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02Y1 -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02Y1
KR200470102Y1 KR2020130003843U KR20130003843U KR200470102Y1 KR 200470102 Y1 KR200470102 Y1 KR 200470102Y1 KR 2020130003843 U KR2020130003843 U KR 2020130003843U KR 20130003843 U KR20130003843 U KR 20130003843U KR 200470102 Y1 KR200470102 Y1 KR 200470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dge
piece
main body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우
Original Assignee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고려인삼해가림 filed Critical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to KR2020130003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파이프의 외측을 감싸서 양단이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연장부 각각에 연결파이프가 상기 지주파이프에 교차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지주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쇄기삽입부; 상기 쇄기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쇄기 작용에 의해 상기 지주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하는 쇄기편; 및 상기 쇄기편이 삽입되는 상기 쇄기삽입부의 입구측에 확장되는 공간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파이프에만 가해지는 쇄기편의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가 연결파이프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위치 변경이나 변형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골조의 구조적인 신뢰성과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도록 하며, 연결파이프에 대한 스크래치나 손상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고정뿐만 아니라 이들의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광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고정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밭에는 다년간 농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강우, 강설 및 태양광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광막의 설치를 위하여, 지주파이프의 하단을 땅에 매설하고, 지주파이프에 연결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서 차광막이 설치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차광막 설치를 위한 골조 체결 구조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2358호의 "인삼재배용 골조체결구조"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지붕파이프의 고정홈과 기둥파이프의 끼움편에 결합에 의해 한조의 골조부재를 이루고, 이러한 골조부재를 다수개로 구비하여 각도조절공을 갖는 체결클램프와 고정편에 의해 각 골조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체결시켜 결합체를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되는 결합체를 다수개로서 일정 간격두고 측방향지면으로 고정설치하여 구조물로서의 골조가 형성되며, 지지스프링에 의해 차광막의 설치를 위한 부재인 와이어를 각 결합체의 지붕파이프로 배선고정시키고, 차광막 연결고리에 의해 통상의 차광막이 상기 골조의 외둘레로 설치고정되며, 바닥망고정핀에 의해 습기증발을 방지하는 바닥망이 인삼재배지로 설치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삼재배용 골조체결구조는 고정편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가 이격되어 서로 긴결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며,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 중 어느 하나부터라도 진동이 가해지면 고정편의 위치가 변동되어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 간의 고정이 쉽게 느슨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정편을 압입시, 고정편이 기둥파이프와 지붕파이프 모두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거나, 심지어는 이들 모두에 변형을 발생시킴으로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3808호의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은 기둥파이프와 서까래파이프와 체결클램프와 도리파이프와 보조서까래로 구성된 후주연결식 철재 해가림시설에 있어서, 기둥파이프는 하단부에 두둑에서 뽑히지 않도록 스크루 모양으로 4개의 날개가 부착된 스크루형고정핀이 있고, 상부에 서까래파이프와 연결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내부 스프링이 있는 돌출형단추가 있어 이 돌출형단추를 눌러 서까래파이프의 삽입구멍에 삽입시켜 고정하도록 하며, 나사식체결클램프는 서까래파이프와 기둥파이프의 각도를 일정하게 하면서, 타측 골조부재와 결합하도록 나사식체결클램프 안으로 기둥파이프의 상부를 넣은 상태에서, 서까래파이프 끝부분을 양측에 위치를 달리하여 천공된 구멍인 각도조절공으로 삽설함과 동시에 클램프나사를 조여 고정되게 하고, 보조서까래는 한쪽이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어 한쪽을 상부의 도리파이프에 걸고, 다른 한쪽은 하부의 도리파이프에 연결고리로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홈이 파인 형태로 그 내부에 차광막을 삽입시키고, 그 위로 지그재그형 강철스프링을 삽입하여 차광막을 고정하도록 하며, 차광막은 보조서까래로 고정하되, 끝단 부분은 도리파이프와 서까래파이프에 원통형 고정클립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은 클램프나사만으로 기둥파이프와 서까래파이프를 제대로 고정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고정시키고자 하는 기둥파이프와 서까래파이프의 개수가 많을 경우, 클램프나사의 조임에 많은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차광막의 설치를 위한 파이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파이프의 위치 변경이나 변형을 초래하고, 차광막이 제대로 설치되지 못하여 인삼 등의 농산물 수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양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주파이프에만 가해지는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가 연결파이프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위치 변경이나 변형을 억제하여, 골조의 구조적인 신뢰성과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파이프에 대한 스크래치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고정뿐만 아니라 이들의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주파이프의 외측을 감싸서 양단이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연장부 각각에 연결파이프가 상기 지주파이프에 교차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지주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쇄기삽입부; 상기 쇄기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쇄기 작용에 의해 상기 지주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하는 쇄기편; 및 상기 쇄기편이 삽입되는 상기 쇄기삽입부의 입구측에 확장되는 공간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와이어를 묶거나 걸 수 있도록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접촉되는 물체의 긁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 각각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가 하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의 입구측에 상기 연결파이프에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 각각에 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지주파이프의 직교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 각각에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쇄기편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지주파이프 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곡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쇄기편은 상기 지주파이프의 외측면에 걸리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가 상하 다수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쇄기편은 상단에 타격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머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쇄기편은 상기 쇄기삽입부로부터 뽑혀지기 위한 지그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의 형태를 가지는 지그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지주파이프에만 가해지는 쇄기편의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가 연결파이프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위치 변경이나 변형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골조의 구조적인 신뢰성과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도록 하며, 연결파이프에 대한 스크래치나 손상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지주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고정뿐만 아니라 이들의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광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쇄기편 분리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서 쇄기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100)는 본체(110), 장착부(120), 쇄기삽입부(130) 및 쇄기편(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하로 세워진, 예컨대 지면에 삽입됨으로써 수직되게 세워진 지주파이프(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평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주파이프(10)의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11)를 가지며,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를 연결시키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연장부(111)의 외측면에 인삼 등의 농작물용 차광막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묶거나 걸 수 있도록 걸림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12)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자 펀칭과 절곡 등에 의해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장착부(120)는 연장부(111) 각각에 연결파이프(20)가 지주파이프(10)에 교차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연장부(111) 각각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연결파이프(20)가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고, 홈 중 어느 하나의 입구측에 연결파이프(20)에 걸리도록 걸림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2)는 연결파이프(20)에 걸림으로써 연결파이프(20)의 상방향 이탈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데, 장착부(120) 모두에 각각 형성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파이프(20)가 장착부(120)로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쇄기편(140)의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10)가 연결파이프(20)측으로 밀려서 장착부(120) 내에 밀착되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착부(120)는 연결파이프(20)가 지주파이프(10)의 직교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되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볼 때 마주 보는 연장부(111) 각각에 서로 상하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파이프(20)가 장착부(120)에 삽입되어 안착시, 지주파이프(10)의 직교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될 수 있다.
쇄기삽입부(130)는 본체(110)의 내측면과 지주파이프(1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쇄기삽입부(130)는 지주파이프(10)를 사이에 두고 연결파이프(2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쇄기삽입부(130)는 쇄기편(140)이 삽입되는 입구측, 예컨대 상부에 확장되는 공간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가이드부(131)의 가이드에 의해 쇄기편(140)이 쇄기삽입부(13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쇄기편(140)은 상측에서 하방으로 쇄기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지주파이프(10)를 가압함으로써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10)가 연결파이프(20)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쇄기편(140)은 지주파이프(10)를 가압시키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쇄기편(14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양측에 지주파이프(10)와 본체(110)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곡률면(141,14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쇄기편(140)은 본 실시예와 달리, 일측에 지주파이프(10) 또는 본체(110)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곡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쇄기편(140)은 곡률면(141,142)에 의해 쇄기삽입부(130) 내에서 위치 가변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쇄기편(140)은 지주파이프(10)의 외측면에 걸리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143)가 상하 다수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쇄기편(140)은 지주파이프(10)를 가압하도록 압입 후, 미끄럼방지돌기(143)가 지주파이프(10)의 외측면에 걸림으로써 지주파이프(10)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쇄기편(140)은 상단에 해머나 망치 등의 도구에 의해 타격되는 타격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머리부(145)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부(145)에 의해 쇄기편(140)을 용이하게 타격하여 쇄기삽입부(13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기편(140)은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를 해체시, 쇄기삽입부(130)로부터 뽑혀지기 위한 지그(30)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의 형태를 가지는 지그삽입부(144)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30)는 지그삽입부(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쇄기편(140)을 쇄기삽입부(130)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는데, 일례로 못이 사용되거나, 이에 한하지 않고, 송곳, 드라이버를 비롯하여 다양한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쇄기편(140)은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단면(a)(d), 원형 내지 타원형의 단면(b), 반원의 단면(c)을 비롯하여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나 폭이 감소되는 형태(a)(b)(c)를 가지거나, 일정한 직경이나 폭을 가지는 형태(d)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200)는 본체(210), 장착부(220), 쇄기삽입부(230) 및 쇄기편(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에 대해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체(210)는 연장부(211) 및 걸림부(212)를 가질 수 있고, 쇄기삽입부(230)는 삽입가이드부(231)를 가질 수 있으며, 쇄기편(240)은 곡률면(241,242), 미끄럼방지돌기(243), 지그삽입부(244) 및 머리부(245)를 가질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장착부(220)는 연장부(211) 각각에 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연결파이프(20)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장착부(220)는 연결파이프(20)가 지주파이프(10)의 직교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되기 위하여 연장부(211) 각각에 서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300)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본체(310), 장착부(320), 쇄기삽입부(미도시) 및 쇄기편(340)을 포함하되, 본체(310)는 연장부(311)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접촉되는 물체, 예컨대 차광막의 긁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곡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작용을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100)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10)가 상하로 세워진 지주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를 장착부(120)에 삽입시킨 후, 쇄기편(140)을 쇄기삽입부(130)에 삽입시킨 다음, 사용자의 힘에 의한 누름 또는 해머 등의 타격에 의해 쇄기편(140)이 쇄기삽입부(130)에 압입되도록 하고, 이러한 쇄기편(140)의 쇄기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10)가 가압에 의해 연결파이프(2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는 교차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이탈이 억제됨으로써 안정적인 골조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장착부(120)는 연결파이츠(20)가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여, 인삼밭 등에서와 같이 차광막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림부(112)에 의해 차광막 등의 와이어를 묶거나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쇄기편(140)의 간편한 장착에 의해 골조 구조의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파이프(10)에만 가해지는 쇄기편(140)의 쇄기 작용에 의해, 지주파이프(10)가 연결파이프(20)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의 위치 변경이나 변형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골조의 구조적인 신뢰성과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쇄기편(140)이 연결파이프(20)와는 접촉되지 아니함으로써 연결파이프(20)에 대한 스크래치나 손상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의 고정뿐만 아니라, 지그삽입부(144)에 대한 지그(30)의 이용으로 인해 지주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의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본체(310)에 절곡부(312)가 형성됨으로써 접촉되는 물체, 예컨대 차광막의 긁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광막의 손상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지주파이프 20 : 연결파이프
30 : 지그 110,210,310 : 본체
111,211,311 : 연장부 112,212 : 걸림부
120,220,320 : 장착부 121 : 걸림돌기
130,230 : 쇄기삽입부 131,231 : 삽입가이드부
140,240,340 : 쇄기편 141,142,241,242 : 곡률면
143,243 : 미끄럼방지돌기 144,244 : 지그삽입부
145,245 : 머리부 312 : 절곡부

Claims (10)

  1. 지주파이프의 외측을 감싸서 양단이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연장부 각각에 연결파이프가 상기 지주파이프에 교차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지주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쇄기삽입부;
    상기 쇄기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쇄기 작용에 의해 상기 지주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하는 쇄기편; 및
    상기 쇄기편이 삽입되는 상기 쇄기삽입부의 입구측에 확장되는 공간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접촉되는 물체의 긁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쇄기편은 상기 쇄기삽입부로부터 뽑혀지기 위한 지그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의 형태를 가지는 지그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와이어를 묶거나 걸 수 있도록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 각각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가 하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의 입구측에 상기 연결파이프에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 각각에 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지주파이프의 직교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 각각에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편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지주파이프 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곡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연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편은,
    상기 지주파이프의 외측면에 걸리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가 상하 다수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편은,
    상단에 타격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머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10. 삭제
KR2020130003843U 2013-05-15 2013-05-15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70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43U KR200470102Y1 (ko) 2013-05-15 2013-05-15 파이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43U KR200470102Y1 (ko) 2013-05-15 2013-05-15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02Y1 true KR200470102Y1 (ko) 2013-11-27

Family

ID=5074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43U KR200470102Y1 (ko) 2013-05-15 2013-05-15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58Y1 (ko) * 2018-02-20 2018-09-18 조규현 동바리용 쐐기 타입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48Y1 (ko) * 2007-08-08 2008-11-28 장병호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45056Y1 (ko) * 2008-09-16 2009-06-26 권용일 파이프 이격기능이 구비된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200456344Y1 (ko) 2010-10-01 2011-10-26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직교 클램프
KR200463453Y1 (ko) 2010-07-20 2012-11-05 정미우 농작물용 차광막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48Y1 (ko) * 2007-08-08 2008-11-28 장병호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45056Y1 (ko) * 2008-09-16 2009-06-26 권용일 파이프 이격기능이 구비된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200463453Y1 (ko) 2010-07-20 2012-11-05 정미우 농작물용 차광막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KR200456344Y1 (ko) 2010-10-01 2011-10-26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직교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58Y1 (ko) * 2018-02-20 2018-09-18 조규현 동바리용 쐐기 타입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7675U (ja) 樹木支持装置用連結具
US20150263666A1 (en) Flat roof solar sensor structures and clamp
KR200476868Y1 (ko)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KR101357240B1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157928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70102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1416008B1 (ko) 이상기후대비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KR101010355B1 (ko) 비닐하우스용 프레임 결합장치
KR200463453Y1 (ko) 농작물용 차광막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JP6013144B2 (ja) 平棚用雨除けハウス及びその設置方法
JP6430808B2 (ja) フェンス
KR101991565B1 (ko)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76867Y1 (ko)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90839Y1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200490837Y1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200457096Y1 (ko) 보강부가 형성되는 물받이 고정구
KR102634167B1 (ko)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KR101184721B1 (ko) 현수막용 파이프 연결구
KR101943767B1 (ko) 텐션 및 코일 이용한 이중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20190109060A (ko) 원터치로 고정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
KR101390105B1 (ko) 과수작물용 철선고정구
KR20190019276A (ko) 지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