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61Y1 -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61Y1
KR200470461Y1 KR2020130002996U KR20130002996U KR200470461Y1 KR 200470461 Y1 KR200470461 Y1 KR 200470461Y1 KR 2020130002996 U KR2020130002996 U KR 2020130002996U KR 20130002996 U KR20130002996 U KR 20130002996U KR 200470461 Y1 KR200470461 Y1 KR 200470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icroscope
adapter
mobile phon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주
Original Assignee
안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주 filed Critical 안덕주
Priority to KR2020130002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로서, 휴대폰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거치대본체(11)와, 상기 거치대본체(11)의 일면에 상기 휴대폰의 카메라장치에 일치되도록 원형으로 천공된 결합공(12)으로 이루어진 폰거치대(10)와; 상부가 상기 결합공(12)에 결합되며 하부는 대안렌즈가 제거된 현미경에 체결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는 다수의 렌즈가 내장된 원통형상의 렌즈어답터(20)로 구성되어 고배율현미경에 결합할 수 있어 현미경의 확대된 영상을 휴대폰으로 촬영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며, 휴대폰을 고정하여 촬영할 수 있어 손떨림으로 인한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여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A lens adaptor of microscop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미경에 체결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며 휴대폰의 카메라장치에 탈부착되는 렌즈어답터가 구비되어 현미경으로 확대된 영상을 직접 휴대폰의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 또는 cellular telephone; 이하 휴대폰이라 함)는 점점 소형화되고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고성능 카메라가 내장되어 별도의 카메라 없이도 촬영을 하고 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람과 공유함으로써 업무효율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휴대폰의 카메라로 직접 물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휴대폰용 영상확대장치가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73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카메라에 탈부착하는 탈부착수단(100)과, 상기 탈부착수단(100)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케이싱(200)과, 상기 케이싱(200)의 일단에 내장되어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수단(300)과, 상기 케이싱(200)의 타단에 결합되어 대상의 크기를 실측하는 포토마스크(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확대장치는 대상물에 직접 접촉되어 영상을 확대하고 휴대폰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휴대폰용 영상확대장치는 생물의 세포, 광물의 결정구조 등의 미세한 대상물을 촬영하기에는 확대배율의 한계가 있어 촬영이 곤란하며, 상기 미세한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고배율현미경 또는 실체현미경에 연결되어 확대된 영상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미경에 체결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는 렌즈어답터와 렌즈어답터에 결합되어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폰거치대가 구비되어 현미경에서 확대된 영상을 휴대폰의 카메라로 직접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는, 휴대폰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일면에 원형으로 천공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폰거치대와;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이송공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어답터본체와, 상기 어답터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촛점조절구와, 상기 어답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송되며 외주연에 원형으로 천공된 키삽입공이 구비된 렌즈이송소켓과, 상기 렌즈이송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제1렌즈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고정부와, 상기 렌즈이송소켓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렌즈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현미경과 체결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는 원통형상의 렌즈어답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답터본체는 상기 키삽입공과 결합되어 상기 키이송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걸림키가 구비되며, 상기 촛점조절구는 내주면에 상기 걸림키의 돌출부분이 요입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키이송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답터본체는 내측 상부에 먼지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유리와, 상기 촛점조절구가 하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외주연의 하부에 걸림턱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본체는 일면에 정해진 깊이의 홈형상으로 구비된 자석부재안착홈과, 상기 자석부재안착홈에 부착되며 자성력을 갖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본체는 휴대폰이 고정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폰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하우징과 탈부착되어 현미경의 렌즈체결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경통본체와, 상기 경통본체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렌즈체결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통고정부와, 상기 렌즈하우징이 삽입가능토록 상기 경통본체의 중앙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경통연결공으로 이루어진 경통어답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렌즈어답터가 구비되어 현미경에 체결가능함으로써, 현미경으로 확대된 영상을 휴대폰으로 촬영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며,
둘째, 폰거치대가 구비되어 휴대폰을 고정하여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떨림을 방지하여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되고,
셋째, 경통어답터가 구비되어 고배율현미경뿐만 아니라 실체현미경에도 체결가능함으로써 저배율의 실체현미경의 확대된 영상도 촬영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며,
넷째, 촛점조절구가 구비되어 현미경으로 확대된 영상이 휴대폰이 카메라에 정확한 촛점이 맺히도록 조절할 수 있어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용 영상확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현미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어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어답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P)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거치대본체(11)와, 상기 거치대본체(11)의 일면에 원형으로 천공된 결합공(12)으로 이루어진 폰거치대(10)와; 상부가 상기 결합공(12)과 결합되며 하부는 현미경과 체결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는 원통형상의 렌즈어답터(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렌즈어답터(20)는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12)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렌즈어답터(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본체(11)는 일면에 정해진 깊이의 홈형상으로 구비된 자석부재안착홈(13)과, 상기 자석부재안착홈(13)에 자성력을 갖는 자석부재(14)가 부착된다.
상기 거치대본체(11)는 휴대폰이 고정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폰고정부(15)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본체(11)는 다양한 모양의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폰(P)의 카메라장치(C)와 상기 렌즈어답터(20)는 일렬로 정렬되어 선명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휴대폰(P)은 상기 자석부재(14)와 자성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휴대폰에 부착하는 자성재질의 금속판(1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어답터(2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2)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이송공(22b)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어답터본체(22)와, 상기 어답터본체(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촛점조절구(21)와, 상기 어답터본체(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송되며 외주연에 원형으로 천공된 키삽입공(23a)이 구비된 렌즈이송소켓(23)과, 상기 렌즈이송소켓(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제1렌즈(24a)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고정부(24)와, 상기 렌즈이송소켓(23)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렌즈(25b)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하우징(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삽입공(23a)은 상기 키이송공(22b)을 관통하여 상기 어댑터본체(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걸림키(26)가 구비되며, 상기 촛점조절구(21)는 상기 걸림키(26)의 돌출부분이 요입되어 상기 촛점조절구(21)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도록 내주면에 헬리컬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키이송홈(21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이송소켓(23)은 내주면에 소켓나사산(23b)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하우징(25)은 상부 외주연에 하우징나사산(25a)이 구비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현미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M1)와, 대안렌즈(M2)와, 상기 대안렌즈가 탈부착가능토록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렌즈체결부(M3)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체결부(M3)의 내측 직경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대안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어답터(20)는 상기 현미경의 대안렌즈가 제거된 상기 렌즈체결부(M3)에 삽입되어 상기 대안렌즈(M1)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한편, 100배에서 수 천배로 확대가능한 고배율현미경의 상기 렌즈체결부(M3)의 내경은 23.2mm이고, 수 십배 확대가능한 실체현미경의 상기 렌즈체결부(M3)의 내경은 30mm로서 국제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며, 상기 렌즈하우징(25)의 외경은 고배율현미경의 상기 렌즈체결부(M3)에 체결가능토록 23.2m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를 실체현미경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어답터가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하우징(25)에 탈부착되어 내경이 30mm로 구비된 현미경(M)의 렌즈체결부(M3)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30mm로 구비된 원통형상의 경통본체(31)와, 상기 경통본체(31)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렌즈체결부(M3)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통고정부(32)와, 상기 렌즈하우징(25)이 삽입가능토록 상기 경통본체(31)의 중앙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경통연결공(33)으로 이루어진 경통어답터(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통연결공(33)의 내경은 상기 렌즈하우징(25)이 삽입가능토록 23.2mm로 구비된다.
상기 어답터본체(22)는, 도 4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부에 먼지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유리(22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보호유리(22c)가 고정되도록 링형상의 유리고정부(22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답터본체(22)는 상기 촛점조절구(21)가 하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외주연의 하부에 걸림턱(22e)이 돌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때, 상기 폰거치대(10)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P)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조작하며 손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석부재(14)는 상기 폰거치대(10)와 접촉되는 상기 휴대폰(P)의 일면에 별도로 부착된 자성을 갖는 금속판(16)과 결합되어 상기 폰거치대(10)에 거치된 휴대폰(P)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는, 상기 자석부재안착홈(13)과 상기 자석부재(14)를 구비하지 않고,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상기 폰고정부(15)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폰(P)을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어답터(20)는 상기 대안렌즈(M2)가 제거된 현미경(M)의 상기 렌즈체결부(M3)에 삽입되어 상기 대안렌즈(M2)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렌즈어답터(20)는 상기 대물렌즈(M1)로 확대된 영상을 상기 휴대폰(P)의 카메라(C)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촛점조절구(21)는 회전되며 상기 렌즈이송소켓(23)을 상하 이송하여 휴대폰(P)의 카메라(C)에 선명한 영상이 전달되도록 상기 렌즈어답터(20)의 촛점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촛점조절구(21)에 형성된 상기 키이송홈(21a)은 상기 촛점조절구(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키(26)를 가압하여 상기 장공형상의 키이송공(22b)의 내측에서 상, 하 이동시키며, 상기 걸림키(26)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렌즈이송소켓(23)이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22e)은 상기 촛점조절구(21)가 상기 어답터본체(22)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촛점조절구(21)가 고정위치에서 회전만 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폰거치대 11 : 거치대본체
12 : 결합공 13 : 자석부재안착홈
14 : 자석부재 15 : 폰고정부
16 : 금속판 20 : 렌즈어답터
21 : 촛점조절구 21a : 키이송홈
22 : 어답터본체 22b : 키이송공
22c : 보호유리 22e : 걸림턱
23 : 렌즈이송소켓 23a : 키삽입공
24 : 렌즈고정부 24a : 제1렌즈
25 : 렌즈하우징 25b : 제2렌즈
26 : 걸림키 30 : 경통업답터
M : 현미경 M1 : 대물렌즈
M2 : 대안렌즈 M3 : 렌즈체결부

Claims (6)

  1. 휴대폰으로 현미경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현미경의 렌즈체결부(M3)와 결합되어 대안렌즈 역할을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에 있어서,
    휴대폰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거치대본체(11)와, 상기 거치대본체(11)의 일면에 원형으로 천공된 결합공(12)으로 이루어진 폰거치대(10)와;
    상기 결합공(12)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키이송공(22b)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어답터본체(22)와, 상기 어답터본체(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촛점조절구(21)와, 상기 어답터본체(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송되며 외주연에 원형으로 천공된 키삽입공(23a)이 구비된 렌즈이송소켓(23)과, 상기 렌즈이송소켓(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제1렌즈(24a)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고정부(24)와, 상기 렌즈이송소켓(23)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렌즈(25b)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렌즈하우징(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렌즈어답터(20)로 구성되며;
    상기 어답터본체(22)는 상기 키삽입공(23a)과 결합되어 상기 키이송공(22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걸림키(26)가 구비되며,
    상기 촛점조절구(21)는 내주면에 상기 걸림키(26)의 돌출부분이 요입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키이송홈(2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답터본체(22)는 내측 상부에 먼지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유리(22c)와, 상기 촛점조절구(21)가 하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외주연의 하부에 걸림턱(22e)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1)는 일면에 정해진 깊이의 홈형상으로 구비된 자석부재안착홈(13)과, 상기 자석부재안착홈(13)에 부착되며 자성력을 갖는 자석부재(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1)는 휴대폰이 고정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폰고정부(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하우징(25)과 탈부착되어 현미경(M)의 렌즈체결부(M3)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경통본체(31)와, 상기 경통본체(31)의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어 상기 렌즈체결부(M3)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통고정부(32)와, 상기 렌즈하우징(25)이 삽입가능토록 상기 경통본체(31)의 중앙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경통연결공(33)으로 이루어진 경통어답터(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KR2020130002996U 2013-04-18 2013-04-18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KR200470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96U KR200470461Y1 (ko) 2013-04-18 2013-04-18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96U KR200470461Y1 (ko) 2013-04-18 2013-04-18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61Y1 true KR200470461Y1 (ko) 2013-12-16

Family

ID=5357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996U KR200470461Y1 (ko) 2013-04-18 2013-04-18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6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005358U1 (de) 2014-06-30 2014-07-10 Carl Zeiss Microscopy Gmbh Einrichtung zur Aufnahme von Mikroskopbildern mit einer Kamera
KR101441888B1 (ko)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101551802B1 (ko) * 2014-06-24 2015-09-14 정해진 광학장치의 스마트폰 고정용 홀더
KR101591902B1 (ko) * 2015-09-10 2016-02-04 주식회사 루닛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7209810A1 (en) * 2016-05-31 2017-12-07 Du Cheng Imaging adapter for microscope and portable elecronic device
KR20210119662A (ko) * 2020-03-25 2021-10-06 노대현 볼 렌즈를 이용한 서라운드 리모컨 수신기
US11675252B2 (en) 2018-07-16 2023-06-13 Leupold & Stevens, Inc. Interface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56B1 (ko) *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KR100842373B1 (ko) * 2007-03-12 2008-07-01 주식회사 모노클 간이형 영상 확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56B1 (ko) *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KR100842373B1 (ko) * 2007-03-12 2008-07-01 주식회사 모노클 간이형 영상 확대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88B1 (ko)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101551802B1 (ko) * 2014-06-24 2015-09-14 정해진 광학장치의 스마트폰 고정용 홀더
DE202014005358U1 (de) 2014-06-30 2014-07-10 Carl Zeiss Microscopy Gmbh Einrichtung zur Aufnahme von Mikroskopbildern mit einer Kamera
KR101591902B1 (ko) * 2015-09-10 2016-02-04 주식회사 루닛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7043678A1 (ko) * 2015-09-10 2017-03-16 주식회사 루닛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7209810A1 (en) * 2016-05-31 2017-12-07 Du Cheng Imaging adapter for microscope and portable elecronic device
EP3465344A4 (en) * 2016-05-31 2020-01-15 Du Cheng IMAGING ADAPTER FOR MICROSCOP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675252B2 (en) 2018-07-16 2023-06-13 Leupold & Stevens, Inc. Interface facility
KR20210119662A (ko) * 2020-03-25 2021-10-06 노대현 볼 렌즈를 이용한 서라운드 리모컨 수신기
KR102313615B1 (ko) * 2020-03-25 2021-10-18 노대현 볼 렌즈를 이용한 서라운드 리모컨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461Y1 (ko)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TWI533025B (zh) 可攜式顯微鏡裝置
JP4999279B2 (ja) 拡大用アタッチメント
EP3045951B1 (en) Loupe with camera
TWM491840U (zh) 可攜式顯微鏡裝置
TW201320631A (zh) 具可卸式相機模組之行動裝置
JP2015215421A (ja) 撮像装置
JP2016507775A (ja) パノラマカメラ
CN103685639A (zh) 一种具有替换式内接镜头的便携式移动设备
TWI627486B (zh) 可更換鏡頭模組之裝置
KR20070033613A (ko) 휴대전화기용 휴대형 디지털 현미경
CN202631925U (zh) 转接镜头模块及摄像装置
JP3190190U (ja) 顕微鏡用簡易型カメラアダプタ
US20170099440A1 (en) External Electronic Viewfinder for SLR Camera
CN109997077B (zh) 适配于显微镜成像的便携式电子设备
CN203661120U (zh) 一种具有替换式内接镜头的便携式移动设备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CN204013666U (zh) 双孔手机拍照转接装置
KR101480249B1 (ko) 확대촬상용 유닛
CN204009321U (zh) 四孔拍照装置
TWI448763B (zh) 便攜式電子裝置
KR101355686B1 (ko)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KR20160008263A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현미경이미지 장치
JP2015087733A (ja) 携帯情報端末機用撮影補助具
CN203720448U (zh) 观靶镜目镜手机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