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46Y1 -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 Google Patents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46Y1
KR200470146Y1 KR2020110002656U KR20110002656U KR200470146Y1 KR 200470146 Y1 KR200470146 Y1 KR 200470146Y1 KR 2020110002656 U KR2020110002656 U KR 2020110002656U KR 20110002656 U KR20110002656 U KR 20110002656U KR 200470146 Y1 KR200470146 Y1 KR 200470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upport
gripper
air
spinn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483U (ko
Inventor
고재갑
Original Assignee
고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갑 filed Critical 고재갑
Publication of KR20120005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18Supports for supply packag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66Cap arrangements
    • D01H7/72Bobbin-supporting arrangements, e.g. bobbi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켜 효율적으로 보빈을 가압 지지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보빈이 지지 되는 보빈지지체와,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보빈지지체에 지지 된 보빈을 가압하며 하측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BOBBIN TRANSFERING GRIPPER FOR SPINNING MACHINE}
본 고안은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방기에 사용되는 보빈에 실을 감기 위해 실이 감기지 않은 보빈을 정방기에 안착시키거나 실이 감긴 보빈을 정방기로부터 인출시킬 때 사용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방기는 실을 만드는 방적공정의 마지막 공정에 사용하며, 목적하는 굵기로 섬유속(纖維束)을 늘려서 꼬임을 주어 실을 만든 다음, 적당한 크기로 실을 감는데 쓰이는 기계이다.
오늘날의 방적기계는 공정의 단축, 연속조작, 대용량 권취(大容量捲取), 고속화 등이 전자장치, 유압장치, 공기압 이용 등에 의해 실현되어, 자동화 ·자동제어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제품의 검사방법 개선, 품질관리 등도 적절히 이루어져서 품질의 개량도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방적기계는 방적의 각 공정에 따라 각각 그 기계가 다르고,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전술한 정방기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693호(2001.01.18) "정방기의 그립퍼용 에어피스톤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에어공급라인이 형성되며 소정의 상하이동수단 구동시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본체에 대해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몸체와, 몸체 전면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좌우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돌출부에 대해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 구동으로 상기 본체하강시 보빈상단부를 수용하는 콘형상의 가이드와, 상기 돌출부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공기공급시 상기 가이드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빈을 압착지지하는 에어피스톤과, 상기 에어피스톤과 상기 튜브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공기공급시 상기 에어피스톤을 상기 가이드측으로 가압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정방기의 그립퍼용 에어피스톤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과 동일재질로 형성되는 에어피스톤에 상기 다이어프램의 돌출편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어프램 및 에어피스톤이 일체형으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기압 공급으로 인해 정방기용 보빈상단부를 압착 지지하는 그립퍼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정방기용 그립퍼를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만, 공기주입구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유입되는 공기가 튜브의 공기이동공을 통과한 후 90°방향으로 꺽인 뒤 공기토출공을 거쳐 다이어프램에 전달되므로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에어피스톤의 지지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가 몸체의 돌출부에 너무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빈이 가이드를 타격시 고정력에 의해서 가이드의 이탈이 방지되고,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은 가이드의 이탈에 의한 감소 없이 그대로 전달되므로 가이드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켜 효율적으로 보빈을 가압 지지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보빈이 지지 되는 보빈지지체와,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보빈지지체에 지지 된 보빈을 가압하며 하측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공기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켜 효율적으로 보빈을 가압 지지할 수 있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몸체에 고정되는 보빈지지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보빈이 보빈지지체를 타격할 경우 보빈지지체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보빈지지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몸체에 형성된 체결홀의 외주면에 체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턱홈을 형성하여 체결부재의 체결이 용이하고 작업 중에 체결부재에 작업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채용된 몸체의 저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채용된 보빈지지체의 측면도,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채용된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채용된 보빈지지체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1)는 몸체(10), 보빈지지체(20), 가압부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상측에는 대칭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보빈지지체(20)가 바람직하게는 끼워 맞춤 결합 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턱(11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의 상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고정될 때 사용되는 체결홀(12)이 형성되고, 이 체결홀(12)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턱홈(13)이 형성된다.
보빈지지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요홈(21)에 의해서 몸체(10)의 걸림턱(11a)에 끼워 맞춤 결합 되며,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지지홀(22)에는 실이 감겨 지는 보빈(200)이 지지 된다. 상기 보빈지지체(20)의 하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통해서 상승 또는 하강 되는 후술할 가압편(33)의 승강 통로가 되는 가압편이동홀(23)이 형성된다.
상기 보빈지지체(20)의 하측 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지지돌기(24)가 형성되며, 이 지지체 지지돌기(24)는 보빈지지체(20)가 몸체(10)에 고정될 때 몸체(10)에 형성된 지지돌기(10a)에 끼워 맞춤 결합 되어 보빈지지체(20)의 결합을 가이드 하며, 보빈(200)의 어긋남 등으로 인해 보빈(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빈지지체(20)가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체 지지돌기(24)는 바람직하게는 2개가 이격 형성되며, 이격 된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몸체(10)의 지지돌기(10a) 2개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되어, 지지돌기(10a)와 지지체 지지돌기(24)의 결합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보빈(200)의 어긋남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빈지지체(20)가 이탈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빈지지체(20)의 하측에는 몸체(10)의 걸림턱(11a)에 대응되는 걸림홈(25)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25)은 바람직하게는 120°간격으로 3개가 형성된다.
한편, 보빈지지체(20)의 하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6)가 형성되며, 경사부(26)의 경사 각도(α)는 보빈(200)의 어긋남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빈지지체(20)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바람직하게는 5~15°의 각도를 갖는다.
가압부재(3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보빈지지체(20)에 지지 된 보빈(200)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측에 설치되며 공기의 수용 및 이동 통로가 되는 튜브(31)와, 상기 튜브(31)의 상측에 위치되는 다이어프램(32)과, 상기 다이어프램(3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2)에 의해 상승 되어 상기 보빈지지체(20)에 지지 된 보빈(200)을 가압하는 가압편(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31)의 하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통로가 되는 공기유입공(31a)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공기유입공(31a)과 연통 되는 공기토출공(31b)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공(31a)은 종래와 달리 다이어프램(32)의 상승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공기토출공(31b)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데, 이는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꺽이지 않고 바로 다이어프램(3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가압편(33)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다이어프램(32)의 상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33)을 지지하는 돌출돌기(32a)가 형성된다.
가압편(33)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어프램(32)과 동일 재질 즉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33a)가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33a)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가압편(33)이 상승 된 후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경우 수축된 탄성부재(33a)의 팽창력에 의해서 가압편(33)이 상승 되기 전의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의 사용 상태도이다.
가압부재(30)의 튜브(31)에 형성된 공기유입공(31a)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공(31a)과 공기토출공(31b)이 일직선상에 형성되므로 공기 유로의 꺽임 없이 바로 공기토출공(31b)을 통해서 토출 되고, 토출 되는 공기압에 의해서 다이어프램(32)은 가압편(33)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가압편(33)은 상승 되어 보빈지지체(20)의 지지홀(22)에 수용된 보빈(200)을 압착지지한다. 이때, 가압편(33)에 설치된 탄성부재(33a)는 몸체(10)의 돌출부(11) 내부에 상측이 지지 되므로 수축 상태에 있다. 공기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수축된 탄성부재(33a)가 팽창되고, 이 탄성부재(33a)의 팽창력에 의해서 가압편(33)은 상승 되기 전의 처음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보빈(200)의 어긋남 등의 경우와 같은 사고가 발생 되는 경우 전술한 보빈지지체(20)의 지지체 지지돌기(24), 걸림홈(25), 경사부(26)의 특성에 의해서 보빈지지체(20)가 몸체(10)로부터 이탈되므로 보빈지지체(20)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10 : 몸체
11 : 돌출부 11a : 걸림턱
12 : 체결홀 13 : 단턱홈
20 : 보빈지지체 21 : 요홈
22 : 지지홀 23 : 가압편이동홀
30 : 가압부재 31 :튜브
31a : 공기유입홀 31b : 공기토출공
32 : 다이어프램 32a : 돌출돌기
33 : 가압편 33a : 탄성부재
100 : 본체 200 : 보빈

Claims (4)

  1.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보빈(200)이 지지 되는 보빈지지체(20); 및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보빈지지체(20)에 지지 된 보빈(200)을 가압하며, 하측에 공기유입공(31a)이 형성된 가압부재(30)를 포함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에 있어서,
    상기 보빈지지체(20)의 내부에는 요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1) 외주면에는 상기 요홈(21)과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걸림턱(11a)이 형성되며,
    상기 보빈지지체(20)의 하측 단부에는 한 쌍의 이격된 지지체 지지돌기(24)가 형성되고, 몸체(10)의 돌출부(11) 전방에는 상기 보빈지지체(20)가 몸체(10)에 고정될 때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보빈지지체(20)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10)의 걸림턱(11a)에 대응되는 걸림홈(25)이 형성되면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측에 위치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승 되어 상기 보빈지지체에 지지 된 보빈을 가압하는 가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된 경우 상기 가압편의 가압 지지작용을 해제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외주면에는 체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KR2020110002656U 2011-01-20 2011-03-30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KR2004701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0585 2011-01-20
KR2020110000585 2011-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83U KR20120005483U (ko) 2012-07-30
KR200470146Y1 true KR200470146Y1 (ko) 2013-12-02

Family

ID=4687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656U KR200470146Y1 (ko) 2011-01-20 2011-03-30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69B1 (ko) * 2015-05-04 2016-06-07 최병호 정방기의 보빈이송용 그립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369A (zh) * 2013-05-09 2013-08-28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环锭细纱机集体落纱防裂抓管器
KR101693468B1 (ko) * 2015-12-01 2017-01-06 최규승 정방기의 보빈이송용 그립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42Y1 (ko) * 1974-01-01 1979-09-25 곤다 게이지 보빈 파지 장치
KR19980056594U (ko) * 1997-01-17 1998-10-15 고재갑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KR20000011793U (ko) * 1998-12-08 2000-07-05 고재갑 정방기용 그립퍼 텐션장치
KR20000011792U (ko) * 1998-12-08 2000-07-05 고재갑 정방기의 그립퍼용 에어피스톤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42Y1 (ko) * 1974-01-01 1979-09-25 곤다 게이지 보빈 파지 장치
KR19980056594U (ko) * 1997-01-17 1998-10-15 고재갑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KR20000011793U (ko) * 1998-12-08 2000-07-05 고재갑 정방기용 그립퍼 텐션장치
KR20000011792U (ko) * 1998-12-08 2000-07-05 고재갑 정방기의 그립퍼용 에어피스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69B1 (ko) * 2015-05-04 2016-06-07 최병호 정방기의 보빈이송용 그립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83U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46Y1 (ko)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CN204550899U (zh) 一种具有抽尘净化功能的整经机
CN103935829A (zh) 络筒机锭子夹头装置
ATE454349T1 (de) Saugdüse für eine arbeitsstelle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CN101233062B (zh) 用于制造交叉卷绕筒管的纺织机的络纱站
CN102887398A (zh) 一种纺织机械的筒管及其拔起装置
ITUB20154986A1 (it) Punto di incannatura con un dispositivo di allineamento per una spola
CN110387615B (zh) 用于线头拼接单元的线头吸提装置及其方法
CN105540332A (zh) 一种家用简易络筒机及其生产方法
CN103030031B (zh) 制造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工位的吸嘴的针排
CN202786564U (zh) 转杯纺纱机接头控制装置
CN205555638U (zh) 一种放卷机卷轴用辅助装拆机构
ITMI951885A1 (it) Macchina tessile per la produzione di bobine incrociate
CN205652882U (zh) 一种全自动抽芯复卷一体机
CN111573399B (zh) 一种钢筋放卷装置
KR200159360Y1 (ko) 정방기용 보빈이송용 그립퍼
CN207738216U (zh) 一种便捷夹紧的络筒机
EP1502974A3 (en) Yarn twisting machine comprising a yarn package supply
JP5276457B2 (ja) スペーサー供給装置、ビードの自動アッセンブル装置及びビードの自動アッセンブル方法
CN210341183U (zh) 一种集体落纱机用两用型抓管器
CN210126982U (zh) 一种纺织络筒机用的管纱固定座
CN107400942A (zh) 一种纺织机械用导纱器
CN102909542A (zh) 一种皮辊皮圈的自动安装机
CN216027564U (zh) 存放块自动分离装置、存放限位组件、模具和冲压设备
CN202945394U (zh) 双加压高精度细纱牵伸摇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