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18Y1 -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18Y1
KR200471118Y1 KR2020130007337U KR20130007337U KR200471118Y1 KR 200471118 Y1 KR200471118 Y1 KR 200471118Y1 KR 2020130007337 U KR2020130007337 U KR 2020130007337U KR 20130007337 U KR20130007337 U KR 20130007337U KR 200471118 Y1 KR200471118 Y1 KR 200471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irection
vehicle
turned
switch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우
Original Assignee
최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우 filed Critical 최광우
Priority to KR2020130007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주행방향(좌우측 주행, 유턴(U-turn) 주행)을 시각적으로 사전에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종종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측에 설치된 전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생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의 구조적인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방향과 유턴 주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종종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APPRATUS FOR DISPLAYING DRIVING DIRECTIONS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주행방향(좌우측 주행, 유턴(U-turn) 주행)을 시각적으로 사전에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종종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한 주행을 제공하기 위하여 등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등화장치는 자동차의 조작상태와 주행방향 등을 후방 자동차에게 제공하는 시그널 램프를 포함하고, 이러한 시그널 램프에는 자동차의 감속이나 정지상태를 표시하는 브레이크등과, 주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등 및 후진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그널 램프는 브레이크 조작 상태나 좌우회전 등과 같이 단순한 주행방향만을 지시할 뿐,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180°회전하여 변경시키는 유턴(U-turn)과 같은 신호를 제공할 수 없어 좌우회전하는 자동차와 유턴하는 자동차가 동시에 신호를 받아 출발하고 있는 상태에서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충돌로 인한 접촉사고가 발생되어지는 원인으로 인하여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7660호(등록일 : 2005. 12. 1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27884호(공개일 : 2006. 03. 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3371호(등록일 : 2002. 04. 13)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7660호는 유턴 표시부, 제동 표시부 및 특정 광고문안이 표시될 수 있는 광고 표시부를 갖는 보조등이 차량의 리어 글래스 내측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신호 대기중인 후방 차량에게 좌회전할 것인지, 혹은 유턴할 것인지를 사전에 통지하여 안전거리를 미리 확보하도록 하여 진행 중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별도의 보조등을 차량의 리어 글래스 내측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치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체적인 형상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관상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27884호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리기 위해 차량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방향지시등 측에 별도의 유턴 지시등을 설치함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7660호에서 발생되는 미관상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작부에 유턴 조작을 위한 유턴 스위치 조작부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작이 다소 복잡해지게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3371호는 자동차 차체의 바깥쪽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전후방 방향등과는 별도로 보조 전후방 방향등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 실내의 운전석 핸들 부분 적소에 설치된 스위칭 레버는 그 위치가 4단으로 조절되면서 보조 전후방 방향등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운행중 좌우회전이나, 유턴을 하고자 할 때, 그에 맞는 개별적인 신호를 다른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는 있으나, 운전석 핸들부분 적소에 4단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스위칭 레버를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스위치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지금까지 다수의 선행기술이 공개되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선행기술들 또한 앞서 기술된 선행기술들과 마찬가지로 기설치된 자동차의 전조등 및 후미등과 별개로 유턴 지시등을 자동차의 전후방 양측 또는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 내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추가로 유턴 지시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체적인 미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더욱이, 유턴 지시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턴 제어 버튼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혹은 스위칭 레버의 구조를 변경하는 등과 같이 제어 수단을 기계적 방법으로 구현함에 따라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자동차에 적용이 어렵고,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0537660 B1, 2005. 12. 13. KR 10-2006-0027884 A, 2006. 03. 29. KR 20-0273371 Y1, 2002. 04. 13.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방향과 유턴 주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현재 생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의 등화장치의 구조적인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현재 자동차에 설치된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비상 버튼 스위치의 동작 신호를 조합하여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방향과 유턴 주행방향을 시각적으로 타 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전조등 및 전방 방향등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레이크등 및 후방 방향등과, 상기 자동차의 좌우회전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의 조향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방향등과 상기 후방 방향등을 점멸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상기 자동차의 비상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방향등과 상기 후방 방향등을 점멸하는 비상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1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2
" 형상을 각각 표시하는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3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4
" 형상을 각각 표시하는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온(Turn-ON)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되거나,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5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6
" 형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 및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7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8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09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0
" 형상을 점멸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은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1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2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3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4
" 형상을 표시할 때, 동시에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5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6
"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7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8
" 형상을 표시할 때,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과 교번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동시에 턴-온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19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0
" 형상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턴-오프되어 더이상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1
" 또는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2
" 형상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은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동시에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측에 설치된 전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포함하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방향과 유턴 주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종종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자동차에 설치된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비상 버튼 스위치의 동작 신호를 조합하여 전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생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의 구조적인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방향과 유턴 주행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전진방향(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후진방향(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전방 방향등과 후방 방향등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통해 표시되는 주행방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버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개략도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전진방향(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후진방향(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는 자동차(1)가 교차로에 진입 또는 신호 대기 중일 때, 타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좌우측 주행 또는 유턴(U-turn) 주행을 시각적으로 사전에 제공하여 교차로와 같은 혼잡지역 내에서 종종 발생되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과 후방 양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현재 생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는 한편, 등화장치 또는 자동차 내에 추가 설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기존의 등화장치의 구조 내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자동차(1)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방향등(20, 20')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방향등(50, 50')의 내부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전방 방향등과 후방 방향등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방 방향등(20, 20')은 자동차(1)의 전방 좌우측에 설치된 전조등(10, 10')과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컴비네이션 스위치(3, 도 5참조)의 동작에 응답하여 자동차(1)의 좌회전 주행방향 또는 우회전 주행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전방 방향등(20, 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자동차(1)의 차체 전방에 장착되는 하우징(21, 21')과, 하우징(21, 21') 내에 설치된 램프(22, 22')와, 하우징(21, 21')을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 커버(23, 23')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전방 방향등(20, 20')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방향등(20, 20')의 하우징(21, 21')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우징 커버(23, 23')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후방 방향등(50, 50')은 자동차(1)의 후방 좌우측에 설치된 브레이크등(40, 40')과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컴비네이션 스위치(3, 도 5참조)의 동작에 응답하여 자동차(1)의 좌회전 주행방향 또는 우회전 주행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후방 방향등(50, 50')은 전방 방향등(20, 20')과 마찬가지로 자동차(1)의 차체 전방에 장착되는 하우징(51, 51')과, 하우징(51, 51') 내에 설치된 램프(52, 52')와, 하우징(51, 51')을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 커버(53, 53')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후방 방향등(50, 50')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방향등(50, 50')의 하우징(51, 51')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우징 커버(53, 53')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전방 방향등(20, 20')과 후방 방향등(50, 50')의 하우징(21, 21', 51, 51')은 그 내부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23, 23', 53, 53')는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이 외부로 투시되도록 전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이 장착되는 부위만 투명 처리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3, 23', 53, 53')는 투명하고 단단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되, 타 차량의 운전자의 눈에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면을 반투명 처리하여 사용한다. 이때,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이 장착된 부위에는 반투명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을 통해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가 그대로 표출되도록 하여 타 차량의 운전자가 자동차 주행방향을 쉽게 식별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전방 방향등(20, 20')과 전조등(10, 10'), 그리고, 후방 방향등(50, 50')과 브레이크등(40, 40')이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전방 방향등(20, 20')과 전조등(10, 10'), 그리고 후방 방향등(50, 50')과 브레이크등(40, 40')의 설치되는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방 방향등(20, 20')과 전조등(10, 10'), 그리고, 후방 방향등(50, 50')과 브레이크등(40, 40')은 서로 수평 선상에서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을 통해 표시되는 주행방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좌회전 주행방향, (b)는 우회전 주행방향, (c)는 좌측 유턴 주행방향, (d)는 우측 유턴 주행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중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 도 5참조)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키는 경우,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turn-ON)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3
" 형상(31)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키는 경우,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turn-ON)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4
" 형상(31')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은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동작에 응답하여 좌우회전 주행방향("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5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6
")을 각각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때,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은 타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점멸, 예를 들면 0.5초~2초 사이에서 점등과 소등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 중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키는 경우,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7
" 형상(61)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된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키는 경우,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8
" 형상(61')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동작에 응답하여 좌우회전 주행방향("
Figure 112013079899392-utm00029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0
")을 각각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때,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타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점멸, 예를 들면 0.5초~2초 사이에서 점등과 소등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에서는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동작에 응답하여 전방 방향등(20, 20') 및 후방 방향등(50, 50')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과 동시에 동작한다. 즉,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경우,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게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을 반복한다.
본 고안에서는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및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과, 전방 방향등(20, 20') 및 후방 방향등(50, 50')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에 의해 동시에 점멸되는 경우, 상호 간에 식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및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과, 전방 방향등(20, 20') 및 후방 방향등(50, 50')이 서로 교번적으로 점멸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비네이션 스위치(3)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운전석의 조향장치(2)(핸들)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로서, 조작 레버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면, 전방 방향등(20, 20') 및 후방 방향등(50, 50') 중 좌측에 설치된 방향등(20, 50)이 턴-온되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을 반복하고, 조작 레버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면, 전방 방향등(20, 20') 및 후방 방향등(50, 50') 중 우측에 설치된 방향등(20', 50')이 턴-온되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을 반복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및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 또한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조작 레버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및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 중 좌측에 설치된 전광판(30, 60)이 턴-온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1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을 반복하고,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조작 레버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및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 중 우측에 설치된 전광판(30', 60')이 턴-온되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2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을 반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버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대시보드(4)에는 자동차의 비상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 전방 방향등(20, 20')과 후방 방향등(50, 50')을 동시에 점멸하는 비상 버튼 스위치(5)가 적재적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비상 버튼 스위치(5)를 누르면, 전방 방향등(20, 20')과 후방 방향등(50, 50')이 동시에 점멸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 중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 도 5참조)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된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 도 6참조)를 턴-온시키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3
" 형상(3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된 상태에서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는 경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4
" 형상(3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 도 5참조)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된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 도 6참조)를 턴-온시키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5
" 형상(3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된 상태에서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는 경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6
" 형상(3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은 컴비네이션 스위치(3)와 비상 버튼 스위치(5)가 동시에 턴-온되는 경우, 좌우회전 주행방향("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7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8
")을 각각 실시간으로 표시하되,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 예를 들면 0.5초~2초 사이에서 점등과 소등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 중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된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를 턴-온시키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39
" 형상(6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된 상태에서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는 경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0
" 형상(6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된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된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를 턴-온시키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1
" 형상(6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된 상태에서 컴비네이션 스위치(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시켜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는 경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3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2
" 형상(62')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 60')은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 30')과 마찬가지로, 컴비네이션 스위치(3)와 비상 버튼 스위치(5)가 동시에 턴-온되는 경우, 좌우 유턴 주행방향("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3
",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4
")을 각각 실시간으로 표시하되,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멸, 예를 들면 0.5초~2초 사이에서 점등과 소등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개략도들로서, 도 7은 좌회전 주행방향 표시방법, 도 8은 우회전 주행방향 표시방법, 도 9는 좌측 유턴 주행방향 표시방법, 도 10은 우측 유턴 주행방향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비네이션 스위치(3)와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오프(Turn-OFF)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좌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턴-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조작 레버가 하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는 경우에는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5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컴비네이션 스위치(3)와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오프(Turn-OFF)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우측에 설치된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턴-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컴비네이션 스위치(3)의 조작 레버가 상부방향으로 이동 전환하는 경우에는 컴비네이션 스위치(3)가 턴-온되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6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오프되고, 컴비네이션 스위치(3)만 턴-온되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7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표시하는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되는 경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8
" 형상(32, 62)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점멸 표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오프되고, 컴비네이션 스위치(3)만 턴-온되어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이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49
" 형상(31', 61')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표시하는 상태에서, 비상 버튼 스위치(5)가 턴-온되는 경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30')과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60')은 "
Figure 112013079899392-utm00050
" 형상(32', 62')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점멸 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자동차
2 : 조향장치(핸들)
3 : 컴비네이션 스위치(조작레버)
4 : 대시보드
5 : 비상 버튼 스위치
10, 10' : 전조등
20, 20' : 전방 방향등
30, 30' :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
40, 40' : 브레이크등
50, 50' : 후방 방향등
60, 60' :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
21, 21', 51, 51' : 하우징
22, 22', 52, 52' : 램프
23, 23', 53, 53' : 하우징 커버

Claims (7)

  1.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전조등 및 전방 방향등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레이크등 및 후방 방향등과, 상기 자동차의 좌우회전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의 조향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방향등과 상기 후방 방향등을 점멸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상기 자동차의 비상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방향등과 상기 후방 방향등을 점멸하는 비상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1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2
    " 형상을 각각 표시하는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 및
    상기 후방 방향등의 하우징 커버의 내부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3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4
    " 형상을 각각 표시하는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 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온(Turn-ON)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되거나,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5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6
    " 형상을 표시하되,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 및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7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8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59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0
    " 형상을 점멸시켜 표시하고,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은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1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2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3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4
    " 형상을 표시할 때, 동시에 점멸되되,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5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6
    " ,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7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8
    " 형상을 표시할 때,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과 교번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와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동시에 턴-온되어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69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70
    " 형상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턴-오프되어 더이상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71
    " 또는 "
    Figure 112013108424827-utm00072
    " 형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전방 방향등 및 상기 후방 방향등은 상기 전방 주행방향 전광판과 상기 후방 주행방향 전광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버튼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동시에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7. 삭제
KR2020130007337U 2013-09-02 2013-09-02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KR200471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37U KR200471118Y1 (ko) 2013-09-02 2013-09-02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37U KR200471118Y1 (ko) 2013-09-02 2013-09-02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18Y1 true KR200471118Y1 (ko) 2014-02-04

Family

ID=5141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337U KR200471118Y1 (ko) 2013-09-02 2013-09-02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0Y1 (ko) * 2000-05-20 2000-10-16 주식회사씨앤이테크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KR200446396Y1 (ko) * 2009-01-13 2009-10-27 김정국 차량의 유턴표시용 등화장치와 사고경고용 등화장치
KR101067990B1 (ko) * 2010-07-08 2011-09-26 박종천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후미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0Y1 (ko) * 2000-05-20 2000-10-16 주식회사씨앤이테크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KR200446396Y1 (ko) * 2009-01-13 2009-10-27 김정국 차량의 유턴표시용 등화장치와 사고경고용 등화장치
KR101067990B1 (ko) * 2010-07-08 2011-09-26 박종천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후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162B2 (en) Multidirectional cluster lights for motor vehicles
KR102587258B1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US20140266665A1 (en) Vehicle directional indicator
JP3140985U (ja) 自動車安全投影ライト
US20140091920A1 (en) U-turn signaling system and method
KR10106799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후미등
US20210046864A1 (en) Indications for vehicles
EP3342643A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JP3161286U (ja) 乗り物に使用する警告装置
CN111347966A (zh) 一种信号显示系统、方法及车辆
US20180257552A1 (en) Vehicle comprising turn signal lights, and method for signaling a driving direction to following vehicles
JP2016517103A (ja) カメラを用いて制動灯の光を検出した際にドライバー・アシスタント機能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GB2507279A (en) A signa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471118Y1 (ko) 자동차 주행방향 표시장치
CN206254898U (zh) 一种显示前后车距离的刹车灯系统
JP4615041B2 (ja) 補助ウインカー
CN203753063U (zh) 一种转向装置及设有该转向装置的车辆
KR200305407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JP3138095U (ja) 車両の非常点滅スイッチ表面への貼付用シール
KR20180036420A (ko) 유턴과 하차 신호를 구비한 방향지시등
KR101786482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멸 중 방향지시등이 식별되는 전후방등
WO2022090785A1 (en) The car indicator with four modes of turn to left/right and u turn to left/right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BE1014799A6 (fr) Advertissement lumineux de freinage a l'avant des vehicules
KR200406045Y1 (ko) 차량의 유턴표시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