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44Y1 - 거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거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44Y1
KR200471044Y1 KR2020120011942U KR20120011942U KR200471044Y1 KR 200471044 Y1 KR200471044 Y1 KR 200471044Y1 KR 2020120011942 U KR2020120011942 U KR 2020120011942U KR 20120011942 U KR20120011942 U KR 20120011942U KR 200471044 Y1 KR200471044 Y1 KR 200471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er housing
detergent container
mixed liqu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령
정다온
Original Assignee
정다온
장재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온, 장재령 filed Critical 정다온
Priority to KR2020120011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A47K5/16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with mechanic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거품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거품 발생장치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가 수직 칸막이에 의해 구획 형성되되 상기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의 상부에 수평 칸막이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내부에 세제용기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되,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가 삽입될 수 있는 세제용기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 저장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액 발생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펌핑 작동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혼합액 발생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력 소멸 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물 펌핑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품 발생장치{FORM GENERATOR}
본 고안은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정량의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양질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을 청결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샤워나 세면 시에는 통상적으로 비누, 삼푸 등의 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한 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세제는 특히 겨울철에는 거품이 잘 발생하지 않아 여러 번에 걸쳐 비누에 손으로 마찰열을 가해 거품을 발생하게 되는바, 여름철 및 일정 온도 이상일 때보다 몸을 씻는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목욕용품 및 비누업계에서는 샤워시 향료가 가미된 신체용 세정제 등을 개발하여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때 샤워 시 향료가 가미된 세제 등은 타올에 일정량의 분사한 후, 물을 혼합하고 양손으로 비벼서 거품을 발생하여 몸에 도포함으로써 땀 및 이물질 등을 세척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세제는 적은 양으로도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물과의 혼합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여 적당량을 사용하게 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이 되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8810호 ‘샤워용 거품 제조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샤워용 거품 제조기는 일정량의 물과 비누가 혼합된 수통에 전기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구를 인입하여 거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워용 거품 제조기는 전동모터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켜 거품을 제조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8810호(공개일자: 2002년 10월 19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정량의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양질의 거품을 간편하고 발생시킬 수 있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거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가 수직 칸막이에 의해 구획 형성되되 상기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의 상부에 수평 칸막이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내부에 세제용기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되,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가 삽입될 수 있는 세제용기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 저장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액 발생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펌핑 작동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혼합액 발생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력 소멸 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물 펌핑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세제용기 삽입구는,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가 원활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제용기 삽입구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대 선형운동 시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도록 표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쿠션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정량의 물과 세제를 혼합할 수 있는 거품 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따라 양질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고,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는 하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0)과,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세제 및 물을 혼합하도록 마련되는 혼합액 발생부(40)와,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되어 혼합액 발생부(40)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물 펌핑부(50)와, 그리고 세제 및 물의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거품 발생부(6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0)은 거품 발생장치(10)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부에 물 저장부(20A) 및 혼합액 저장부(20B)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물 저장부(20A)는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혼합액 저장부(20B)는 세제와 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물 저장부(20A)와 혼합액 저장부(20B)는 하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직 칸막이(22)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20)은 물 저장부(20A) 및 혼합액 저장부(20B)의 상측에 수평 칸막이(24)가 형성된다. 즉, 수평 칸막이(24)는 후술하는 혼합액 발생부(40) 및 물 펌핑부(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부 하우징(30)은 거품 발생장치(10)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부에 세제용기 장착부(32)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부 하우징(30)의 하측 영역은 하부 하우징(20)의 개방된 상측에 이탈 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세제용기 장착부(32)는 세제용기(1)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세제용기(1)는 그 출구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세제용기 장착부(32)에 수직한 상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30)은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펌핑 작동하도록 하부 하우징(20)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부 하우징(30)은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세제용기(1)에 저장된 세제가 인출되어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20)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혼합액 발생부(40)는 세제와 물을 혼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세제용기 삽입구(42)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혼합액 발생부(40)는 하부 하우징(2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수평 칸막이(24)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혼합액 발생부(40)의 내부에는 세제와 물을 원활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 망이 마련된다. 즉,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되는 세제와 물을 미세 망에 의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세제용기 삽입구(42)는 혼합액 발생부(40)의 상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세제용기 삽입구(42)는 세제용기(1)의 출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세제용기 장착부(32)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세제용기 삽입구(42)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세제용기(1)의 출구가 원활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혼합액 발생부(40)는 세제용기(1)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와 물 펌핑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하부 하우징(20)에 마련된 혼합액 저장부(20B)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세제용기 삽입구(42)는 표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쿠션부재(44)가 마련되며, 이에 하부 하우징(20)에 대한 상부 하우징(30)의 상대 선형운동 시 세제용기(1)의 출구에 쿠션을 제공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쿠션부재(44)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 펌핑부(50)는 혼합액 발생부(4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서 혼합액 발생부(40)와 인접하도록 하부 하우징(20)에 마련된 수평 칸막이(24)에 결합된다.
여기서 물 펌핑부(50)는 그 상측이 상부 하우징(30)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상부 하우징(30)의 펌핑 작동 시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 펌핑부(50)는 상부 하우징(3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펌핑 작동되어 물 저장부(20A)에 저장된 물을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하고 상부 하우징(30)의 외력이 소멸되면 상부 하우징(30)을 복원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 저장부(20A)에 저장된 물을 펌핑 작동에 따라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하는 물 펌핑부(50)의 구성 및 작용은 본 고안의 출원 전에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품 발생부(60)는 혼합액 저장부(20B)에 저장된 혼합액을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서 혼합액 저장부(20B)와 인접하도록 하부 하우징(20)의 외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거품 발생부(60)는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혼합액 저장부(20B)에 저장된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거품 발생부(60)의 구성 및 작용은 본 고안의 출원 전에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품 발생장치(10)를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려는 경우, 상부 하우징(30)의 세제용기 장착부(32)에 세제용기(1)가 장착되면, 상부 하우징(30)에 외력을 가하여 펌핑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부 하우징(30)은 하부 하우징(20)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하며, 이에 따라 세제용기(1)에 저장된 세제가 세제용기 삽입구(42)를 통해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물 펌핑부(50)는 상부 하우징(3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펌핑 작동되어 물 저장부(20A)에 저장된 물을 혼합액 발생부(40)로 공급하게 된다.
혼합액 발생부(40)는 세제용기 삽입구(42)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와 물 펌핑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서 혼합하여 혼합액 저장부(20B)로 공급하게 된다.
거품 발생부(60)는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혼합액으로 양질의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10)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조작에 따라 일정량의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양질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고,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하부 하우징 20A: 물 저장부
20B: 혼합액 저장부 30: 상부 하우징
32: 세제용기 장착부 40: 혼합액 발생부
42: 세제용기 삽입구 50: 물 펌핑부
60: 거품 발생부

Claims (3)

  1.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가 수직 칸막이에 의해 구획 형성되되 상기 물 저장부 및 혼합액 저장부의 상부에 수평 칸막이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내부에 세제용기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되,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가 삽입될 수 있는 세제용기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 저장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액 발생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수평 칸막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펌핑 작동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혼합액 발생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력 소멸 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물 펌핑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펌핑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혼합액 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액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 삽입구는,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가 원활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 삽입구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대 선형운동 시 상기 세제용기의 출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도록 표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쿠션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장치.
KR2020120011942U 2012-12-18 2012-12-18 거품 발생장치 KR200471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2U KR200471044Y1 (ko) 2012-12-18 2012-12-18 거품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2U KR200471044Y1 (ko) 2012-12-18 2012-12-18 거품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44Y1 true KR200471044Y1 (ko) 2014-02-03

Family

ID=5141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42U KR200471044Y1 (ko) 2012-12-18 2012-12-18 거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JP2005527362A (ja) 2002-05-28 2005-09-1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洗浄噴霧器
JP2007523668A (ja) 2003-06-19 2007-08-23 ゴトーチ. コム インク. 手動又はポンプ式の流体ディスペンサ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JP2005527362A (ja) 2002-05-28 2005-09-1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洗浄噴霧器
JP2007523668A (ja) 2003-06-19 2007-08-23 ゴトーチ. コム インク. 手動又はポンプ式の流体ディスペンサ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8403B1 (ja) 気泡電解水生成装置及び自動洗浄装置
JP2015188857A (ja) ナノバブル水素水・水素フォーム生成システム
KR20120114241A (ko)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JP6484806B2 (ja) 洗濯機
JP4372533B2 (ja) スプレー型洗浄製品
KR20130018068A (ko) 신발 세척장치
KR20180108027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CN105030119B (zh) 起泡器
KR200471044Y1 (ko) 거품 발생장치
CN204039759U (zh) 滚筒洗衣机
CN205894213U (zh) 一种微型发泡器及基于该发泡器的喷泡壶
JP2011121896A (ja) 洗浄用の泡及びその生成方法及び洗髪方法
JP2016043227A (ja) 泡ソープ自動ディスペンサー
CN204520467U (zh) 一种防溢满按摩浴缸
JP6094929B2 (ja) 洗濯機
CN204385496U (zh) 洗衣机的上盖及具有其的洗衣机
KR20180108030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CN105442238A (zh) 洗衣机
CN204039755U (zh) 洗衣机
CN110801184B (zh) 一种电磁振动式打泡机
JP6041245B2 (ja) 洗濯機
TW200304515A (en) Washing machine
CN204039756U (zh) 洗衣机
CN105442241A (zh) 滚筒洗衣机
CN104947373A (zh) 一种洗衣机内桶附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