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344Y1 - 직교 클램프 - Google Patents

직교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344Y1
KR200456344Y1 KR2020100010169U KR20100010169U KR200456344Y1 KR 200456344 Y1 KR200456344 Y1 KR 200456344Y1 KR 2020100010169 U KR2020100010169 U KR 2020100010169U KR 20100010169 U KR20100010169 U KR 20100010169U KR 200456344 Y1 KR200456344 Y1 KR 200456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body
clamp
orthogon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이
Original Assignee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3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직교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클램프는 강판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측 날개부에 제1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와 양측 날개부를 잇는 연결부 사이에 제1파이프의 외면에 직교되는 제2파이프가 관통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 및 상기 클램프 바디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를 제1파이프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직교 클램프로서, 상기 클램프 바디의 양측 날개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에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포밍 형성된다.

Description

직교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직교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파이프 사이를 고정 결합하도록 된 직교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직교 클램프는 강판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측 날개부(11)에 제1파이프(1)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2)와 양측 날개부(11)를 잇는 연결부(13) 사이에 제1파이프(1)의 외면에 직교되는 제2파이프(2)가 관통되도록 공간부(14)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10); 및 상기 클램프 바디(10)의 연결부(13)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2)를 제1파이프(1)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교 클램프는 클램프 바디가 수직방향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파이프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구조물이 붕괴되는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직교 클램프는 클램프 바디를 4t ~ 4.4t 두께의 SM강판을 이용해 프레싱 가공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클램프 바디의 재료비는 고가로서, 직교 클램프의 제작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직교 클램프는 클램프 바디의 두께가 두꺼워 운반 및 적재시 적재물량이 제한적이며 적재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클램프 바디에 포밍(FORING) 형성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직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구조강도가 향상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직교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 바디의 두께를 기존의 클램프 바디에 비해 얇게 형성하면서도 보다 뛰어난 구조강도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클램프 바디의 재료비 절감 및 제작원가를 낮추게 되는 것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로 인해, 운반 및 적재 물량이 증가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된 직교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판을 이용하여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측 날개부에 제1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와 양측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사이에 제1파이프의 외면에 직교되며 접촉되는 제2파이프가 관통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와; 상기 클램프 바디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를 제1파이프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제1파이프의 반지름 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하여 가압수단에 의해 제2파이프와 제1파이프가 동시에 가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파이프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가 거치부에 슬라이드되며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날개부에는 거치부와 라운드 형태의 홈과 연결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바디의 양측 날개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에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포밍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는 경사부와 거치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경사부와 거치부의 라운드 형태와 대응하는 경사 및 라운드 형태로 양측 날개부의 끝단까지 연결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보강부를 적어도 1개 이상 다수 개로 제작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보강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는 수직 보강부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보강부를 클램프 바디의 절곡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클램프 바디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 스크류 결합부에 전, 후진 가능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2파이프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된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 바디에 포밍(FORING) 형성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직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구조강도가 향상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 바디의 두께를 기존의 클램프 바디에 비해 얇게 형성하면서도 보다 뛰어난 구조강도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클램프 바디의 재료비 절감 및 제작원가를 낮추게 되는 것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로 인해, 운반 및 적재 물량이 증가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클램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교 클램프는 강판을 이용해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측 날개부(111)에 제1파이프(1)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12)와 양측 날개부(111)를 잇는 연결부(113) 사이에 제1파이프(1)의 외면에 직교되는 제2파이프(2)가 관통되도록 공간부(114)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110); 및 상기 클램프 바디(110)의 연결부(113)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2)를 제1파이프(1)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120)을 포함한다.
이하, 클램프 바디(1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SM강판을 이용해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 클램프 바디(110)를 재단 가공하게 된다. 재단된 클램프 바디(110)의 형상을 보면, 연결부(113)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날개부(11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날개부(111) 끝단에는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갈고리 형상의 거치부(1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거치부(112)에는 제1파이프(1)를 거치하게 되는 바, 거치 후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의 개방되는 각도를 180도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거치부(112)는 상기 개방된 갈고리 형상에 기인하여 제1파이프(1)의 반지름 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하여 가압수단(120)에 의해 제2파이프(2)와 제1파이프(1)가 동시에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거치부(112)는 상기 제1파이프(1)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1)가 거치부(112)에 슬라이드되며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날개부(111)에는 거치부(112)와 라운드 형태의 홈과 연결되는 경사부(11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SM강판은 두께 3t(3mm)의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얇아진 두께에 따른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클램프 바디(110)의 양측 날개부(111) 및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면에 보강부(117)가 포밍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강부(117)는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를 3mm로 했을 경우, 표면으로부터 1.5~2mm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를 4.5~5mm 두께로 증대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구조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부(117)는 클램프 바디(110)의 날개부(111) 및 연결부(113)를 따라 이어지는 띠 형상으로 포밍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117)는 클램프 바디(110)의 날개부(111) 및 연결부(113)의 상단 경계선(116a)과 하단 경계선(116b) 사이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구조가 실시 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상기 보강부(117)는 클램프 바디(110)의 양측 날개부(111) 및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면에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포밍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보강부(117)는 경사부(119)와 거치부(112)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경사부(119)와 거치부(112)의 라운드 형태와 대응하는 경사 및 라운드 형태로 양측 날개부(111)의 끝단(전술한 연결부의 상단 경계선과 하단 경계선을 포함하여)까지 연결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후, 상기 클램프 바디(110)는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절곡부(115)를 프레싱 가공하여 "ㄷ"자 형상의 외관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 바디(110)의 연결부 중앙에는 관통공(11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13a)의 외면에 가압수단(12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클램프 바디(110)는 포밍(FORING) 형성된 보강부(117)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클램프 바디에 비해 얇게 형성하면서도 보다 뛰어난 구조강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수단(120)은 클램프 바디(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121)와, 스크류 결합부(121)에 전, 후진 가능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되는 핸들(122) 및 상기 핸들(1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2파이프(2)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된 가압판(124)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 결합부(121)는 내경부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제작될 수 있는데, 일예로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너트는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클램프 바디(110)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22)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로 제작될 수 있고, 일측 단에 스크류 형성부(123)를 가공함으로써, 스크류 결합부(121)와 나선결합이 이루어져 핸들(122)의 회전량에 따른 전, 후진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124)은 핸들(122)의 전단에 결합되어 함께 전, 후진 되며, 제2파이프(2)의 외경을 밀착시켜 제1파이프(1) 측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보강부(117)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띠 형상의 보강부(117)를 적어도 1개 이상 다수 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2개의 보강부(117)가 복층구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포밍 가공하는 구조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보강부(117)는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를 3mm로 했을 경우, 표면으로부터 1.5~2mm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바디의 절곡 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17)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는 수직 보강부(118)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수직 보강부(118)를 클램프 바디(110)의 절곡부(115)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클램프 바디(110)의 절곡부(115)는 휨변형에 취약한 부분으로서, 이를 수직 보강부(118)를 이용해 보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바디(110)의 구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직 보강부(118)는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를 3mm로 했을 경우, 표면으로부터 1.5~2mm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 바디에 포밍(FORING) 형성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직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구조강도가 향상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 바디의 두께를 기존의 클램프 바디에 비해 얇게 형성하면서도 보다 뛰어난 구조강도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클램프 바디의 재료비 절감 및 제작원가를 낮추게 되는 것은 물론, 제품의 경량화로 인해, 운반 및 적재 물량이 증가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110: 클램프 바디 111: 날개부
112: 거치부 113: 연결부
113a: 관통공 114: 공간부
115: 절곡부 116a: 상단 경계선
116b: 하단 경계선 117: 보강부
118: 수직 보강부 120: 가압수단
121: 스크류 결합부 122: 핸들
123: 스크류 형성부 124: 가압판
1: 제1파이프 2: 제2파이프

Claims (8)

  1. 강판을 이용하여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측 날개부(111)에 제1파이프(1)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12)와 양측 날개부(111)를 연결하는 연결부(113) 사이에 제1파이프(1)의 외면에 직교되며 접촉되는 제2파이프(2)가 관통되도록 공간부(114)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110)와; 상기 클램프 바디(110)의 연결부(113)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2)를 제1파이프(1)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12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12)는 제1파이프(1)의 반지름 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하여 가압수단(120)에 의해 제2파이프(2)와 제1파이프(1)가 동시에 가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112)는 상기 제1파이프(1)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1)가 거치부(112)에 슬라이드되며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날개부(111)에는 거치부(112)와 라운드 형태의 홈과 연결되는 경사부(119)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바디(110)의 양측 날개부(111) 및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면에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17)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포밍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117)는 경사부(119)와 거치부(112)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경사부(119)와 거치부(112)의 라운드 형태와 대응하는 경사 및 라운드 형태로 양측 날개부(111)의 끝단까지 연결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120)은, 클램프 바디(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121); 스크류 결합부(121)에 전, 후진 가능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되는 핸들(122); 및 상기 핸들(1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2파이프(2)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된 가압판(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17)를 적어도 1개 이상 다수 개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클램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17)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는 수직 보강부(11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부(118)를 클램프 바디(110)의 절곡부(115)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클램프.
  7. 삭제
  8. 삭제
KR2020100010169U 2010-10-01 2010-10-01 직교 클램프 KR200456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69U KR200456344Y1 (ko) 2010-10-01 2010-10-01 직교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69U KR200456344Y1 (ko) 2010-10-01 2010-10-01 직교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344Y1 true KR200456344Y1 (ko) 2011-10-26

Family

ID=7307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69U KR200456344Y1 (ko) 2010-10-01 2010-10-01 직교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02Y1 (ko) 2013-05-15 2013-11-27 (주) 고려인삼해가림 파이프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02Y1 (ko) 2013-05-15 2013-11-27 (주) 고려인삼해가림 파이프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318B2 (en) Formed part for vehicle body structural member
EP2471610B1 (en) Press forming method
CN205769637U (zh) 一种铝型材连接件
US9828034B2 (en) Vehicle bodywork structure device
EP3015345A1 (en) Structure for lower part of vehicle body
JP6157682B2 (ja) ドアビーム及びドアビームの取付構造
CN105051382A (zh) 连接装置
US20120231200A1 (en) Structure
KR200456344Y1 (ko) 직교 클램프
KR20180062357A (ko)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
WO2020230367A1 (ja) プレス成形方法
KR20130060346A (ko) 강시판 및 그 강시판에 의해 형성된 강시판벽
US9446794B2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US20180170441A1 (en) Vehicle side structure
KR200457275Y1 (ko)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체
US20080041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acting Stress in a Metal Product
CN205475867U (zh) 一种加强u型轻钢龙骨
JP5191195B2 (ja) 家具天板の連結構造
CN206144920U (zh) 一种连接件及应用该连接件的置物架
JP5216057B2 (ja) 乗客コンベア
CN107640456B (zh) 一种集装箱的底横梁及具有其的集装箱
CN205421559U (zh) 一种梁和柱的接合结构
JP2018149975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CN117468667A (zh) 一种室内墙面板
JP2012131440A (ja) 車輪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