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31Y1 -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31Y1
KR200489431Y1 KR2020190001907U KR20190001907U KR200489431Y1 KR 200489431 Y1 KR200489431 Y1 KR 200489431Y1 KR 2020190001907 U KR2020190001907 U KR 2020190001907U KR 20190001907 U KR20190001907 U KR 20190001907U KR 200489431 Y1 KR200489431 Y1 KR 200489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ielding film
light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고려인삼해가림 filed Critical (주) 고려인삼해가림
Priority to KR2020190001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형성된 꺾임부가 파이프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파이프 내측에의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해 텐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할수록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켜서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Pipe insert type sun shade fixture}
본 고안은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형성된 꺾임부에 의해 파이프 내측에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텐션에 의해서도 파이프에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밭에는 다년간 농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강우, 강설 및 태양광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광막의 설치를 위하여, 기둥파이프의 하단을 땅에 매설하고, 기둥파이프에 지붕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서 차광막이 설치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차광막 설치를 위한 기술은 차광막을 고정시키는데 많은 불편을 초래하여, 차광막의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 차광막을 거두어야 하는 경우, 차광막의 해체 작업에도 불편을 초래하여 많은 시간과 인원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67호의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끼워지도록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강선의 와인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코일부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되는 양단을 벤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차광막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파이프의 끝단 외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지만, 코일부가 파이프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용함에 따라 코일부가 파이프로부터 느슨해지거나, 원래부터 코일부와 파이프 사이에 유격을 가지는 경우, 고정구가 파이프에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형성된 꺾임부에 의해 파이프 내측에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할수록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파이프의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후, 일단의 꺾임에 의해 상기 꺾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리부에 상기 차광막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삽입부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가압증가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증가절곡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양측부가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으로부터 유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꺾임부가 상기 파이프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양분됨으로써 2개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에 의하면, 파이프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형성된 꺾임부가 파이프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파이프 내측에의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차광막을 철거한 후 차광막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해 텐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할수록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켜서 차광막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례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는 파이프(20,30)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50)을 고정시키는 기구로서, 삽입부(11), 절곡부(12), 연장부(13) 및 고리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스틸 와이어(Steel wire)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는 파이프(20,30)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파이프(20,3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꺾인 꺾임부(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꺾임부(11a)에 의해 파이프(20,30)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파이프(20,3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꺾임부(11a)는 꺾임에 의해 재질의 특성상 텐션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20,30) 내측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1)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연결와이어(40)에 의해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도록 지붕파이프(20)의 끝단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1)는 본 실시례에서 지붕파이프(20)에 설치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둥파이프(3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삽입부(11)는 양측부가 파이프(20,30) 끝단의 내측면에 반드시 밀착될 필요가 없으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파이프(20,30)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후, 일단의 꺾임에 의해 꺾임부(11a)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파이프(20,30)의 끝단 내측에 밀착되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텐션을 가지도록 하여, 파이프(20,3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지붕파이프(20)는 기둥파이프(30)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로서,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차광막(5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수평에 가까운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평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둥파이프(30)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고, 지붕파이프(2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례에서처럼 지붕파이프(20)와 일체를 이루되, 절곡 부분을 기준으로 지붕파이프(20)로부터 나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는 농작물, 예컨대 인삼이 재배된 밭에서 나란하도록 배열됨과 아울러 일렬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연결와이어(40)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와이어(40)는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의 교차 부분에 설치되되,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절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연결와이어(40)를 대신하여, 지붕파이프(20)와 기둥파이프(3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진 브라켓 등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절곡부(12)는 삽입부(11)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삽입부(11)와 연장부(13) 사이에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는 절곡부(12)에 의해 삽입부(11)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파이프(20,30)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도록 한다. 연장부(13)는 재질적인 특성에 의해 텐션을 가짐으로써 후술하게 될 고리부(14)가 차광막(50)을 텐션에 의해 당겨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13) 각각은 서로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리부(14)에 차광막(50)이 걸리는 경우, 무리한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차광막(50)에 텐션이 안정적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렬은 직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을 포함하여,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가 미비할 정도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14)는 연장부(13)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파이프(20,30)에 설치되는 차광막(50)에 걸림으로써 차광막(5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차광막(50)은 인삼 등의 농작물을 태양광, 강우 또는 강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사(絲)로 직조되고, 일례로 4중으로 직조된 4중직 차광막이 사용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틈새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이용하여 고리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부(14)는 삽입부(11)가 지붕파이프(20) 내에 고정되는 경우, 기둥파이프(3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차광막(50)을 당기도록 설치됨으로써 차광막(5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삽입부(11)와 절곡부(12) 사이에는 가압증가절곡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증가절곡부(15)는 절곡부(12)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고리부(14)에 차광막(50)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대한 삽입부(11)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한다. 즉, 고리부(14)에 차광막(50)이 걸림으로써 연장부(13)에 대하여 "A"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시, 파이프(20)의 내측면에 대한 삽입부(11)의 가압력이 "B" 방향으로 증가함으로써, 삽입부(11)의 벌려짐, 즉 확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삽입부(11)에 의한 파이프(20)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곡부(12)는 가압증가절곡부(15)에 의해 삽입부(11)와 연장부(13)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20)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리부(14) 및 연장부(13)를 통해서 가해지는 차광막(50)에 의한 하중이 가압증가절곡부(15) 및 삽입부(11)로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버퍼 구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60)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에서와 같이, 삽입부(61), 절곡부(62), 연장부(63) 및 고리부(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가압증가절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스틸 와이어(Steel wire)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61), 절곡부(62), 연장부(63), 고리부(64) 및 가압증가절곡부(미도시)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에서 동일한 명칭으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삽입부(61)는 양측부가 파이프(20)의 내측면으로부터 유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꺾임부(61a)만이 파이프, 예컨대 지지파이프(20)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고정력을 유지하면서도 탈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70)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에서와 같이, 삽입부(71), 절곡부(72), 연장부(73) 및 고리부(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가압증가절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스틸 와이어(Steel wire)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71), 절곡부(72), 연장부(73), 고리부(74) 및 가압증가절곡부(미도시)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에서 동일한 명칭으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삽입부(71)는 꺾임부(71a)가 파이프, 예컨대 지붕파이프(20)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은 지붕파이프(20)의 끝단으로부터 0.5~3cm 이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꺾임부(71a)가 파이프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70)를 조금만 파이프로부터 빼더라도 꺾임부(71a)가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의 해제를 손쉽게 하여, 용이한 해체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고정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80)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에서와 같이, 삽입부(81), 절곡부(82), 연장부(83) 및 고리부(84)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가압증가절곡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스틸 와이어(Steel wire)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밖에도 본 고안의 제 2 및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60,70)에서의 동일 명칭 구성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80)에서 삽입부(81), 절곡부(82), 연장부(83), 고리부(84) 및 가압증가절곡부(85)는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3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10,60,70)에서 동일한 명칭으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꺾임부(81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양분됨으로써 2개의 몸체(8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양분된 꺾임부(81a) 각각은 재질적 특성과 휨에 대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텐션을 가지고서 파이프 내측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몸체(86) 각각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서 가압증가절곡부(85) 및 목부 등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몸체(86)의 분할구조로 인해 차광막(50) 고정에 대한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설치 및 해체에 대한 편의성을 보다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되, 본 고안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파이프(20) 상에 차광막(50)을 설치하여 고정시, 지붕파이프(20)의 끝단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1)가 꺾임부(11a)에 의해 지붕파이프(20) 내측에 지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삽입부(11)로부터 절곡부(12)에 의해 양측으로 분기되는 연장부(13) 각각의 끝단에 마련되는 고리부(14)가 차광막(50) 일측의 틈새에 걸리도록 하여, 차광막(5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차광막(50)의 다른 일측은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고정구나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부(14)는 삽입부(11)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는 연장부(13) 끝단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기둥파이프(30)의 양측으로 각각 위치하여, 차광막(50)에 형성된 틈새에 각각 걸림으로써 기둥파이프(3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차광막(50)을 당겨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꺾임부(11a)를 가지는 삽입부(11)에 의해 파이프(20,30) 내측에의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11)에 부가적으로 구현되는 텐션에 의해 파이프(20,30)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차광막(50)에 의한 하중이 고리부(14)에 "A" 방향(도 3에 도시)으로 가해짐으로써 이를 연장부(13)를 통해서 전달받은 가압증가절곡부(15)가 "B" 방향(도 3에 도시)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삽입부(11) 역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이로 인해 사용할수록 파이프(20,30)에 대한 고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차광막(50) 고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20,30)에 대한 설치가 신속하면서도 편리하도록 하고, 차광막(50)을 철거한 후 차광막(50)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거나, 파이프(20,30)로부터 철거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재구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60,70,80 :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11,61,71,81 : 삽입부 11a,61a,71a,81a : 꺾임부
12,62,72,82 : 절곡부 13,63,73,83 : 연장부
14,64,74,84 : 고리부 15,85 : 가압증가절곡부
20 : 지붕파이프 30 : 기둥파이프
40 : 연결와이어 50 : 차광막
86 : 몸체

Claims (3)

  1. 파이프를 포함하는 골조에 설치되는 차광막(5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의 끝단 내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꺾인 꺾임부(11a,61a,71a,81a)가 형성되는 삽입부(11,61,71,81);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12,62,72,82);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로부터 각각 꺾임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연장부(13,63,73,83);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차광막에 걸림으로써 상기 차광막을 고정시키는 고리부(14,64,74,84);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리부에 상기 차광막이 걸림으로써 하중이 인가시,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삽입부의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가압증가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증가절곡부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내의 입구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꺾임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양분됨으로써 2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파이프의 끝단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후, 일단의 꺾임에 의해 상기 꺾임부를 형성하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양측부가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으로부터 유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KR2020190001907U 2019-05-09 2019-05-09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89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07U KR200489431Y1 (ko) 2019-05-09 2019-05-09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07U KR200489431Y1 (ko) 2019-05-09 2019-05-09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881 Division 2018-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31Y1 true KR200489431Y1 (ko) 2019-06-14

Family

ID=6681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907U KR200489431Y1 (ko) 2019-05-09 2019-05-09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808Y1 (ko) * 2001-03-17 2001-10-18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
KR200476868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KR20190005417A (ko) * 2017-07-06 2019-01-16 (주) 고려인삼해가림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808Y1 (ko) * 2001-03-17 2001-10-18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
KR200476868Y1 (ko) * 2013-12-05 2015-04-09 (주) 고려인삼해가림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KR20190005417A (ko) * 2017-07-06 2019-01-16 (주) 고려인삼해가림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96B1 (en) Gutter hood support bracket
KR200476868Y1 (ko)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US9115827B2 (en) Clevis hang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clevis hanger
JP2008508484A (ja) ホース留め具
KR200489431Y1 (ko) 파이프 삽입형 차광막 고정구
KR10157928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장치
KR101991565B1 (ko) 텐션 이용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RU2152492C2 (ru)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 удлиненным водосточным желобом, а также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803762B1 (ko) 분기관
KR200490839Y1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101943767B1 (ko) 텐션 및 코일 이용한 이중 장착형 차광막 고정구
KR20120066568A (ko) 시스템 비계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1847U (ko) 파이프 걸이형 차광막 고정장치
KR101554674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KR200476867Y1 (ko)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KR200490838Y1 (ko) 파이프 고정형 차광막 고정장치
KR101743041B1 (ko) 천막 고정장치
JP2009079620A (ja) ジョイント
JP4288272B2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JP2002106175A (ja) 養生シート取付金具
JP3006453U (ja) 地下埋設管を被覆するポリエチレンスリーブの締付け止具
KR200494389Y1 (ko) 비닐 고정 패드 일체형 비닐하우스용 골조
JP5929316B2 (ja) 傾斜ケーブルの振動防止装置及びその取り付け・取り外し方法
JP4835200B2 (ja) 雨樋取付構造
JP481883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