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02B1 -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902B1
KR101591902B1 KR1020150128420A KR20150128420A KR101591902B1 KR 101591902 B1 KR101591902 B1 KR 101591902B1 KR 1020150128420 A KR1020150128420 A KR 1020150128420A KR 20150128420 A KR20150128420 A KR 20150128420A KR 101591902 B1 KR101591902 B1 KR 10159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icroscope
axis
adjus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미소
이정인
심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닛
Priority to KR102015012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02B1/ko
Priority to PCT/KR2015/009536 priority patent/WO201704367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최상의 품질로 스마트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현미경의 결합을 견고하고 정확하게 해주고, 스마트폰 종류에 상관 없이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 거치되며, 관통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및 현미경에 결합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FOR CONNECTION WITH MICROSCOP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경 이미지를 스마트폰 렌즈로 촬영하는 작업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병리학(pathology)이란, 조직 샘플을 육안이나 현미경을 통해 검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판별하는 의학의 분야이다. 예컨대, 암 진단 여부를 위해서는 해당 의심 조직의 조직 샘플을 현미경을 통해 병리학과 의사가 검사하고 암 세포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암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병리 진단에는 의료용 스캐너와 현미경 카메라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조직 샘플을 초고해상도로 스캔하고 스캔된 영상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고가의 장비이므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비들은 초고해상도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조직 샘플에 대해 수백메가~수기가바이트 단위의 영상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최근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들도 고성능의 연산유닛(CPU,GPU)와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카메라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한 매우 고성능의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병리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미경의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뒤, 디지털 이미지로서 가공 또는 전송하게 되면, 현미경 자체에 별도의 이미지 저장 장치 또는 전송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현미경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가격이 저렴하게 된다. 또 이미지 저장 및 처리를 위한 기능이 없는 기존 현미경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현미경의 접안 렌즈를 통해 나오는 관찰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마트폰 렌즈에서 받아서 사진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렌즈가 현미경의 이미지를 얼마나 손실 없이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이미지의 품질이 크게 달라진다. 이에 따라 현미경과 스마트폰을 최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중요하나 이를 수작업으로 하면 스마트폰과 현미경의 정확도가 낮아지며, 따라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떨어진다. 또 작업 시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렌즈와 현미경 접안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므로 이미지 품질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미경 접안 렌즈 부위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현미경을 단단히 그리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어, 현미경의 이미지를 선명하고 정확하게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게 해줘야 한다.
한편 스마트폰의 종류는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특정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만든 거치대는 다른 스마트폰에는 적용이 불가능해 용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규격과 무관하게 범용으로 적용 가능한 현미경 연결용 거치대가 필요하다.
또한 현미경과의 결합 및 분리가 빠르고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이미지를 스마트폰과 현미경 모두를 통해 번갈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이다.
또 스마트폰으로 입사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간단히 조정하고 싶을 경우 스마트폰 자체의 줌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이미지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과 현미경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변화시킨다면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된 이미지를 화질 손상 없이 촬영할 수 있는 바, 거치대 자체에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면 유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성능이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요구되지만, 종래의 기술은 스마트폰과 현미경의 결합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거나 탈착이 쉽지 않으며 탈착하는 경우 촛점이 바뀌어서 그 때마다 이를 재조정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요망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거치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미경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최상의 품질로 스마트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현미경의 결합을 견고하고 정확하게 해주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종류에 상관 없이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미경에의 탈부착이 간단한,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크기 조절이 가능한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스마트폰이 거치되며, 관통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및 현미경에 결합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에는 거치될 스마트폰을 몸체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X축 조절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몸체에는 거치될 스마트폰의 다양한 폭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거치될 스마트폰을 몸체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Y축 조절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X축 조절대 및 Y축 조절대가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각각 몸체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X축 조절대 및 Y축 조절대가 하나의 조절대를 형성하여 몸체와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절대는 몸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데, 그 방식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 예로서, 레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조절대의 하부에는 거치될 스마트폰을 받침으로써, 스마트폰이 거치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대의 측면 중 하나 이상에도 돌출 테두리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X축 방향, 즉 좌우 폭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X축 조절대 및 Y축 조절대를 이동시켜, 거치될 스마트폰 크기에 맞춤으로써, 시판되는 어떠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스마트폰이라도 거치대 위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현미경의 접안 렌즈에 결합되는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와 연결체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게 해주는 변위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수단은 몸체와 연결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위수단은 링 형상이며, 거치대 몸체와 현미경 접안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액추에이터나 스텝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현미경의 미동나사나 조동나사와 같이 간단한 나사로서 이루어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몸체와 연결체의 대응 부위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연결체가 몸체로부터 간단히 탈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석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우수한 자력을 보유한 네오디뮴 자석이 적절한 개수로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한편 거치대에서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분에는 충전공이 형성될 수 있다. 충전공을 통해 충전 케이블을 삽입하여, 거치 상태 스마트폰에 결합시킴으로써, 현미경 이미지를 촬영하는 중에도 스마트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시판되는 현미경의 접안 렌즈의 형상과 규격은 여러 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 거치대의 연결체와 현미경의 접안 렌즈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보조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보조 링은 일부가 끊어진 링 형상이므로 다양한 접안 렌즈 구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링이 접안 렌즈 통의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거치대와 현미경의 결합이 강화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첫째로, 현미경과 스마트폰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한다.
둘째로, 어떤 종류의 스마트폰이라도 거치할 수 있다.
셋째로, 현미경에의 탈부착이 간단해진다.
넷째로, 현미경 접안 렌즈와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이 결합된 거치대가 현미경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1)의 주요 부품은 무게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나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대(1)는 몸체(100) 및 연결체(2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의 후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몸체(100)의 위쪽에는 관통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110)는 현미경의 접안 렌즈로부터 입사하는 빛을 통과시켜 스마트폰 카메라의 렌즈로 전달시키는 기능을 한다. 관통구(110)는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의 크기를 고려할 때, 외부로부터의 빛 유입이 최소로 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20mm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100)는 중간 부분 위부터 폭이 조금 넓어진다. 이러한 폭의 차이는 후술하는 Y축 조절대(320)의 위쪽 방향 이동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하여 이동 범위의 상한을 정해준다.
도 2에서 몸체(100)의 후면 상단에는 연결체(200)를 연결할 수 있는 원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부(120) 위에는 Z축 조절나사(4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의 연결체(200)가 원통부(120)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연결체(200)는 링 형상(이하 연결 링이라 한다)이다. 부호 400은 변위수단의 한 실시예인 중간 링이다. 연결체(200)는 중간 링(400)을 사이에 두고 몸체(100)의 원통부(120) 내경에 끼워져 결합된다. 중간 링(400)의 내경은 몸체(100) 원통부(120)의 외경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중간 링(400)의 위쪽에는 돌출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0)에는 나사구멍(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몸체(100)의 Z축 조절나사(430)가 끼워진다. 또 중간 링(400)에는 Z축 조절나사(430)가 끼워졌을 때 이 나사를 돌릴 수 있는 노브(knob, 440)가 결합되어 있다.
도 4는 연결 링(200)의 정면도이다. 연결 링(200)에는 4개의 자석(210)이 붙어 있다. 자석(210)은 연결 링(200) 표면 4곳에 매립되어 있다. 자석(210)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하였다.
한편 연결 링(200)이 삽입되는 몸체(100)의 원통부(120)에는 연결 링(200)의 자석(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이 자석은 원통부(120)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120)와 연결 링(200)의 대응되는 자석에 의해, 연결 링(200)을 몸체(100)로부터 손쉽게 분리하고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를 스마트폰을 통해 관찰하다가 잠시 현미경을 통해 볼 필요가 있을 때 거치대(1)를 간단히 탈착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이 거치되었을 때 이러한 자석의 영향에 의해 스마트폰이 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몸체(100) 전면에는 금속판이 내장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몸체(100)의 후면(130)은 요철부를 가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를 줄이고 재료비를 낮출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보면 몸체(100)에는 조절대(300)가 결합된다. 조절대(300)은 X축 조절대(310) 및 Y축 조절대(320)가 결합된 조립체이다. X축 조절대(310) 및 Y축 조절대(320)를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하여 몸체(100)에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둘이 결합되어 하나의 조절대(300)를 형성한 뒤, 몸체(100)에 결합된다.
이하 조절대(300)의 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X축 조절대(310)는 본체(312)와 폭조절대(314)를 포함한다.
본체(312)의 왼쪽 측면부터 하단 일부까지는 돌출테두리(3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에는 거치될 스마트폰의 하부와 왼쪽 측면이 지지된다. 하단 돌출테두리(316)에는 충전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을 통해 거치된 스마트폰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중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작업 중 스마트폰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X축 조절대(310)는 Y축 조절대(320)에 슬라이딩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본체(312)의 오른쪽 표면에는 가로방향, 즉 X축 방향 전면홈(3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312)의 오른쪽 후면 부분은 폭방향을 따라 단차부(317a)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폭조절대(314)는 바(bar) 형상이며 상하단 각각에 'ㄷ'자형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가 본체(312) 후면 단차부(317a)에 놓인다. 폭조절대(314)는 이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조절대(314)는 스마트폰을 폭에 맞게 거치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폭조절대(314) 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폭조절나사(315)가 결합된다. 스마트폰 폭에 맞게 폭조절대(314)를 좌우로 움직인 뒤 폭조절나사(315)를 돌리면 폭조절대(314)는 전면홈(313a)을 가압하면서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X축 방향 이동 없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X축 조절대(310) 본체(312)의 상하 양단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전면 단차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X축 조절대(310)의 왼쪽 후면에는 중앙에 후면홈(313b)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단차부(312a)와 후면홈(313b)은 이후 설명할 Y축 조절대(320)와의 결합에 이용된다.
Y축 조절대(320)는 X축 조절대(310)를 슬라이딩 레일 방식으로 수용하여 전체 조절대를 구성함과 동시에, 거치대(1)의 몸체(100)에 자신도 슬라이딩 레일 방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Y축 조절대(320)의 본체(322) 아래쪽에는 X축 방향으로 전면 레일홈부(324)가 형성된다. 또 Y축 조절대(320)의 본체(322) 후면 전체에는 상하방향, 즉 Y축 방향으로 후면 레일홈부(326)가 형성된다. 또 Y축 조절대(320)의 오른쪽 상단 측면에는 Y축 조절나사(327)가 결합되어 있다. 또 Y축 조절대(320)의 왼쪽 하단 측면에는 X축 조절나사(328)가 결합되어 있다.
이하 X축 조절대(310)과 Y축 조절대(32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X축 조절대(310)의 단차부(312a)는 Y축 조절대(320)의 전면 레일홈부(324) 위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X축 조절대(31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X축 조절나사(328)를 후면 홈(313b)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X축 조절대(310)는 Y축 조절대(320)에 대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렌즈의 X축 방향 위치를 현미경 접안 렌즈(90)와 일치시킬 수 있다. X축 조절나사(328)가 전면 레일홈부(324)의 왼쪽 또는 오른쪽 경계에 걸림으로써 Y축 조절대(320) 위에서 X축 조절대(310)의 이동 범위가 정해진다. 동시에, X축 조절대(310)가 Y축 조절대(320)로부터 빠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조절대(310)과 Y축 조절대(320)가 결합되어 형성된 조절대(300)가 몸체(100)에 결합된다. 즉 Y축 조절대(320)의 후면 레일홈부(326)에 몸체(100)가 하단부부터 삽입됨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스마트폰을 거치할 때 Y축 조절대(320)를 원하는 위치만큼 상하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에 Y축 조절나사(327)를 돌려 몸체(100)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카메라의 렌즈는 현미경 접안 렌즈(90)와 상하 방향 정렬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체(200)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주에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연결나사(2000)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체(200)가 현미경의 접안 렌즈(9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연결나사(2000)를 조임으로써, 접안 렌즈(90) 외주에 연결체(200)를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미경과 거치대(1)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의 작동을 설명한다.
거치대(1)와 스마트폰(80)의 결합은 스마트폰(80)을 거치대(1)의 몸체(100)에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80)의 하부가 X축 조절대(310)의 하부 돌출테두리(316) 위에 지지된다.
스마트폰(80)의 폭을 거치대(1)에 맞추기 위해서는, X축 조절대(310) 폭조절대(314)의 폭조절나사(315)를 푼 뒤, 폭조절대(314)를 스마트폰(80) 폭에 맞게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폭조절나사(315)를 다시 조임으로써 스마트폰(80)의 폭 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스마트폰(80) 카메라 렌즈의 폭 방향, 즉 X축 방향 위치를 현미경 접안 렌즈(90)에 맞추기 위해서는 X축 조절대(310) 전체를 Y축 조절대(32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X축 조절나사(328)가 풀린 상태에서 X축 조절대(310)를 Y축 조절대(32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현미경 접안 렌즈와의 X축 방향 정렬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X축 조절나사(328)를 조임으로써 스마트폰(80)을 고정시킨다.
또 스마트폰(80) 카메라 렌즈의 길이 방향, 즉 Y축 방향 위치를 현미경 접안 렌즈에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Y축 조절나사(327)가 풀린 상태에서 Y축 조절대(320)를 상하로 이동시켜 현미경 접안 렌즈와의 Y축 방향 정렬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Y축 조절나사(327)를 다시 조임으로써 스마트폰(80)을 고정시킨다. 이상 설명한 과정에 따라 스마트폰(80)을 거치대(1)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완료된다.
또 거치대의 연결 링(200)을 현미경 접안 렌즈(90)의 외경에 삽입시킴으로써 현미경과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거치대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현미경에 결합된 모습을 도 8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현미경에 결합된 스마트폰을 통해, 현미경 접안 렌즈(90)를 통해 받은 이미지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되는 이미지를 확대하기 위해 스마트폰 자체의 이미지 확대 축소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는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중간 링(400)의 Z축 조절나사(430)를 회전시켜 연결 링(200)을 Z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리적인 거리를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1)만으로써 이미지를 화질의 손상 없이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1)에 결합된 스마트폰(80) 카메라 렌즈와 현미경 접안 렌즈 사이의 거리가, 최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현미경 접안 렌즈 외경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 링(200)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보조 링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조 링은 접안 렌즈 외경의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거치대와 현미경의 결합이 강화된다.
촬영 중 현미경을 육안으로 직접 보면서 관찰되는 이미지의 초점, 크기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면, 몸체(100)를 연결 링(200)으로부터 떼어내고, 연결 링(200) 내경을 통해 현미경 접안 렌즈를 본다. 이후 다시 스마트폰으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연결 링(200)과 몸체(100)를 연결하면 된다.
한편, 촬영 시 충전공을 통해 충전기를 스마트폰(80)에 연결하면 촬영 도중 전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거치대
80: 스마트폰
90: 현미경
100: 몸체
200: 연결체
210: 자석
310: X축 조절대
314: 폭조절대
320: Y축 조절대

Claims (16)

  1.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스마트폰이 거치되며, 관통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및 현미경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연결체
    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Z축 조절나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의 연결체에는 상기 Z축 조절나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멍을 통한 상기 Z축 조절나사의 진퇴에 의해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조절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을 폭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X축 조절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조절대의 하부 및 측면에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조절대가 상기 Y축 조절대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조절대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거치되는 스마트폰을 그 폭에 맞게 거치하기 위한 폭조절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연결체 사이에 변위수단이 위치하여, 상기 몸체와 연결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이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체 각각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표면이 요철을 가지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현미경 접안 렌즈와의 결합을 위한 보조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 외주에는 현미경 접안렌즈 외주를 가압하여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연결나사가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50128420A 2015-09-10 2015-09-10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9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420A KR101591902B1 (ko) 2015-09-10 2015-09-10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PCT/KR2015/009536 WO2017043678A1 (ko) 2015-09-10 2015-09-10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420A KR101591902B1 (ko) 2015-09-10 2015-09-10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02B1 true KR101591902B1 (ko) 2016-02-04

Family

ID=5535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420A KR101591902B1 (ko) 2015-09-10 2015-09-10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1902B1 (ko)
WO (1) WO201704367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7493A (zh) * 2017-03-06 2017-05-24 四川农业大学 一种显微镜拍摄辅助装置
KR101825217B1 (ko) * 2016-08-08 2018-02-02 (주)시원광기술 휴대폰 이용 미세구조 관찰 기구
US10139712B2 (en) 2016-04-18 2018-11-27 Yo Shik Shi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FR3107965A1 (fr) * 2020-03-09 2021-09-10 Xrapid France Instrument optique avec support aimanté pour un appareil électronique équipé d’un capteur d’images numériques
KR20230146730A (ko) 2022-04-13 2023-10-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현미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찰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3267A (zh) * 2017-07-06 2017-09-12 德州学院 显微镜手机拍摄固定仪及其使用方法
WO2020089289A2 (en) * 2018-10-31 2020-05-07 Spotlab, S.L. System for activating digital acquisition of a sample through an optical instrument
CN113589511A (zh) * 2021-07-30 2021-11-02 绍兴格物光学有限公司 一种可移动镜头便携式显微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61Y1 (ko) * 2013-04-18 2013-12-16 안덕주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JP3190190U (ja) * 2013-11-11 2014-04-24 炎 喬 顕微鏡用簡易型カメラ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0740A (ja) * 2001-03-23 2002-12-04 Olympus Optical Co Ltd 顕微鏡用カメラアダプタ
US20130016963A1 (en) * 2011-07-14 2013-01-17 Andrew Miller Device for fastening imaging units on a microscope
TWI494596B (zh) * 2013-08-21 2015-08-01 Miruc Optical Co Ltd 顯微鏡用可攜式終端轉接器和使用可攜式終端轉接器的顯微鏡拍攝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61Y1 (ko) * 2013-04-18 2013-12-16 안덕주 휴대폰용 현미경 렌즈어답터
JP3190190U (ja) * 2013-11-11 2014-04-24 炎 喬 顕微鏡用簡易型カメラアダプ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9712B2 (en) 2016-04-18 2018-11-27 Yo Shik Shi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25217B1 (ko) * 2016-08-08 2018-02-02 (주)시원광기술 휴대폰 이용 미세구조 관찰 기구
CN106707493A (zh) * 2017-03-06 2017-05-24 四川农业大学 一种显微镜拍摄辅助装置
CN106707493B (zh) * 2017-03-06 2023-05-05 四川农业大学 一种显微镜拍摄辅助装置
FR3107965A1 (fr) * 2020-03-09 2021-09-10 Xrapid France Instrument optique avec support aimanté pour un appareil électronique équipé d’un capteur d’images numériques
KR20230146730A (ko) 2022-04-13 2023-10-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현미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찰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678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02B1 (ko)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JP5995925B2 (ja) 顕微鏡用携帯端末アダプタ、及び携帯端末アダプタを用いた顕微鏡撮像方法
US20110019992A1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7178997B2 (en) Arrangement for holding a camera behind a monocular or binocular
TWM523243U (zh) 手機轉接裝置及系統
US20160062099A1 (en) Image collection through a microscope and an adaptor for use therewith
JP5944174B2 (ja) 顕微鏡とカメラの接続具
US20200077080A1 (en) Portable system for taking photogrammetry images and related method
KR101596146B1 (ko)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20140035672A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CN109952756A (zh) 拍摄装置
US20120134662A1 (en) Viewfinder
JP3190190U (ja) 顕微鏡用簡易型カメラアダプタ
TW201514569A (zh) 一種立體調焦法及其系統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KR20170076517A (ko) 단안식 입체 카메라
CN211043795U (zh) 一种显微镜采集装置
CN109210326B (zh) 智能手机用微距拍摄仪
CN216052417U (zh) 一种可上下调节的手机拍照架结构
CN210534433U (zh) 一种可调节显微镜手机拍照辅助装置
CN211577638U (zh) 一种超远长焦镜头连接器
CN218824958U (zh) 一种手机摄像用显微镜目镜固定架
CN210690930U (zh) 可变焦、复消色差全光谱物镜
CN210428051U (zh) 多镜头相机机身及多镜头相机
JP2003279831A (ja) 映像拡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