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83Y1 - 바다낚시용 채비 - Google Patents

바다낚시용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83Y1
KR200470383Y1 KR2020130007675U KR20130007675U KR200470383Y1 KR 200470383 Y1 KR200470383 Y1 KR 200470383Y1 KR 2020130007675 U KR2020130007675 U KR 2020130007675U KR 20130007675 U KR20130007675 U KR 20130007675U KR 200470383 Y1 KR200470383 Y1 KR 200470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edle
fishing line
line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7501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038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2020130007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다낚시용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줄; 상기 낚싯줄 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싯바늘; 및 상기 낚싯바늘의 양측에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며, 상기 낚싯줄 상에서의 상기 낚싯바늘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다낚시용 채비{Fishing tackle for ship fishing}
본 고안은, 바다낚시용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는 바다낚시용 채비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채비에는 대표적으로 바다낚시용 채비와 민물낚시용 채비가 있다. 이때, 바다낚시용 채비와 민물낚시용 채비는 서로 많이 다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민물과 달리 바닷물의 파도는 높고 그 흐름도 일정치 않을 뿐만 아니라 빠르며, 수면 아래는 모래, 갯벌 혹은 갯바위로 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낚시용 채비를 구성하는 낚싯대, 낚싯줄, 낚싯바늘 등도 바다낚시용 채비의 경우, 민물낚시용 채비보다 더 무거우면서 견고하고, 큰 것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같은 바다낚시라 하더라도 어종, 어류의 서식환경에 따라서도 다른 낚시용 채비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광어 낚시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한다.
광어의 경우, 바닥에서 25~30cm 점프하여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이 위치로 낚싯바늘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물살이 느릴 때는 낚싯줄이 해면에 거의 수직으로 서 있어 해저 바닥과 낚싯바늘 사이의 거리가 앞서 기술한 최적인 25~30cm 가 유지될 수 있지만, 물살이 쎌 때는 낚싯줄이 기울어짐에 따라 낚싯바늘과 바닥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대상어, 다시 말해 광어의 획득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즉 물살이 세질 경우에는 낚싯줄이 기울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봉돌과 낚싯바늘 간의 단차(거리)를 조절해주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노력 대비 대상어 획득이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바다낚시용 채비의 경우, 낚싯바늘이 낚싯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나 설사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라 하더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여 채비의 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구조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366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0654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06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8927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도록 한 바다낚시용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낚싯줄; 상기 낚싯줄 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싯바늘; 및 상기 낚싯바늘의 양측에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며, 상기 낚싯줄 상에서의 상기 낚싯바늘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낚시용 채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서로 이격시켜 상기 낚싯바늘을 상기 낚싯줄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다시 접근시켜 상기 낚싯바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은 상기 낚싯줄에 대해 적어도 1회 이상 매듭진 상태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낚싯줄은 상기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1 내부홀을 경유하여 상기 낚싯바늘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홀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2 내부홀을 경유하여 상기 낚싯바늘의 고리홀을 통과한 다음, 다시 상기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1 내부홀, 상기 낚싯바늘의 고리홀 및 상기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2 내부홀을 차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매듭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낚싯바늘은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대칭되는 쌍 바늘이거나,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비대칭되는 쌍 바늘이거나, 같은 방향에서 사이즈가 상이한 쌍 바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낚싯바늘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낚싯바늘의 위치 조정 작업 역시 손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하여 비용 감소에 따른 채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낚싯줄의 매듭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낚싯줄의 매듭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낚싯줄 상에서 낚싯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다낚시용 채비(100)는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1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미도시)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낚싯줄(110), 낚싯바늘(120), 그리고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바다낚시용 채비(100)에는 낚싯대, 봉돌(미도시) 등이 더 구비되나 이에 대한 구성들은 일반적이므로 편의상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다낚시용 채비(100)는 바다낚시, 특히 선상 낚시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우럭, 광어, 갑오징어, 주꾸미 등 선상 낚시의 모든 어종에 적용할 수 있다.
낚싯줄(110)은 그 재질에 따라 나일론사와 카본사로 구분되며, 굵기에 따라 0호부터 30호까지 호수로 표기한다. 원줄에 비해 목줄을 1~1.5호 가량 가늘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이유는 낚싯바늘(120)이 장애물에 걸렸을 때 목줄만 끊어져서 원줄과 전체 채비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또 낚싯바늘(120)에 묶인 목줄이 가늘수록 고기의 경계심이 적어져서 입질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낚시기법에 따라서 애용되는 원줄의 호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낚시기법에 따라 원줄의 재질도 달라질 수 있다. 중층이나 내림낚시의 경우는 원줄이 가라앉으면 좋지 않으므로 비중이 가벼운 나일론사를 많이 사용하고, 채비를 바닥층에 내려 중후한 찌올림을 즐기는 바닥낚시의 경우에는 비중이 무거운 카본사를 주로 사용한다.
낚싯바늘(120)은 낚싯줄(110)에 연결되는 갈고리이다. 낚싯바늘(120)은 그 크기(종류)에 따라 호수를 매겨 구별하고 있으며, 대개 대상어가 클수록 큰 호수의 바늘을 사용한다.
채비를 이루는 낚싯바늘(120)은 대상어의 습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눈에 잘 띄지 않고 이물감을 적게 주는 작고 가는 낚싯바늘(120)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은 널리 알려져 있다.
가는 낚싯바늘은 고기에게 주는 거부감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같은 강도의 굵은 바늘에 비해 고기의 저항 정도에 의한 적절한 탄성기능(적당히 뻗어주어 부러지거나 고기 입을 상하지 않게)을 발휘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돌돔 등의 낚시에서와 같이 강철로 된 굵은 바늘을 이빨로 잘라버리는 대상어의 경우에는 굵은 바늘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겠지만 붕어, 망상어 등과 같이 입질이 섬세하면서도 대상어의 움직임에 여러 기술을 구사해야 하는 경우에는 딱딱하고 강한 바늘보다는 연질의 탄성을 가지고 있는 가는 바늘이 오히려 효과적인 것이다.
그러나 가는 바늘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 강도가 약하여 대상어의 저항(바늘털이 등) 등으로 인해 쉽게 부러질 염려가 높은 단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낚싯바늘(120)은 낚싯줄(110)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마련된다.
낚싯바늘(120)은 후크 형상을 갖는다. 선단부 영역의 훅 포인트(120a)의 주변에는 미늘(120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미늘(120b)이 바깥쪽으로 나와 있는 것을 아웃 바브(out barb)라고도 한다.
낚싯바늘(120)의 형상과 사이즈는 어종, 어류의 서식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한편,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은 낚싯바늘(120)의 양측에서 낚싯줄(110)에 연결되는 별도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은 낚싯줄(110) 상에서의 낚싯바늘(120)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3처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서로 이격시킨 경우, 낚싯줄(110)이 느슨해진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도 4(화살표)처럼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120)을 옮겨 낚싯줄(11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봉돌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광어의 경우, 바닥에서 25~30cm 점프하여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이 위치로 낚싯바늘(120)을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물살이 느릴 때는 낚싯줄(110)이 해면에 거의 수직으로 서 있어 해저 바닥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거리가 앞서 기술한 최적인 25~30cm 가 유지될 수 있지만, 물살이 셀 때는 낚싯줄(110)이 기울어짐에 따라 낚싯바늘(120)과 바닥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대상어, 다시 말해 광어의 획득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물살이 셀 때는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120)을 옮겨 봉돌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해 주어야 한다.
봉돌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단차를 조정한 다음에는 도 5처럼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다시 접근시켜 낚싯바늘(120)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은 낚싯줄(110)에 대해 적어도 1회 이상 매듭진 상태로 낚싯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낚싯줄(110)의 매듭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 낚싯줄(110)은 도 2의 화살표 ①번에서 ⑧번의 순서와 같이 낚싯바늘(120)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낚싯줄(110)은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의 제1 내부홀(131)을 경유하여 낚싯바늘(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홀(121)을 통과한 후,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40)의 제2 내부홀(141)을 경유하여 낚싯바늘(120)의 고리홀(121)을 통과한 다음,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의 제1 내부홀(131), 낚싯바늘(120)의 고리홀(12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40)의 제2 내부홀(141)을 차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매듭져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낚싯줄(110)이 낚싯바늘(120)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에 연결될 경우, 도 3처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서로 이격시키면 낚싯줄(110)이 느슨해진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도 4(화살표)처럼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120)을 옮겨 낚싯줄(11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5처럼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다시 접근시켜 낚싯줄(110)을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낚싯바늘(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1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1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낚싯바늘(120)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낚싯바늘(120)의 위치 조정 작업 역시 손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하여 비용 감소에 따른 채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다낚시용 채비(200) 역시, 낚싯줄(110), 낚싯바늘(220), 그리고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포함한다.
낚싯줄(110)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낚싯바늘(220)은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대칭되는 쌍 바늘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어의 획득에 다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2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2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다낚시용 채비(300) 역시, 낚싯줄(110), 낚싯바늘(320), 그리고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포함한다.
낚싯줄(110)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낚싯바늘(320)은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비대칭되는 쌍 바늘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어의 획득에 다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3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3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채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다낚시용 채비(400) 역시, 낚싯줄(110), 낚싯바늘(420), 그리고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을 포함한다.
낚싯줄(110)과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130,14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낚싯바늘(420)은 같은 방향에서 사이즈가 상이한 쌍 바늘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어의 획득에 다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로써 낚싯줄(110) 상에서 낚싯바늘(4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살에 따라 봉돌과 낚싯바늘(420) 사이의 단차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전보다 대상어를 보다 잘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바다낚시용 채비 110 : 낚싯줄
120 : 낚싯바늘 121 : 고리홀
130 :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 131 : 제1 내부홀
140 :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 141 : 제2 내부홀

Claims (4)

  1. 낚싯줄;
    상기 낚싯줄 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싯바늘; 및
    상기 낚싯바늘의 양측에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며, 상기 낚싯줄 상에서의 상기 낚싯바늘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서로 이격시켜 상기 낚싯바늘을 상기 낚싯줄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을 다시 접근시켜 상기 낚싯바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은 상기 낚싯줄에 대해 적어도 1회 이상 매듭진 상태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며,
    상기 낚싯줄은 상기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1 내부홀을 경유하여 상기 낚싯바늘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홀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2 내부홀을 경유하여 상기 낚싯바늘의 고리홀을 통과한 다음, 다시 상기 제1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1 내부홀, 상기 낚싯바늘의 고리홀 및 상기 제2 바늘 위치 조정용 구슬의 제2 내부홀을 차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매듭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낚시용 채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은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대칭되는 쌍 바늘이거나,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비대칭되는 쌍 바늘이거나, 같은 방향에서 사이즈가 상이한 쌍 바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낚시용 채비.
KR2020130007675U 2013-09-12 2013-09-12 바다낚시용 채비 KR200470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5U KR200470383Y1 (ko) 2013-09-12 2013-09-12 바다낚시용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5U KR200470383Y1 (ko) 2013-09-12 2013-09-12 바다낚시용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83Y1 true KR200470383Y1 (ko) 2013-12-11

Family

ID=5075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75U KR200470383Y1 (ko) 2013-09-12 2013-09-12 바다낚시용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8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362Y1 (ko) * 1997-02-14 1999-03-20 최명길 낚시줄 연결구용 스토퍼
KR200390216Y1 (ko) * 2005-05-06 2005-07-20 안원균 낚시용 가지선 연결구
KR20120060543A (ko) * 2010-12-02 2012-06-12 강기호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362Y1 (ko) * 1997-02-14 1999-03-20 최명길 낚시줄 연결구용 스토퍼
KR200390216Y1 (ko) * 2005-05-06 2005-07-20 안원균 낚시용 가지선 연결구
KR20120060543A (ko) * 2010-12-02 2012-06-12 강기호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150264905A1 (en) Guide lip for fishing lures and bait
US8857099B1 (en) Fishing lure
JP5030910B2 (ja) ルアー
KR200470383Y1 (ko) 바다낚시용 채비
CA2903045A1 (en) Bottom bouncer with swiveling section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JP4789187B2 (ja) 釣り用ルアー
KR20080067725A (ko) 낚시추
US8407929B2 (en) Surf fishing rig
JP2019088264A (ja) ルアー
Deshmukh Responsible marine fisheries: Reflections from Maharashtra
CN108633805B (zh) 一种防堵塞型人工鱼礁
WO2011135736A1 (ja) 釣用ルアー
WO2011109723A1 (en) Fishing lure
US1589522A (en) Fishing tackle
CN204272994U (zh) 一种稳定钓鱼结构
KR200487280Y1 (ko) 학꽁치용 오똑이 낚시찌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WO2014192124A1 (ja) ルアー
KR20200006419A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JPWO2011135736A1 (ja) 釣用ルアー
JP5709361B2 (ja) 釣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