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565B1 -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 Google Patents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565B1
KR101991565B1 KR1020170086027A KR20170086027A KR101991565B1 KR 101991565 B1 KR101991565 B1 KR 101991565B1 KR 1020170086027 A KR1020170086027 A KR 1020170086027A KR 20170086027 A KR20170086027 A KR 20170086027A KR 101991565 B1 KR101991565 B1 KR 10199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ension
light shielding
shielding film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417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고려인삼해가림 filed Critical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to KR102017008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5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텐션고정부; 상기 텐션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텐션고정부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에 의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Fixed sun shade fixture using tension}
본 발명은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텐션에 의한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고, 반복적인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밭에는 다년간 농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강우, 강설 및 태양광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광막의 설치를 위하여, 기둥파이프의 하단을 땅에 매설하고, 기둥파이프에 지붕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서 차광막이 설치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차광막 설치를 위한 기술은 차광막을 고정시키는데 많은 불편을 초래하여, 차광막의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 차광막을 거두어야 하는 경우, 차광막의 해체 작업에도 불편을 초래하여 많은 시간과 인원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67호의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끼워지도록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강선의 와인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코일부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되는 양단을 벤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차광막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파이프의 끝단 외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지만, 코일부가 파이프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용함에 따라 코일부가 파이프로부터 느슨해지거나, 원래부터 코일부와 파이프 사이에 유격을 가지는 경우, 고정구가 파이프에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텐션에 의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고, 사용할수록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텐션고정부; 상기 텐션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텐션고정부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가 제공된다.
상기 텐션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곡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각각은, 서로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고정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리부에 상기 차양막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텐션고정부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가압증가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증가절곡부에 의해 상기 텐션고정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에 의하면, 텐션에 의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할수록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례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10)는 파이프(20,30)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50)을 고정시키는 기구로서, 텐션고정부(11), 절곡부(12), 연장부(13) 및 고리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스틸 와이어(Steel wire)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텐션고정부(11)는 파이프(20,30)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이러한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처럼 연결와이어(40)에 의해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도록 지붕파이프(20)의 끝단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텐션고정부(11)는 본 실시례에서 지붕파이프(20)에 설치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둥파이프(3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붕파이프(20)는 기둥파이프(30)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로서,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차광막(5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수평에 가까운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평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둥파이프(30)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고, 지붕파이프(2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례에서처럼 지붕파이프(20)와 일체를 이루되, 절곡 부분을 기준으로 지붕파이프(20)로부터 나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는 농작물, 예컨대 인삼이 재배된 밭에서 나란하도록 배열됨과 아울러 일렬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연결와이어(40)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와이어(40)는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의 교차 부분에 설치되되,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절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연결와이어(40)를 대신하여,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진 브라켓 등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절곡부(12)는 텐션고정부(11)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텐션고정부(11)와 연장부(13) 사이에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는 절곡부(12)에 의해 텐션고정부(11)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파이프(20,30)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도록 한다. 연장부(13)는 재질적인 특성에 의해 텐션을 가짐으로써 후술하게 될 고리부(14)가 차광막(50)을 텐션에 의해 당겨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13) 각각은 서로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리부(14)에 차광막(50)이 걸리는 경우, 무리한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차광막(50)에 텐션이 안정적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렬은 직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을 포함하여,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가 미비할 정도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14)는 연장부(13)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파이프(20,30)에 설치되는 차광막(50)에 걸림으로써 차광막(5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차광막(50)은 인삼 등의 농작물을 태양광, 강우 또는 강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사(絲)로 직조되고, 일례로 4중으로 직조된 4중직 차광막이 사용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틈새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이용하여 고리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부(14)는 텐션고정부(11)가 지붕파이프(20) 내에 고정되는 경우, 기둥파이프(3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차광막(50)을 당기도록 설치됨으로써 차광막(5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텐션고정부(11)는 파이프(20)의 내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곡률을 이룰 수 있다. 즉, 텐션고정부(11)는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밀착부분"과 "이격부분"이 구분되도록 일부만이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이프(20)에 대하여 텐션고정부(11)의 삽입 및 분리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텐션고정부(11)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파이프(20)의 내측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부분에 의해서 텐션고정부(11)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텐션이 파이프(20)의 내측면에 제대로 가해짐으로써, 파이프(20)에 대한 고정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텐션고정부(11)와 절곡부(12) 사이에는 가압증가절곡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증가절곡부(15)는 절곡부(12)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고리부(14)에 차양막(50)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대한 텐션고정부(11)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한다. 즉, 고리부(14)에 차양막(50)이 걸림으로써 연장부(13)에 대하여 "A"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시,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대한 텐션고정부(11)의 가압력이 "B" 방향으로 증가함으로써, 텐션고정부(11)의 벌려짐, 즉 확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텐션고정부(11)에 의한 파이프(20)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곡부(12)는 가압증가절곡부(15)에 의해 텐션고정부(11)와 연장부(13)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20)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리부(14) 및 연장부(13)를 통해서 가해지는 차광막(50)에 의한 하중이 가압증가절곡부(15) 및 텐션고정부(11)로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버퍼 구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파이프(20) 상에 차광막(50)을 설치하여 고정시, 지붕파이프(20)의 끝단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텐션고정부(11)로부터 절곡부(12)에 의해 양측으로 분기되는 연장부(13) 각각의 끝단에 마련되는 고리부(14)가 차광막(50) 일측의 틈새에 걸리도록 하여, 차광막(5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차광막(50)의 다른 일측은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고정구나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부(14)는 텐션고정부(11)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는 연장부(13) 끝단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기둥파이프(30)의 양측으로 각각 위치하여, 차광막(50)에 형성된 틈새에 각각 걸림으로써 기둥파이프(3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차광막(50)을 당겨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에 의해 파이프(20,30)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차광막(50)에 의한 하중이 고리부(14)에 "A" 방향(도 3에 도시)으로 가해짐으로써 이를 연장부(13)를 통해서 전달받은 가압증가절곡부(15)가 "B" 방향(도 3에 도시)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텐션고정부(11) 역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이로 인해 사용할수록 파이프(20,30)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차광막(50)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광막은 매년 봄에 설치하고 가을에는 폭설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걷어 올리는데, 차광막(50)을 철거한 후 차광막(50)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20,30)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11 : 텐션고정부 12 : 절곡부
13 : 연장부 14 : 고리부
15 : 가압증가절곡부 20 : 지붕파이프
30 : 기둥파이프 40 : 연결와이어
50 : 차광막

Claims (5)

  1. 파이프(20,30)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5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30)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텐션고정부(11);
    상기 텐션고정부(11)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12);
    상기 절곡부(12)에 의해 상기 텐션고정부(11)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20,30)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13); 및
    상기 연장부(13)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20,30)에 설치되는 차광막(50)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50)을 고정시키는 고리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고정부(11)와 상기 절곡부(12) 사이에 상기 절곡부(12)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리부(14)에 상기 차광막(50)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상기 파이프(20,30)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텐션고정부(11)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가압증가절곡부(15)를 더 포함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고정부(11)는,
    상기 파이프(20,30)의 내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20,30)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곡률을 이루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3) 각각은,
    서로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2)는,
    상기 가압증가절곡부(15)에 의해 상기 텐션고정부(11)와 상기 연장부(13)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20,30)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1020170086027A 2017-07-06 2017-07-06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10199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27A KR101991565B1 (ko) 2017-07-06 2017-07-06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27A KR101991565B1 (ko) 2017-07-06 2017-07-06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17A KR20190005417A (ko) 2019-01-16
KR101991565B1 true KR101991565B1 (ko) 2019-09-30

Family

ID=6528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27A KR101991565B1 (ko) 2017-07-06 2017-07-06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31Y1 (ko) * 2019-05-09 2019-06-14 (주) 고려인삼해가림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67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76868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875U (ko) * 2010-09-03 2012-03-13 홍기량 인삼밭의 차광막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67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76868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17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565B1 (ko)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76868Y1 (ko)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AU1017002A (en) Mounts
KR200490839Y1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200490837Y1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200489431Y1 (ko)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KR101943767B1 (ko) 텐션 및 코일 이용한 이중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CN102506393A (zh) 背光模组及其连接装置
KR200490838Y1 (ko) 파이프 고정형 차광막 고정장치
JP6251014B2 (ja) 採光装置改修方法、および、改修採光装置
KR20180122788A (ko) 철망 울타리 고정용 고정클립
KR200444779Y1 (ko) 안내 표지판 고정 클램프
KR200476867Y1 (ko)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US20180180217A1 (en) Fast mounting and positioning fastener
KR102007080B1 (ko) 막 고정장치
CN210987318U (zh) 一种用于固定大棚覆膜的扣合件
JP2011102471A (ja) ネットフェンス
JP6375071B1 (ja) 建設物の仮設竪樋の固定治具および固定治具の固定方法
CN104386195B (zh) 摩托车的碟刹线夹的安装结构
JP2007325326A (ja) ハーネスクリップ
KR100923669B1 (ko) 배수로 덮개용 완충부재 결합구조
KR101605489B1 (ko) 차양막 브라켓
JP6408267B2 (ja) 天井養生構造およびシート状部材の一時撤去復旧方法
KR200462415Y1 (ko) 설치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한 광고판용 플렉스 고정구
KR101705099B1 (ko)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4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4

Effective date: 2019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