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43Y1 - 실외용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실외용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43Y1
KR200470843Y1 KR2020120008990U KR20120008990U KR200470843Y1 KR 200470843 Y1 KR200470843 Y1 KR 200470843Y1 KR 2020120008990 U KR2020120008990 U KR 2020120008990U KR 20120008990 U KR20120008990 U KR 20120008990U KR 200470843 Y1 KR200470843 Y1 KR 200470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magnet
outdoor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틀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와; 상기 창문틀의 실내측에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상기 창문틀에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용 블라인드{BLINDE FOR OUTDOOR}
본 고안은, 실외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의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시공이 편리한 실외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의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생활 보호 및 미관 등을 고려하여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창문틀(F')의 실내측에서 천정면에 마련된 프레임(F")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블라인드(1')가 창문틀(F')의 실내측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빛이 창문의 유리(G')를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블라인드(1')를 실내측의 프레임(F")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프레임(F")에 별도의 장착 브라켓(B') 등을 설치한 후 블라인드(1')를 장착 브라켓(B')에 장착시켜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한 실외용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실외용 블라인드에 따라, 창문틀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와; 상기 창문틀의 실내측에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상기 창문틀에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자력을 이용하여 창문틀에 고정되므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블라인드 본체는 상기 창문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루버(louver)와;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루버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루버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리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장착 브라켓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장착 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틀의 실외측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 이에, 블라인드 본체의 하중에 의해 블라인드 본체가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와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자석이 프레임부와 자력으로 결합될 때 자석과 프레임부의 사이에 위치한 유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시킴으로써, 유리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실외용 블라인드에 따라, 창문틀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자석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와; 상기 창문틀의 실내측에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상기 창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자력을 이용하여 창문틀에 고정되므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블라인드 본체는 상기 창문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루버(louver)와;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루버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루버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상기 자석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된 것이 좋다. 이에, 고정 부재가 자석과 자력으로 결합될 때 고정 부재와 자석의 사이에 위치한 유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시킴으로써, 유리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창문틀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창문틀의 실외측에서 자력으로 고정되어 있는 블라인드 본체를 창문틀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블라인드 본체가 창문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측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블라인드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차광 효과가 뛰어난 실외용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또한, 자력을 이용하여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한 실외용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가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가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블라인드 본체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블라인드 본체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가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가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블라인드가 창문틀의 실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는 창문틀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1 실시예]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창문틀(F)의 실외측에 마련되는 블라인드 본체(10)와, 창문틀(F)의 실내측에 마련되어 블라인드 본체(10)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블라인드 본체(10)와 자석(50)은 각각 유리(G)를 사이에 두고 창문틀(F)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배치된 채, 창문틀(F)에 자력으로 고정된다.
블라인드 본체(10)는 크게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루버(louver, 20)와, 복수개의 루버(2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30)로 구성된다.
루버(20)는 창문틀(F)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문틀(F)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다. 여기서, 루버(20)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프레임부(30)는 창문틀(F)의 길이 방향으로 루버(20)의 양측에 마련되어 루버(20)의 양단이 지지되는 프레임(35)과, 프레임(35)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장착 브라켓(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자석(50)과 결합되는 부재이다. 즉, 장착 브라켓(40)의 일측면은 프레임(35)에 고정되고 타측면은 유리(G)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유리(G)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자석(5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자력으로 결합된다.
자석(50)은 블라인드 본체(10)를 창문틀(F)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G)를 사이에 두고 블라인드 본체(10)의 장착 브라켓(4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장착 브라켓(40)과 자석(50)이 자력으로 결합됨으로써, 블라인드 본체(10)가 창문틀(F)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30)의 장착 브라켓(40)과 대향하는 자석(50)의 면에는 완충 부재(5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완충 부재(55)는 자석(50)이 장착 브라켓(40)과 자력으로 결합될 때 자석(50)과 장착 브라켓(40)의 사이에 위치한 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시킴으로써, 유리(G)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55)는 블라인드 본체(10)가 창문틀(F)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자석(50)의 자기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완충 부재(55)는 고무 재질 또는 PE 폼이나 PU 폼 등의 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좋다.
한편, 프레임부(30)의 하단에는 지지 브라켓(6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브라켓(60)의 일단은 프레임부(30)의 프레임(35)에 결합되고 타단은 창문틀(F)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지지 브라켓(60)은 창문틀(F)의 실외측에서 자력으로 고정되어 있는 블라인드 본체(10)를 창문틀(F)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블라인드 본체(10)가 창문틀(F)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블라인드(1)를 창문틀(F)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외 작업자는 창문틀(F)의 실외측에서 블라인드 본체(1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 때, 블라인드 본체(10)의 장착 브라켓(40)의 타측면을 유리(G)의 외측면에 접촉시킨다.
다음, 실내 작업자는 창문틀(F)의 실내측에서 프레임부(30)의 장착 브라켓(40)의 타측면이 위치하는 곳의 유리(G)의 내측면에 자석(50)을 위치시킴으로써, 블라인드 본체(10)가 창문틀(F)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 후, 실외 작업자는 일단이 프레임(35)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60)의 타단을 창문틀(F)의 외측면에 볼트로 결합시킴으로써, 실외용 블라인드(1)의 설치를 완료한다.
[제2 실시예]
한편, 실외용 블라인드(2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실외용 블라인드(201)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지지 브라켓(60) 대신에 받침대(65)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받침대(65)는 창문틀(F)의 실외측에서 장착 브라켓(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라인드 본체(10)의 하중에 의해 블라인드 본체(10)가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뿐만 아니라, 실외용 블라인드(3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자석(50)이 유리(G)의 내측에 금속 재질의 프레임부(30)가 유리(G)의 외측에 위치한 반면, 제3 실시예에서는 자석(350)이 유리(G)의 외측에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70)가 유리(G)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실시예의 실외용 블라인드(301)는 창문틀(F)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자석(35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330)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310)와, 창문틀(F)의 실내측에 마련되어 블라인드 본체(310)를 창문틀(F)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70)로 구성된다.
블라인드 본체(310)는 크게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루버(20)와, 복수개의 루버(2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330)로 구성된다.
루버(20)는 창문틀(F)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문틀(F)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다. 여기서, 루버(20)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프레임부(330)는 창문틀(F)의 길이 방향으로 루버(20)의 양측에 마련되어 루버(20)의 양단이 지지되는 프레임(35)과, 프레임(35)에 장착되는 자석(350)으로 구성된다.
자석(350)은 블라인드 본체(310)를 창문틀(F)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G)를 사이에 두고 고정 부재(7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고정 부재(70)와 자석(350)이 자력으로 결합됨으로써, 블라인드 본체(310)가 창문틀(F)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330)의 자석(350)과 대향하는 고정 부재(70)의 면에는 완충 부재(35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완충 부재(355)는 고정 부재(70)가 자석(350)과 자력으로 결합될 때 고정 부재(70)와 자석(350)의 사이에 위치한 유리(G)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시킴으로써, 유리(G)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완충 부재(355)는 블라인드 본체(310)가 창문틀(F)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자석(350)의 자기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완충 부재(355)는 고무 재질 또는 PE 폼이나 PU 폼 등의 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실외용 블라인드(1, 201, 301)에 따르면, 실내측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블라인드(1')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차광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력을 이용하여 실외용 블라인드(1, 201, 301)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제1, 3 실시예에서는, 지지 브라켓이 프레임부의 하단에만 마련되어 있으나, 프레임부의 상단에도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 2 실시예에서는, 장착 브라켓이 4개 설치되어 있으나, 창문틀의 크기에 따라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 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의 장착 브라켓이 자석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장착 브라켓을 삭제하고 프레임을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프레임이 자석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 내지 3 실시예에서는, 루버가 프레임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루버가 와이어로 각각 연결되어 이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기계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3 실시예와는 달리, 블라인드 본체가 롤(roll)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 : 실외용 블라인드 10, 310 : 블라인드 본체
20 : 루버 30, 330 : 프레임부
35 : 프레임 40 : 장착 브라켓
50, 350 : 자석 55, 355 : 완충 부재
60 : 지지 브라켓 65 : 받침대
70 : 고정 부재

Claims (8)

  1. 창문틀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와;
    상기 창문틀의 실내측에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상기 창문틀에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본체는
    상기 창문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루버(louver)와;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루버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루버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리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장착 브라켓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장착 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실외측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와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5. 창문틀의 실외측에 마련되며, 자석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본체와;
    상기 창문틀의 실내측에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상기 창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재질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본체는
    상기 창문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루버(louver)와;
    상기 창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루버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루버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상기 자석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창문틀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블라인드.

KR2020120008990U 2012-10-08 2012-10-08 실외용 블라인드 KR200470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90U KR200470843Y1 (ko) 2012-10-08 2012-10-08 실외용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90U KR200470843Y1 (ko) 2012-10-08 2012-10-08 실외용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43Y1 true KR200470843Y1 (ko) 2014-01-16

Family

ID=5141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990U KR200470843Y1 (ko) 2012-10-08 2012-10-08 실외용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4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53A (ja) * 1992-12-28 1994-07-12 Misawa Homes Co Ltd グリルの取付構造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KR20120066711A (ko) * 2010-10-14 2012-06-25 김준호 블라인드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53A (ja) * 1992-12-28 1994-07-12 Misawa Homes Co Ltd グリルの取付構造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KR20120066711A (ko) * 2010-10-14 2012-06-25 김준호 블라인드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0536T3 (es) Techo suspendido resistente a los impactos
EP2949857A1 (en)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JP2007120256A (ja) 窓ガラス破損防止具
KR200470843Y1 (ko) 실외용 블라인드
KR20150028874A (ko)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방음장치
KR101996185B1 (ko)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KR101980325B1 (ko)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
RU2014136059A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а дверей лифта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KR101296337B1 (ko) 유리창 파손방지 장치
KR101299060B1 (ko) 창문 파손 방지장치
KR20170054852A (ko) 블라인드
JP6403531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断熱改修方法
KR101300156B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철식 에어컨실외기 설치대
JP2008069560A (ja) 緩衝部材および該緩衝部材を用いる開閉装置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CN207661358U (zh) 一种led显示屏用支撑架
JP6715674B2 (ja) 樹脂製枠体用の取付器具及びこれを備える建具
JP2010095961A (ja) 免震用端部ジョイント、及び免震天井工法
KR102114078B1 (ko) 플랫폼 창호
JP3983607B2 (ja) 外装装置
CN210912293U (zh) 一种汽车电子防护装置
JP2022115277A (ja) スクリーン装置の取付構造
KR20140076868A (ko) 실외기의 전도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