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77Y1 -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 Google Patents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677Y1
KR200470677Y1 KR2020130002618U KR20130002618U KR200470677Y1 KR 200470677 Y1 KR200470677 Y1 KR 200470677Y1 KR 2020130002618 U KR2020130002618 U KR 2020130002618U KR 20130002618 U KR20130002618 U KR 20130002618U KR 200470677 Y1 KR200470677 Y1 KR 20047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eld
destructive inspection
welding par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수 filed Critical 최성수
Priority to KR2020130002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이 부착된 신축성 벨트로서 비파괴검사시 용접부의 주변에 부착하여 용접부의 인식번호를 부여하므로 빠짐 없이 용접부를 검사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용접부의 고유번호를 인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인자부로 이루어진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Identification belt for welding part}
본 고안은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이 부착된 신축성 벨트로서 비파괴검사시 용접부의 주변에 부착하여 용접부의 인식번호를 부여하므로 빠짐 없이 용접부를 검사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접합하는 위치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해 재료의 일부를 일단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냉각시켜서 굳히는 금속재료 접합 방법으로서 볼트로 조이는 기계적인 접합에 비하면 접합부의 강도가 높고 밀폐성이 좋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용접이 길이가 긴 대형 수도관이나 구조물의 접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급속한 용융응고를 수반하므로 재료가 변형되든지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고, 금속재료가 용융될 때 용융된 금속재의 내부에 기포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핀홀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신뢰성의 검정이 중요한 파이프나 선박 등의 용접 후에는 반드시 용접부의 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용접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검사하기 위하여 비파괴검사가 시행된다.
용접부의 비파괴검사로는 방사선투과검사 (Radiographic Testing, RT),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ing, UT), 자분탐상검사 (Magnetic Testing, MT), 침투탐상검사 (Liquid Penetrant Testing, PT), 와전류검사 (Eddy Current Testing, ETC), 누설검사 (Leak Testing, LT) 등이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방사선투과검사는 그 용접한 부분을 방사선 사진을 찍어서 그 필름으로 용접부의 내부에 있는 결함까지 찾아내는 방법으로서 방서선 누출의 염려가 있지만 검사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결과가 정확하기 때문에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파이프의 연장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용접부의 검사여부가 불명확해지거나 검사를 빼먹는 용접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접부에 고유의 인식번호를 부여하고 용접부를 촬영한 사진을 식별하기 위하여 용접부의 주변에 부착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접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용접부의 고유번호를 인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인자부로 이루어진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띠형상의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에 벨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부착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벨트의 양단에 형성된 벨크로인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벨트가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의 내면에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인자부는 납(Pb), 텅스텐(W), 비스무트(Bs)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인자부가 고정부에 의해서 용접부에 고정되므로 용접부를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접부를 식별할 수 있음에 따라 빼먹지 않고 비파괴검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고유번호가 부여됨에 따라 결함을 제거할 용접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신축성이 있는 벨트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가 편리하고 용이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착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부착수단으로 벨크로가 형서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마그네트가 부착되므로 인식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차폐부재가 납, 텅스텐 또는 비스무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다양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의 부착수단의 한 형태인 벨크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의 부착수단의 한 형태인 마그네트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는 용접부(W)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장착되어 용접부(W)의 고유번호를 인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인자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용접부(W)에 인자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연장길이가 긴 파이프(P)에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벨트(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벨트(12)는 파이프(P)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벨트(12)는 용접부에 부착된 후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착수단(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착수단(14)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크로(14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16)는 상기 벨트(12)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부착되어 고정부(10)가 용접부(W) 주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부착수단(14)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14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4b)는 벨트(12)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이 벨트(12)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그네트(14b)는 파이프(P) 외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고무자석 형태를 띠는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인자부(20)는 상기 용접부(W)의 고유번호가 인자된 판상의 부재로서 용접부(W)의 고유위치를 부여한다. 상기 인자부(20)는 인자된 고유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자부(20)는 납(Pb), 텅스텐(W) 또는 비스무트(Bs) 중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에 의해 촬영된 사진으로서 인자부(20)에 명확하게 용접부(W)의 고유번호가 인자되어 사진이 촬영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용접부(W)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이 종료된 후 사진을 리스트업하여 전체적으로 촬영이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10 : 고정부
12 : 벨트
14 : 부착수단
14a : 벨크로
14b : 마그네트
20 : 인자부
W : 용접부
P : 파이프

Claims (6)

  1. 용접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띠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에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용접부의 고유번호를 인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인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벨트의 양단에 형성된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벨트가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의 내면에 마그네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납(Pb), 텅스텐(W), 비스무트(Bs)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KR2020130002618U 2013-04-08 2013-04-08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KR20047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18U KR200470677Y1 (ko) 2013-04-08 2013-04-08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18U KR200470677Y1 (ko) 2013-04-08 2013-04-08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677Y1 true KR200470677Y1 (ko) 2014-01-08

Family

ID=5141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618U KR200470677Y1 (ko) 2013-04-08 2013-04-08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4Y1 (ko) * 2014-12-30 2015-03-03 (주)인스펙트 비파괴 검사용 검사필름 및 콜리메이터 부착장치
KR102639354B1 (ko) 2023-02-21 2024-02-22 (주)아이텍기술 방사선투과 검사용 벨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7193A (en) * 1979-08-13 1981-03-16 Senba Kogyo Kk Tacks on road for indicating embedded pipes
KR20020039490A (ko) * 2000-11-21 2002-05-27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7193A (en) * 1979-08-13 1981-03-16 Senba Kogyo Kk Tacks on road for indicating embedded pipes
KR20020039490A (ko) * 2000-11-21 2002-05-27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4Y1 (ko) * 2014-12-30 2015-03-03 (주)인스펙트 비파괴 검사용 검사필름 및 콜리메이터 부착장치
KR102639354B1 (ko) 2023-02-21 2024-02-22 (주)아이텍기술 방사선투과 검사용 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677Y1 (ko) 비파괴검사용 용접부 인식벨트
Alobaidi et al. A survey on benchmark defects encountered in the oil pipe industries
CN104034742A (zh) 双金属复合管管头堆焊焊缝的射线检测方法
KR20180040939A (ko) 배관 방사선 투과 검사 방법
JP5614313B2 (ja) 非破壊検査用標準供試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90040B1 (ko) 휴대형 비파괴 검사장치
CN115201233A (zh) 一种建筑工程用压力管道管壁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050449A (ko) 분리형 스틱을 갖는 산업용 내시경 장치
JP2012526999A (ja) 原子力発電所の原子炉圧力容器に接続された主冷却材配管の環状溶接継目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CN108414545B (zh) 一种百万千瓦级核电站boss焊缝的射线检测方法
JP6200410B2 (ja) 補修溶接方法及び補修溶接用プラグ、並びに原子炉容器
CN105158281B (zh) 一种环焊缝射线检测装置及方法
JP6404754B2 (ja) 鋼管の補修方法
JP2012073174A (ja) 管肉厚測定装置
Leicht et al. Active and passive thermography for defect detection in polymer joints
JP5457939B2 (ja) 二重管の溶接部の検査方法
KR102639354B1 (ko) 방사선투과 검사용 벨트
KR102597901B1 (ko) 협소공간에서 주행 가능한 방사선투과검사용 자동 스캐너
Souza et al. Detection of lack of fusion weld defects by radiography
KR101659483B1 (ko) 열교환기의 iris 검사를 위한 장치
KR200346952Y1 (ko)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배관 고정장치
JP2014190792A (ja) 欠陥検出方法、及びタービン翼の検査方法
JP2003344313A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の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Türkmen X-Ray Radiography of Micro-alloyed Steel Joined by Submerged Arc Welding
Zhang et al. Non-Destructive Examination of PWR Steam Generator Tube-Tube Plate Welds After Repairing Melting Da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