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791Y1 - 어깨 보온 베개 - Google Patents

어깨 보온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791Y1
KR200470791Y1 KR2020120001805U KR20120001805U KR200470791Y1 KR 200470791 Y1 KR200470791 Y1 KR 200470791Y1 KR 2020120001805 U KR2020120001805 U KR 2020120001805U KR 20120001805 U KR20120001805 U KR 20120001805U KR 200470791 Y1 KR200470791 Y1 KR 200470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pillow
user
ne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30U (ko
Inventor
윤단비
Original Assignee
윤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단비 filed Critical 윤단비
Priority to KR2020120001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9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를 따뜻하게 보온하고 목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어깨보온베개는 통상의 베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자의 어깨가 닿는 베개의 상면 가장자리에 대칭으로 2개의 돌기를 형성하는데, 어깨가 닿는 부위에 수직으로 형성된 어깨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어깨가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고, 어깨지지부와 연이어 형성되되 목의 양쪽을 지지하는 목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얼굴을 옆으로 돌렸을 때 호흡기관이 돌기에 닿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경사각을 이룬 어깨지지배면부를 갖는다. 이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온 효과를 얻게 되며 경추가 입체적으로 지지되므로 목과 어깨 근육의 이완과 피로 회복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경추 관련 질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침중 베개가 옆이나 머리 위로 이탈하지 않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또 통상의 베개를 그대로 활용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자의 건강을 충족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깨 보온 베개{Shoulder heat conservation pillow}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를 따뜻하게 보온하고 목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어깨보온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어깨보온베개는 통상의 베개에 2개의 돌기를 형성하는데, 어깨가 닿는 부위에 수직으로 어깨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어깨가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어깨지지부와 연이어 형성되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로 구성되며 또한 베개가 수면중 옆이나 위로 이탈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를 따뜻하게 보온하고 목의 양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수면중 베개의 이탈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어깨보온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베개는 사용자가 목까지 이불을 덮는다 해도 어깨가 차가운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숙면을 이루지 못할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목의 측면을 지지하는 장치가 없어서 머리를 움직일 때 발생하는 부하가 경추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의 뒤척임에 의해 베개가 이탈되는 경우도 있어서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고안은 통상의 베개를 사용하면 이불을 목까지 덮는다 해도 베개와 이불사이로 어깨가 외부공기에 노출되는데 착안하여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지지부를 베개 측면에 형성하여 보온효과를 주는 어깨보온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통상의 베개를 사용하면 목을 밑면만 지지하므로 경추에 가해지는 측면하중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이에 목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삼면에서 경추를 지지하는 입체적 효과를 주는 어깨보온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베개가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숙면의 효과를 주는 어깨보온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삭제
본 고안은 통상의 베개에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한다. 각 돌기에는 사용자의 어깨를 보온해주는 어깨 지지부, 목을 양쪽에서 받혀 주는 목지지부, 어깨지지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는 어깨지지부배면부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가 찬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어깨지지부가 형성되고, 목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목지지부가 있어서 경추를 입체적으로 받혀준다. 또한 수면중 베개의 이탈을 방지하여 긴장되어 있던 목과 어깨 근육의 이완과 피로회복에 도움이 크고 경추 관련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예방한다. 또한 종래의 베개 형태를 유지하면서 돌기만 추가 형성하므로 여타 기능성 제품에 비하여 제작과 관리가 편하면서도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베개를 베고 있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베개를 베고 있는 배면의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베개를 옆으로 베고 있는 상태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로서, 통상의 베개(1)의 상면 길이방향으로 사용자의 어깨가 맞닿는 면에 두 개의 돌기(10a, 10b)가 마주보며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10a, 10b)는 사용자의 어깨가 맞닿는 면의 어깨지지부(11a, 11b) 돌기(10a, 10b)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목지지부(12a, 12b), 어깨지지부(11a, 11b)의 배면에 위치한 어깨지지배면부(13a, 13b)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어깨지지부(11a, 11b)는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돌기(10a, 10b)의 내부는 베갯속의 동일한 소재로 채워질 수 있으며 스펀지와 같은 쿠션(Cushion)제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지지배면(13a, 13b)부는 어깨지지부(11a, 11b) 상단에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어깨지지부(11a, 11b)의 압력을 지지한다. 이로서 사용자가 얼굴을 옆으로 돌렸을 때 코와 입이 돌기(10a, 10b)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3,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V자 꼴인 목지지부(12a, 12b)는 사용자 목의 양 측면을 지지해준다. 또 마주하는 목지지부(12a, 12b) 사이의 베개(1) 상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목을 삼면에서 지지하므로 경추에 미치는 하중을 입체적으로 분산시키므로 긴장되어 있던 목과 어깨의 근육이 이완되어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 또한 경추를 바르게 지지하므로 급만성염좌, 추간판탈출증, 경부척추후관절 질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목지지부(12a, 12b)에 의해 베개(1)가 옆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목지지부(12a, 12b)가 어깨와 머리 사이에 있는 목에 접해 있으므로 베개(1)가 머리 위로 이탈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베개
10a,10b: 돌기
11a, 11b: 어깨지지부
12a, 12b: 목지지부
13a, 13b: 어깨지지배면부

Claims (3)

  1. 베갯잇 속에 베갯속이 충전되어 구성되는 베개에 있어서,
    베개의 상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사용자의 양쪽 어깨와 맞닿을 수 있도록 수직으로 면을 이루며 대칭으로 형성된 두 개의 어깨지지부와;
    어깨지지부의 상단에서 베개 중심으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된 어깨지지배면부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지지부 상호 마주하는 안쪽 끝단에서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두개의 목 지지부로 이루어진 어깨보온베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지지부와 목지지부, 어깨지지배면부가 일체로 형성된 돌기가 베개의 상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보온베개.
KR2020120001805U 2012-03-07 2012-03-07 어깨 보온 베개 KR200470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805U KR200470791Y1 (ko) 2012-03-07 2012-03-07 어깨 보온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805U KR200470791Y1 (ko) 2012-03-07 2012-03-07 어깨 보온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0U KR20130005630U (ko) 2013-09-26
KR200470791Y1 true KR200470791Y1 (ko) 2014-01-15

Family

ID=5141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805U KR200470791Y1 (ko) 2012-03-07 2012-03-07 어깨 보온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9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5B1 (ko) * 1998-02-06 2001-11-22 허진강 인체공학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5B1 (ko) * 1998-02-06 2001-11-22 허진강 인체공학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0U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1728A1 (en) Ergonomic pillow
US8434176B1 (en) Back support pillow system
KR200470791Y1 (ko) 어깨 보온 베개
JP2008012217A (ja) うつぶせ寝用寝具
JP3205184U (ja) クッション材
JP3097991U (ja) 調整型枕の構造
KR200493435Y1 (ko) 경추 베개
KR200438607Y1 (ko) 베개
KR20120079980A (ko) 족태양방광경의 옥침, 천주혈과 독맥혈의 아문혈을 지압하는 효과 및 숙면을 유도하는 베개
KR200466308Y1 (ko) 기능성 미용베개
CN2870644Y (zh) 软硬保健枕
JP3111740U (ja) 首枕
TW201620421A (zh) 床墊
TWM566531U (zh) Pillow structure
JP4551100B2 (ja) 改良敷ふとん
KR100747745B1 (ko) 코골이 방지베개
KR200466414Y1 (ko) 베개
JP3191170U (ja) 頸椎牽引用の枕
KR20160134118A (ko) 경추 및 어깨 얼굴 눌림방지 멀티 기능성 라텍스 메모리폼 베개
KR200293892Y1 (ko) 경추 보호 기능을 가지는 건강 베개
JP3103629U (ja) まくら
JP3095755U (ja)
JP5780621B1 (ja) 補助枕
TWM473784U (zh) 保健枕之結構改良
JP2005021646A (ja) A字型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