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249B1 - 확대촬상용 유닛 - Google Patents

확대촬상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249B1
KR101480249B1 KR20130113351A KR20130113351A KR101480249B1 KR 101480249 B1 KR101480249 B1 KR 101480249B1 KR 20130113351 A KR20130113351 A KR 20130113351A KR 20130113351 A KR20130113351 A KR 20130113351A KR 101480249 B1 KR101480249 B1 KR 10148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sing
unit
portable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이기훈
남국현
경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13011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탈부착하여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측 및 촬영할 수 있는 확대촬상용 유닛에 관한 것으로, 금속재질의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이 접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렌즈 바깥쪽에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가장자리에 0.5mm 내지 1.5mm의 단차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상기 카메라렌즈로 입사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 탈착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나사결합을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1케이싱부 및 불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2케이싱부; 상기 렌즈를 상기 제2케이싱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렌즈 고정용 스페이서; 및 상기 제2케이싱부와 결합되는 링형 부재로서, 상기 고정판의 돌출부의 외곽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카메라렌즈의 광축에 정렬하는 자석부;로 구성되는 확대촬상용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확대촬상용 유닛{Unit for magnifying pick up image}
본 발명은 확대촬상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탈부착하여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측 및 촬영할 수 있는 확대촬상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이들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또한 그 사용도가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이 높아지면서, 많은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영상 촬영이나 거울 대용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하지 못했던 이전의 핸드폰은 화면 상부에 돋보기와 같은 확대기를 설치하여 작은 화면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확대장치는 화면을 자유롭게 확대할 수 있는 최근의 스마트폰에서는 불필요한 장치가 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영상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 영역을 넘어설 만큼 그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줌 기능처럼 영상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신제품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일부 줌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메커니즘을 스마트폰에 구현해야 하므로, 더 얇고 가벼워져야 하는 스마트폰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구조의 변경을 비롯한 구성품의 증가로 인한 무게와 부피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미경이나 렌즈 조작을 통하여 영상을 처리, 확대하는 기술이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근접하여 고배율을 만들 수 없고, 별도의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원인가나 이를 위한 전기적인 접속 구조 등에 의하여 확대영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영상처리장치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는 간이형 영상확대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73호(2008. 06. 24.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간이형 영상확대장치는 구조를 너무 간소화시킨 나머지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반면에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영상확대장치들에게 요구되는 고성능 및 다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영상처리장치에 부착이 간편할 뿐 다양한 두께를 가지며 다양한 위치에 카메라가 장착된 각종 휴대단말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73호(2008. 06. 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1481호(2013. 01 07.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67301호(2005. 07. 01.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0-2002-369048호(2002. 12. 20.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0-2004-279733호(2004. 10. 07)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0-2005-278134호(2005. 10. 06)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관측, 촬영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의 구조변경 없이 각종 휴대단말기들에 적용이 가능하며, 탈부착 및 촬상을 위한 예비절차가 용이한 확대촬상용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금속재질의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이 접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렌즈 바깥쪽에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가장자리에 0.5mm 내지 1.5mm의 단차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상기 카메라렌즈로 입사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 탈착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나사결합을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1케이싱부 및 불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2케이싱부; 상기 렌즈를 상기 제2케이싱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렌즈 고정용 스페이서; 및 상기 제2케이싱부와 결합되는 링형 부재로서, 상기 고정판의 돌출부의 외곽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카메라렌즈의 광축에 정렬하는 자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상기 고정판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조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측면에 사이드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상기 자석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며,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일측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세서리로 결합 가능한 고리가 구비된 휴대용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확대 대상물의 함몰부분의 확대 관측 및 촬영을 위하여, 상기 제1케이싱부를 제거한 후 관측 및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상기 제1케이싱부 및 제2케이싱부는, 나사산이 각각 3개와 5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싱부의 나사산 피치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상기 제1케이싱부는, 45도 회전 시 0.0625mm 의 미세거리 조정에 따라 미세한 초점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영상처리를 위한 구조변경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확대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더욱 다양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광축정렬이 필요치 않는 맞춤형 장착과 광축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자유롭게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탈착하여 대상물을 확대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영상확대장치들에 비하여 확대배율 조절 및 구성부의 탈착에 의해 확대 대상물의 함몰부분을 확대 관측할 수 있는 고성능 및 다기능에도 불구하고 크기가 작아 휴대단말기의 악세서리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나 곤충 등을 확대하여 볼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산업용으로는 인쇄물의 인쇄상태, 접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계 수리 및 보석감정, 위조지폐 여부를 확인, 가정용으로는 집안 진드기, 벼룩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별도의 비용이 지출 없이 판별, 식별, 관측, 검사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에 적용되는 광학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계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이 적용된 휴대단말기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확대촬상용 유닛의 단면도 및 고정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휴대용 패키지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변형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초점거리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초점거리 조정을 표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은 종래기술에 따른 확대영상과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으로 확대한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휴대단말기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력을 갖는 부재를 구비하고, 관측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측 및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자력에 의한 결합방식 및 초점거리 조절방식을 구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기종에 상관없이 호환성에 중점을 두고 이를 극대화하여 영상의 확대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에 적용되는 광학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계 구조도로서, 화살표 A위치에 있는 B크기의 대상물이 초점(F) 안에 있을 때, 렌즈를 통해 생성되는 상은 A'의 위치에서 항상 똑바로 서고 B'크기로 확대된 상을 만든다. B에서 반사하여 사방으로 퍼지는 광선 중에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빛은 굴절 후에 초점 F'을 지나고, 렌즈 중심을 향하여 진행한 빛은 그대로 직진한다. 두 빛이 만나지 않으므로, 굴절한 빛의 연장선을 그어 만나는 위치 A'에 상이 생긴다. 이와 같이 연장한 선에 의한 상(B')을 허상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7배에서 최대 40배의 확대가 가능하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 이미지촬영 시 왜곡현상으로 인한 영향이 거의 없어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다. 또 초점이 길어 심도가 깊으며 민감도가 높지 않아 이미지 촬영 시 다루기 쉽고, 여러 영상기기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비교를 위하여 도 10a 및 도 10b에 종래기술에 따른 확대영상과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으로 확대한 영상을 도시하였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종래기술에 비해 확대배율은 다소 낮지만 초점구간에서 왜곡현상 없이 선명한 영상을 전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으므로, 넓은 구간의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민감도가 높지 않아 촬영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일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이 적용된 휴대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부(210)에 고정시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이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부(210)에 설치되는 방식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도 3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확대촬상용 유닛의 단면도 및 고정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고정판(12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부(210)에 결합된다. 고정판(120)은 금속재질의 원판형 부재로서, 휴대단말기(200)에 접촉되는 일면이 실리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200)와 고정된다. 고정판(120)은 휴대단말기(200) 또는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위의 오염이나 강제 제거 시, 상용의 실리콘 양면테이프로 대체하여 다른 위치 또는 신규 휴대단말기나 케이스에 다시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판(120)은 원판형 바디(121)와, 카메라부(210)를 노출시키기 위해 바디(121)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홀(123)과, 카메라의 플래시 조명을 노출시키기 위해 바디(1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홀(127)이 구비되며, 특히 카메라부(210)와 확대촬상용 유닛(100)의 용이한 광축 정렬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중앙홀(123)의 가장자리에 약 1mm 정도의 단차를 가지는 돌출부(125)를 더 형성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돌출부(125)가 형성된 고정판(120)을 이용하여 별도의 정렬 없이도 렌즈의 광축이 정렬된 상태로 맞춤형 체결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고, 체결 후에는 광축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광축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으며, 사용 중에 위치가 변경되어 영상이 짤리거나 하는 문제가 완전히 제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사용자가 고정판(120) 부착 시 카메라부(210)의 외측 렌즈의 동심도를 기준으로 육안으로 부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1mm 이내의 어긋남에 대하여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광축의 틀어짐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1케이싱부(111)와,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117)와, 렌즈(117)를 수납하는 제2케이싱부(113)와, 도 4의 고정판(120)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115)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고정 판(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싱부(113)는 투명재질로 구현할 경우에는 투명재질의 케이싱과 카메라부(210)의 보호윈도우가 결합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상호 재질 간의 불필요한 잡광이 카메라부(210)의 센서에 산란광으로 유입되어 난반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난반사를 제거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불투명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케이싱부(113)는 내장되는 렌즈(117)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렌즈(117)를 밀착 고정시키는 렌즈 고정용 스페이서(119, Spacer)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119)는 링 형상을 가지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이어캡이나 고리 형태로 휴대단말기(200)에 액세서리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캡(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휴대용 패키지의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6에 휴대단말기(200)의 이어캡이나 케이스에 액세서리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도 5의 휴대용 캡(130)에 고리(131)가 구비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변형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의 제1케이싱부(111)를 제거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확대 대상물의 함몰부분의 이미지 촬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확대 가능거리 A' 이내에서는 확대 대상물의 함몰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과 확대 대상물의 거리를 조정하면 최대 2.1mm 이내의 함몰부분의 영상 확대가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초점거리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초점거리 조정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는 제1케이싱부(111)의 나사산(111a)과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113b)의 맞물림 및 회전에 의하여 후초점거리(Back Focal Length, BFL)의 이동거리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총 이동거리(Z)를 적용하여 후초점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초점거리(F)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의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케이싱부(111)가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을 따라 거리값만큼 이동하며,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에 따라 최대이동거리가 결정된다.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는 0.5mm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각각 3개와 5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은 각 나사산에 존재하는 1.0~1.5mm만큼의 불완전 나사구간에 따라 최대 조정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불완전 나사구간을 제거하여 그 영향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의 끝단면이 맞물린 상태를 최대 이격상태라고 할 때,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가 최대로 맞물린 상태에서 최대로 이격된 상태까지 총 이동거리(Z)는 제2케이싱부(111)의 나사산 피치(Pitch)수가 5개이고 피치를 0.5mm라고 할 때, 총 이동거리(Z)는 5*0.5=2.5mm(Z-X)가 되고, 총 초점거리(F)는 총 이동거리(Z)에 렌즈까지의 거리 및 확대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이 된다. 즉, 초점거리(F)는 기준 초점거리(F)에 +/-1.25mm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휴대단말기는 기종별로 카메라부(210) 센서 위치가 다르므로 선명한 초점을 잡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제1케이싱부(111)를 조절하여 0.5mm의 미세조정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제1케이싱부(111)는 360도 회전 시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 피치에 의하여 0.5mm 이동되므로 제1케이싱부(111)가 45도 회전 시 0.0625mm만큼의 미세거리가 조정 가능하다. 이는 나사산 피치가 나사산 골과 골 사이 거리를 의미하므로 제1케이싱부(111)가 360도 회전 시 제2케이싱부(113) 나사 피치 0.5에 의하여 0.5mm 이동하게 되는 원리이다.
즉, 정량적으로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 피치를 0.5mm라고 할 때, 총 초점거리(F) 2.5mm 내에서 필요한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부(111)의 결합 및 제거를 통하여 확대 대상물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한 채 영상확대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부(210)에 본 발명의 확대촬상용 유닛(100)의 부착에 따른 구성과 초점 조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휴대폰(200)과 카메라부(210)에 고정판(120)을 이용하여 확대촬상용 유닛(100)을 결합하는 구조로서, 다양한 사양의 휴대단말기들과의 호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고정부(120)만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부(210)에 접착시킬 수 있다면 어떤 휴대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부(111)와 제2케이싱부(113)에 나사산을 적용함으로써, 확대촬상용 유닛의 후초점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각 휴대단말기의 호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0)은 사용 중이던 휴대단말기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적용되므로, 신규 휴대단말기에도 추가적인 구매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초점거리 조정을 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9의 L, L', L"은 각기 다른 확대촬상용 유닛의 기종별 장착 시 결상거리이고, 이에 따라 바뀌는 초점위치는 F, F', F''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종래의 영상확대장치와 같이 각 카메라에 고정된 타입을 개량하여 카메라부(210)까지의 거리를 L, L', L''로 변화 시, 제1케이싱부(111)과 제2케이싱부(113)의 나사산 스크류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초점 F1, F2, F3으로 조절이 가능토록 구현된 것으로, 광학적 변화 요인을 기구적으로 보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카메라부(210)에서 렌즈(117)까지의 거리 L이 변화할 때 거리 X와 Y를 이동 조정하여 변경된 초점을 조정 가능토록 구현한 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100)은 케이스 위에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적용하여 확대촬상 대상 영상이 잘리지 않도록 하였으며, 카메라부와의 거리 차이 발생에 따른 초점 무너짐은 전단부에 거리 조절 기능을 삽입하여 초점을 맺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자석에 의한 휴대단말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광축정렬이 필요치 않는 맞춤형 장착과 함께 사용 중 광축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각종 휴대단말기에 탈부착 및 광축정렬이 용이하므로, 관측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측 및 촬영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자력에 의한 결합방식 및 제1케이싱부와 제2케이싱부의 나사결합에 의한 초점거리 조절방식을 구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대촬상용 유닛은 각 구성부들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투명케이싱부를 간편하게 제거하여 근접촬영을 통해 다양한 대상물의 확대영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금속재질의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이 접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렌즈 바깥쪽에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조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홀 및 상기 중앙홀의 가장자리에 0.5mm 내지 1.5mm의 단차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상기 카메라렌즈로 입사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
    탈착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나사결합을 회전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1케이싱부 및 불투명부재로 만들어진 제2케이싱부;
    상기 렌즈를 상기 제2케이싱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렌즈 고정용 스페이서; 및
    상기 제2케이싱부와 결합되는 링형 부재로서, 상기 고정판의 돌출부의 외곽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카메라렌즈의 광축에 정렬하는 자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촬상용 유닛.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며,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일측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세서리로 결합 가능한 고리가 구비된 휴대용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촬상용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확대 대상물의 함몰부분의 확대 관측 및 촬영을 위하여, 상기 제1케이싱부를 제거한 후 관측 및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촬상용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부 및 제2케이싱부는,
    나사산이 각각 3개와 5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싱부의 나사산 피치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촬상용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부는,
    45도 회전 시 0.0625mm 의 미세거리 조정에 따라 미세한 초점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촬상용 유닛.
KR20130113351A 2013-09-24 2013-09-24 확대촬상용 유닛 KR10148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51A KR101480249B1 (ko) 2013-09-24 2013-09-24 확대촬상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51A KR101480249B1 (ko) 2013-09-24 2013-09-24 확대촬상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249B1 true KR101480249B1 (ko) 2015-02-06

Family

ID=5259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351A KR101480249B1 (ko) 2013-09-24 2013-09-24 확대촬상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9B1 (ko) * 2015-04-27 2016-11-04 (주)시원광기술 휴대폰 접사 촬영용 액세서리
KR20160131718A (ko) * 2015-05-08 2016-11-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기중의 눈 결정 촬영이 가능한 눈 결정 관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 결정 분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63B1 (ko) * 2002-12-30 2005-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의 렌즈 조립체
JP2007206137A (ja) * 2006-01-31 2007-08-16 Marumi Koki Kk 携帯電話用カメラにおける交換レンズ並びにフィルターのマウ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63B1 (ko) * 2002-12-30 2005-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의 렌즈 조립체
JP2007206137A (ja) * 2006-01-31 2007-08-16 Marumi Koki Kk 携帯電話用カメラにおける交換レンズ並びにフィルターのマウン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9B1 (ko) * 2015-04-27 2016-11-04 (주)시원광기술 휴대폰 접사 촬영용 액세서리
KR20160131718A (ko) * 2015-05-08 2016-11-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기중의 눈 결정 촬영이 가능한 눈 결정 관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 결정 분석방법
KR101721245B1 (ko) * 2015-05-08 2017-03-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기중의 눈 결정 촬영이 가능한 눈 결정 관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 결정 분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9712B2 (e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495863B2 (en) Portable microscope device
CN110888216B (zh) 光学镜头、镜头模组以及终端
JP2005006122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ボディおよび交換レンズ
JP2012177929A (ja) カメラ本体および撮像装置
CN105917254A (zh) 双焦镜头和包括双焦镜头的成像装置
JP2010092030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WO2013115217A1 (ja) 顕微鏡とカメラの接続具
JP5906435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CN110769144A (zh) 成像装置及移动终端
WO2016165644A1 (zh) 全景影像采集装置
JP6271904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1480249B1 (ko) 확대촬상용 유닛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CN103297573A (zh) 一种可实现光学变焦的手机摄像模块
CN203149189U (zh) 一种手机外置光学装置
JP2001255472A (ja) ファインダ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5257974A (ja) 固体撮像装置
CN210670374U (zh) 一种全景镜头和全景拍摄设备
KR101473088B1 (ko) 전자 확대경
JP200514819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KR20230149956A (ko) 모바일 기기용 매크로 렌즈
KR20160147668A (ko) 렌즈 어태치먼트
TWI278661B (en) Photographic device and photographic lens
JP5360341B2 (ja) 測光装置及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