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686B1 -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686B1
KR101355686B1 KR1020130102917A KR20130102917A KR101355686B1 KR 101355686 B1 KR101355686 B1 KR 101355686B1 KR 1020130102917 A KR1020130102917 A KR 1020130102917A KR 20130102917 A KR20130102917 A KR 20130102917A KR 101355686 B1 KR101355686 B1 KR 10135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adapter
auxiliary assembly
hole
fluoresc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이안드레
Original Assignee
박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석 filed Critical 박기석
Priority to KR102013010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은 광학기기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모바일이 부착되며, 그에 따라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하고 또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Secondary assembly attached to mobile available}
본 발명은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은 광학기기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모바일이 부착되며, 그에 따라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하고 또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이 발달함에 모바일의 카메라에 렌즈를 부착함으로써 망원경 또는 현미경 역할을 할 수 있는 렌즈보조장치를 비롯하여 필터를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촬영효과를 내게 하는 필터보조장치 등 모바일에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관련한 종래의 렌즈보조장치에 관한 특허를 살펴보면, 일본공개특허 제2008-113099호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전화기에 소형 망원경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망원경의 광학렌즈를 직접 카메라에 부착하고, 이를 암나사 및 수나사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별도의 망원경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휴대폰에 렌즈를 부착함으로써 소형 망원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상술한 소형 망원경 외에도 현미경의 광학렌즈를 직접 카메라에 부착함으로써 소형 현미경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특허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특허는 망원경용 광학렌즈 또는 현미경용 광학렌즈를 교체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직접 먼 거리를 촬영하거나 또는 사물을 확대 촬영할 수 있지만 이는 저배율의 확대 및 축소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고배율의 확대 및 축소를 위해서는 반드시 광학현미경과 같은 고배율 줌이 가능한 광학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광학현미경과 같이 고배율로 시료를 확대할 수 있는 광학기기는 광학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사람이 접안렌즈를 직접 눈을 가까이 대고 봄으로써 시인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 또는 접안렌즈에 눈을 가까이 대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 이러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보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렌즈보조장치는 이러한 광학기기와 휴대폰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술한 광학기기가 가지는 불편함을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종래의 렌즈보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측은 광학기기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모바일이 부착되며, 그에 따라 광학기기에서 보여지는 고배율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의 카메라를 촬영되도록 하며 또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의 액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13099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은 광학기기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모바일이 부착되며, 그에 따라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하고 또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모바일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은 광학기기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고 타측에는 모바일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이 광학기기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기기와 나사결합 된 고정볼트의 조임여부에 따라 광학기기의 접안렌즈와 모바일의 카메라의 초점이 정렬되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광학렌즈를 일측에 부착시키고, 부착시킨 광학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아답터의 길이가 상이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을 파지하지 않고 책상 또는 바닥면에 안착시켜 사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부착 가능하며 현미경 카메라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형광물질판별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를 안착시키고 해당 시료에 특정 파장의 LED 빛을 조사함으로써 시료의 형광을 판별할 수 있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모바일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카메라와 접하는 제1 아답터 및 일측이 상기 제1 아탑터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광학기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아답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상기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모바일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아답터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magnetic substance), 접착제(adhesive) 및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brack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아답터는 상기 모바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아답터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관통홀(hall)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아답터는 원형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아답터는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의 조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아답터에 삽입된 상기 광학기기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의 조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아답터에 삽입된 상기 외부 광학기기 일측의 중심과 상기 카메라의 중심이 일치되어 초점이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홀 일측에 위치하는 광학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아답터는 상기 광학렌즈의 종류에 따라 길이가 상이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모바일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카메라와 접하는 제1 아답터 및 상기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광물질판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상기 형광물질판별모듈로부터 판별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모바일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광물질판별모듈은 상기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안착된 형광물질을 판별하기 위한 형광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는 광학기기의 접안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작은 크기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모바일의 액정을 통해 크게 확대하여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광학기기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모바일의 무게에 관계없이 광학기기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타측이 모바일과 자력을 통해 부착 및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된 모바일이 광학기기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기기와 나사결합 된 고정볼트의 조임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광학기기의 접안렌즈와 모바일의 카메라의 초점이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의 녹화 기능을 이용하여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고배율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 또는 녹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광학렌즈를 안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길이가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2 아답터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을 파지하지 않고 책상 또는 바닥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카메라는 책상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광학렌즈의 초점거리에 상응하게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광학기기의 도움을 받지 않고 바닥에 있는 사물의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된 형광염색된 시료에 LED 빛을 조사하고 이를 형광필터를 통해 판별할 수 있으며, 해당 시료 및 형광필터는 타 시료 또는 타 형광필터로 교체가능하기 때문에 시료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형광물질을 판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아답터(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제1 아답터(1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제1 아답터(110)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가 광학기기(20)의 접안렌즈(21)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의 광학렌즈(30)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제2 아답터(120)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초점거리가 짧은 광학렌즈(30a)에 따른 제2 아답터(120a)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초점거리가 긴 광학렌즈(30b)에 따른 제2 아답터(120b)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의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의 고정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아답터(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제1 아답터(1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제1 아답터(110)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가 광학기기(20)의 접안렌즈(21)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는 제1 아답터(110), 제2 아답터(12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아답터(110)는 모바일(10)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카메라(11)와 접하여 제1 아답터(110)가 광학기기(20)의 접안렌즈(21)에 고정되기 위한 지지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10)이라 함은 모바일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넷북,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이북(e-book)리더, 무선호출기 및 개인 네비게이션 장치 등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총칭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모든 전자기기를 총칭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기기(20)는 빛을 반사, 굴절, 흡수, 간섭, 회절 등을 이용하여 물체를 줌인(zoon-in) 또는 줌아웃(zoon-out)하여 확대 및 축소시켜 시인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망원경 또는 현미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아답터(110)는 모바일(10)의 형태와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10)과 접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magnetic), 접착제(adhesive) 및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bracket)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력을 가지는 제1 자력부재(11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자력부재(111)는 모바일(10)의 일면에 제공되는 제2 자력부재(111-1)를 끌어당길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바일(10) 및 제1 아답터(110)는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답터(110)에는 카메라(11)의 위치에 상응하게 관통홀(hall)(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112)은 후술되는 제2 아답터(12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 및 카메라(11)가 접안렌즈(21)를 촬영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관통홀(112)는 후술되는 제2 아답터(120)의 직경과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막이 형성될 수 있고 해당 막의 중앙에는 카메라(11)가 접안렌즈(21)를 촬영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관통홀(112)의 중심부에 막이 형성된 이유는 관통홀(112)의 일측에는 광학렌즈(30)가 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광학렌즈(30)가 관통홀(112) 내부에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통홀(112)의 내부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제2 아답터(12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맞물려 나사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제1 아답터(110)는 후술되는 제2 아답터(120)를 모바일(10)에 직접 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중간부재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아답터(110)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제1 아답터(110)의 크기 및 재질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제2 아답터(120)는 원형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제1 아답터(110)를 광학기기(20)의 접안렌즈(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아답터(120)의 일측 말단부에는 나사선(121)이 형성되며, 나사선(121)은 상술한 관통홀(112) 내부의 나사선과 맞물려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아답터(120)의 타측의 내부에는 접안렌즈(21)의 말단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이때 제2 아답터(120)의 측면에는 제2 아답터(120)의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2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22)는 특정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여질 수 있으며, 이때 고정볼트(122)의 말단부는 제2 아답터(120)의 내부 중심부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여지는 고정볼트(122)의 말단부가 제2 아답터(120)의 내부에 삽입된 접안렌즈(21)의 말단부 측면을 밀면서 접안렌즈(21)의 말단부는 제2 아답터(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22)가 접안렌즈(21)의 말단부 측면을 밀어줌에 따라 접안렌즈(21)의 중심 초점이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11)의 중심 초점과 일직선으로 정렬시켜 접안렌즈(21)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접안렌즈(21)의 말단부는 제2 아답터(120)의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22)에 의해 고정되어있고, 제2 아답터(120)의 말단부는 제1 아답터(120)의 관통홀(112)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관통홀(122)에는 광학렌즈(30)가 안착되어 있으며, 제1 아답터(110) 및 모바일(10)은 제1 자력부재(111) 및 제2 자력부재(111-1)를 통해 서로 접하고 있다. 이때, 접안렌즈(21), 관통홀(112)의 중심 및 카메라(11)의 중심 초점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접안렌즈(21)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은 왜곡 또는 가려짐 없이 그대로 카메라(11)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아답터(120)는 하나 이상의 광학렌즈(3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제2 아답터(120)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의 광학렌즈(30)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제2 아답터(120)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초점거리가 짧은 광학렌즈(30a)에 따른 제2 아답터(120a)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초점거리가 긴 광학렌즈(30b)에 따른 제2 아답터(120b)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를 살펴보면, 관통홀(112)에는 초점거리가 짧은 광학렌즈(30a)가 안착되어 있고, 이때 관통홀(112)의 타측에는 길이가 짧은 제2 아답터(120a)가 부착되어 있다.
길이가 짧은 제2 아답터(120a)는 모바일(10)을 바닥면(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광학렌즈(30a)의 초점거리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광학기기(20)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광학렌즈(30)만으로 사물을 관찰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광학렌즈(30)의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10)을 계속해서 파지하지 않고 바닥면(50)에 안착시켜 사물을 보다 정밀하게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4(b)를 살펴보면, 관통홀(112)에는 초점거리가 먼 광학렌즈(30b)가 안착되어 있고, 이때 관통홀(112)의 타측에는 길이가 긴 제2 아답터(120b)가 부착되어 있다.
즉, 길이가 긴 제2 아답터(120b)는 길이가 짧은 제2 아답터(120a)와 상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광학렌즈(30)의 초점거리에 따라 이러한 제2 아탑터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는 제2 아답터(120)를 대신하여 관통홀(112)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 및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100)의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형광물질판변모듈(130)의 고정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은 내부에 안착되는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를 보다 용이하게 시인되도록 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131), 안착플레이트에 LED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132) 및 관통홀(112)의 내부에 광학렌즈(30) 대신 삽입되며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를 판별하기 위한 형광필터(133)을 포함한다.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의 말단부는 제2 아답터(120)의 말단부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관통홀(112)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안착플레이트(131)는 LED 조명(132)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LED 조명(132)은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에 빛을 조사하여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 내에 함유된 성분들이 형광필터(133)에 보다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해당 하나 이상의 배터리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광필터(133)는 관통홀(112)의 내부에 광학렌즈(30)를 대신하여 안착될 수 있고,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40)의 내에 함유된 성분 중에서 형광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판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광필터(133)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을 원통형태으로 도시하였지만 육면체형태와 같이 다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이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형광물질판별모듈(130)의 외형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모바일 11 : 카메라
20 : 광학기기 21 : 접안렌즈
30 : 광학렌즈 30a : 초점거리가 짧은 광학렌즈
30b : 초점거리가 먼 광학렌즈
40 : 형광물질로 염색된 시료 50 : 바닥면
100 :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110 : 제1 아답터 111 : 제1 자력부재
111-1 : 제2 자력부재 112 : 관통홀
120 : 제2 아답터 120a : 길이가 짧은 제2 아답터
120b : 길이가 긴 제2 아답터
121 : 나사선 122 : 고정볼트
130 : 형광물질판별모듈 131 : 안착플레이트
132 : LED 조명 133 : 형광필터

Claims (9)

  1. 모바일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카메라와 접하고,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관통홀(hall)을 포함하는 제1 아답터;
    일측이 상기 제1 아탑터와 연결되며, 타측이 광학기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아답터; 및
    상기 관통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광학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아답터는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의 조임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아답터에 고정된 상기 광학기기 일측의 중심과 상기 카메라의 중심이 일치되어 초점이 정렬됨으로써, 상기 광학기기로부터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모바일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답터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magnetic substance), 접착제(adhesive) 및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brack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아답터는 상기 모바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답터는,
    원형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는 네 개의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아답터는 상기 네 개의 고정 볼트의 조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아답터에 삽입된 상기 광학기기 일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답터는,
    상기 광학렌즈의 종류에 따라 길이가 상이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8. 모바일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카메라와 접하고,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관통홀(hall)을 포함하는 제1 아답터;
    상기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형광물질을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광물질판별모듈; 및
    상기 관통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광학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물질판별모듈로부터 판별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모바일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판별모듈은,
    상기 형광물질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안착된 형광물질을 판별하기 위한 형광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KR1020130102917A 2013-08-29 2013-08-29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KR10135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17A KR101355686B1 (ko) 2013-08-29 2013-08-29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17A KR101355686B1 (ko) 2013-08-29 2013-08-29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686B1 true KR101355686B1 (ko) 2014-02-04

Family

ID=5026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917A KR101355686B1 (ko) 2013-08-29 2013-08-29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67B1 (ko) * 2019-01-29 2020-06-04 3젠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조명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부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76A (ko) * 2011-04-08 2012-10-17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형광 검출 시스템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76A (ko) * 2011-04-08 2012-10-17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형광 검출 시스템
KR200467827Y1 (ko) * 2012-03-14 2013-07-08 김영준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67B1 (ko) * 2019-01-29 2020-06-04 3젠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조명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부착 장치 및 방법
US11589822B2 (en) 2019-01-29 2023-02-28 Dermlite Llc Medical illuminator mobile devic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787B2 (en) Magnifying attachment for a camera
US10495863B2 (en) Portable microscope device
CA2917551C (en) Optical system for imaging an object
US9131132B2 (en) Phone camera mount
US20160147057A1 (en) Lens unit and transmission compound microscope
JP5944174B2 (ja) 顕微鏡とカメラの接続具
TW201234041A (en) Optical device for coupling to a camera lens to form a visual observation system
JP2005331923A (ja) 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TWM491840U (zh) 可攜式顯微鏡裝置
KR101355686B1 (ko)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CN205507214U (zh) 一种设有前置式摄影装置的光学显微镜
US20150189135A1 (en) Tablet computer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camera lens
US20030197931A1 (en) Viewing apparatus
KR101480249B1 (ko) 확대촬상용 유닛
KR200294068Y1 (ko) 디지털현미경
JP2011142491A (ja) モニター画面観察用ビュアー
JP2015230356A (ja) 交換レンズ
IE20120495A1 (en) A viewing device
KR200321785Y1 (ko) 실체 영상 현미경
CN210670374U (zh) 一种全景镜头和全景拍摄设备
JP2007071990A (ja) 防水ハウジング
US20230345103A1 (en) Adjustable digital cinema camera optical viewfinder
Stockton GemLightbox Photography System
JP2017003898A (ja) レンズアタッチメント
RU24089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оптоэлектронных объе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