PURIFICATION CONTAINER}
아래의 설명은 정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수돗물 또는 이물질로 오염된 물이 식수로 사용될 때 정수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수기를 사용하여 정수기 내부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또는 물에 숯과 같은 정수용 물질을 투입하여 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정수방법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유동성이 적은 물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 미세한 구멍을 가진 필터를 통해 부유하는 이물질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및 염소소독과 같은 화학적 처리를 통해 물 속의 세균과 같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정수방법 중에 정수용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정수용기 내부에 저장된 물은 외부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정수용기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고, 물은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정수용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정수용기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다룰 수 있고 부피가 작도록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수용기의 정수효율은 일반 정수기에 비해 낮을 수 있다. 간단한 구조더라도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정수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정수용기는 주로 내부에 결합된 정수필터를 통해 물을 정수하는데, 내부 정수필터가 오염된 경우에는 정수용기의 정수 효율이 급격히 하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수용기의 내부 필터를 분해하여 세척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구성을 해체 가능하여 간이하게 필터를 분리시켜 필터의 교체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924865호는 정수기능이 구비된 물병에 대해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정수 기능이 구비된 물병은 내부에 저수된 물을 필터부에 의해 정수하고 사용자가 정수된 음용수를 주입구를 통해 음용하는 과정에서 음용되는 물이 물병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및 보관시에는 주입구에 주입구 캡이 끼움 결합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키며, 주입구 상부에 위치한 주입구 커버는 잠금 수단에 의해 휴대 및 보관시 열리는 것을 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의 목적은, 서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용기몸체 및 필터를 제공하고, 필터는 용기 몸체 내부에 결합가능하고 서로 해체 가능한 복수의 레이어 및 필터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서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정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의 목적은, 필터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용기몸체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필터를 최대한 거쳐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정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에 저장된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연결된 내벽에 의해 상기 필터와 구별되고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는 섬유를 서로 접착한 직물 또는 복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와 탈부착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는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상면과 분리 및 결합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필터커버를 고정 압박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을 바라본 기준으로, 상기 내벽은 상기 필터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내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와 끼움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액체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장착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내벽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용기몸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용기몸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에 따르면, 서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용기몸체 및 필터와 복수의 레이어 및 필터커버를 통해, 정수 용기 각 구성을 간이하게 해체할 수 있어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에 따르면, 필터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지고 내벽 하단부에 연결구를 형성함으로써 물과 필터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에 따르면,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가 바로 토출구로 토출되는 구성을 통해, 액체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의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1)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용기(1)의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수 용기(1)는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 용기(1)는 내부에 결합된 필터(11)를 통해 흡착방식 및 여과방식으로 정수 용기(1) 내부의 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정수 용기(1)는 용기몸체(10), 필터(11), 장착부(12), 용기커버(13), 내벽(14) 및 받침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몸체(10)는 정수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몸체(10)의 측면에는 사람이 간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몸체(10)는 사람이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벼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몸체(1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몸체(10)는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100)에 저장된 물은 필터(11)를 통해 정화된 후 토출구(10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구(101)와 필터(11) 사이의 간격을 보다 좁게 유지함으로써, 정수용기(1)는 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를 보다 신속하게 토출구(101)로 전달한 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정수용기(1)는 액체의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용기몸체(1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몸체(10)는 액체가 저장공간(100)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덮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02)는 사람에 의해 용기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덮개(102)가 분리되면, 덮개(102)가 결합되어 있던 주입구를 통해 액체는 용기몸체(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11)는 용기몸체(10)에 저장된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11)는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는 장착부(12) 및 용기몸체(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부(12)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100)에 저장된 액체는 기존의 정수 용기(1)보다 필터(11)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액체와 필터(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정수 용기(1)의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필터(11)는 제1레이어(110), 제2레이어(111), 필터커버(112) 및 패킹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이어(110)는 액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레이어(110)는 케이스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이어(11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제2레이어(111)를 감싸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이어(110)는 외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액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는 필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이어(110)는 필터(1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여 필터홈을 통해 우선적으로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레이어(110)는 섬유를 서로 접착한 직물 또는 복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이어(110)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레이어(110)는 물에 녹아나오는 녹을 비롯해 눈에 보일 정도의 큰 부유물을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레이어(111)는 제1레이어(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액체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레이어(111)는 제1레이어(110)가 감싼 형태로 제1레이어(110)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이어(110)에서 큰 부유물이 제거되므로, 제2레이어(111)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이동하여, 제2레이어(111)의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레이어(111)는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레이어(111)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레이어(111)는 미세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흡착구멍을 통해 물에 녹아 있는 염소와 유기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2레이어(111)는 제1레이어(110)가 제거하는 이물질보다 작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2레이어(111)의 구멍에 세균이 침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레이어(111)의 표면에 은(silver)이 코팅될 수 있다.
필터커버(112)는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 상측에 위치하여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와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는 서로 부착될 수 있고, 부착된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결합부분을 통해 필터커버(112)에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가 마모되거나 손상된 경우,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를 필터커버(112)에서 분리하여, 제1레이어(110) 및 제2레이어(111)는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패킹부(113)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액체가 토출구(101)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레이어(110)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113)는 제1레이어(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필터(11)가 장착부(12)에 장착되면, 장착부(12)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제거되기 전 장착부(12)에 위치한 액체는 패킹부(113)를 통해 토출구(101)로 유출되지 않는다.
장착부(12)는 내벽(14)에 의해 필터(11)와 구별되고, 필터(11)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2)는 내면에 돌출형성되고 필터커버(112)와 끼움결합하는 결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커버(112)는 결합부재(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부재(120)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120)에 결합된 필터커버(112)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필터커버(112)가 결합부재(120)에 결함됨으로써, 필터(11)는 용기몸체(10)의 내측 하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필터(11)의 하부면은 액체와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정수 용기(1)는 정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필터커버(112)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필터커버(11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사람의 손에 파지되어, 필터커버(112)가 사람에 의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커버(112)가 결합부재(120)에 결합되고 복수의 레이어와 필터커버(112)가 분리되는 구조 및 손잡이 구조를 통해, 정수 용기(1)는 간이하게 해체되어 내부 청소 및 부품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용기커버(13)는 용기몸체(1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10)의 상면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용기커버(13)는 용기몸체(10)의 상면과 끼움결합할 수 있다. 용기커버(13)가 용기몸체(10)와 결합함으로써, 용기커버(13)는 용기몸체(1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용기커버(13)는 필터가(11)가 용기몸체(1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용기커버(13)는 필터커버(112)를 고정 압박하도록 용기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커버(13)가 용기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130)는 필터커버(112)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0)가 필터커버(112)를 용기커버(13)에서 지면방향으로 압박하고 필터커버(112)는 결합부재(120)에 결합됨으로써, 필터(11)는 모든 방향에 대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장착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내벽(14)은 용기몸체(10)의 내면과 연결되어 저장공간(100) 및 장착부(12)를 구별할 수 있다. 내벽(14)은 장착부(12)와 저장공간(100)을 연결하는 연결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구(140)는 내벽(1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내벽(14)의 하측에 위치한 연결구(140)를 통해 저장공간(100)에 저장된 액체는 필터(11)가 장착된 장착부(12)로 이동하고 필터(11)의 하측부터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140)는 용기몸체(10)의 하측에 위치하고 토출구(101)는 용기몸체(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100)에 저장된 액체는 내벽(14)의 하측에 위치한 연결구(140)를 통해, 필터(11)의 하측부터 접촉하여 필터(11)의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필터(11)의 전면에 걸쳐 원활한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수 용기(1)의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측을 바라본 기준으로, 내벽(14)은 필터(11)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기커버(13)가 용기몸체(10)로부터 분리된 후, 필터(11)는 용기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고 필터(11)가 장착부(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벽(14)은 굴곡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5)는 필터(1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5)는 용기몸체 내면 하측에 위치하여, 필터(11)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받침부(15)는 필터(11)의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필터(11)가 하측방향으로 함몰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정수용기
10: 용기몸체
11: 필터
12: 장착부
13: 용기커버
14: 내벽
15: 받침부
100: 저장공간
101: 토출구
102: 덮개
110: 제1레이어
111: 제2레이어
112: 필터커버
113: 패킹부
120: 결합부재
130: 돌출부
140: 연결구

Claims (12)

  1.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연결되어서 상기 저장공간과 필터가 장착되는 장착부로 구별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장착부를 연통하도록 하측에 연결구가 형성되는 내벽; 및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어서 상기 용기몸체에 저장된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는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장착부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의 하측부터 접촉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정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레이어를 포함하는, 정수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는,
    섬유를 서로 접착한 직물 또는 복수의 섬유를 서로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수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수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와 탈부착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정수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상면과 분리 및 결합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필터커버를 고정 압박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정수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측을 바라본 기준으로, 상기 내벽은 상기 필터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정수용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내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와 끼움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정수용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54326A 2020-05-07 2020-05-07 정수 용기 KR10244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26A KR102447483B1 (ko) 2020-05-07 2020-05-07 정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26A KR102447483B1 (ko) 2020-05-07 2020-05-07 정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93A KR20210136293A (ko) 2021-11-17
KR102447483B1 true KR102447483B1 (ko) 2022-09-27

Family

ID=7870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26A KR102447483B1 (ko) 2020-05-07 2020-05-07 정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4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832U (ko) * 2009-12-30 2011-07-07 서승재 휴대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93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6B1 (ko) 정수기 세정 방법
US7585409B2 (en)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JP2009166042A (ja)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
KR101177929B1 (ko) 휴대용 정수기
CN201436055U (zh) 便携式净水装置
KR102447483B1 (ko) 정수 용기
WO2011016513A1 (ja) 濾過装置
KR100912268B1 (ko) 생물학적 활성탄 흡착 여과 장치 및 그 세정 방법
KR100336990B1 (ko) 휴대용 정수기
TWI408106B (zh) 淨水濾心以及淨水器
KR20140142018A (ko) 정수패치, 정수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장치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CN205590436U (zh) 一种小型单兵净水装置
KR101744707B1 (ko) 탄소나노튜브가 결합된 이중구조 멤브레인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414095B1 (ko) 휴대용 정수물통
CN105923809A (zh) 一种便于拆装的家用净水装置
CN213112897U (zh) 一种便携式净水装置
JP2002136966A (ja) 浄水器
JPH1147733A (ja) 浄水器
CN108033611A (zh) 一种野外便携式饮用水应急专用净化器
JP2009269016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用容器、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油水分離装置
KR102570225B1 (ko) 여과 및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수물병
KR101339990B1 (ko)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20130007491U (ko) 살균기능을 갖는 수족관 정화장치
JPH01262983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