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82Y1 -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82Y1
KR200469982Y1 KR2020120003159U KR20120003159U KR200469982Y1 KR 200469982 Y1 KR200469982 Y1 KR 200469982Y1 KR 2020120003159 U KR2020120003159 U KR 2020120003159U KR 20120003159 U KR20120003159 U KR 20120003159U KR 200469982 Y1 KR200469982 Y1 KR 200469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otating shaft
lifting motor
housing
contac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02U (ko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세
Priority to KR2020120003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8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02K15/02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for fastening to casing or support, respectively to shaft or hu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구동상태에서 회전축이 관통하는 슬리브가 회전축상의 밀착패드에 접하여 슬리브와 밀착패드 접촉시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프팅 대상물이 의도하지 않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는,
양 측면 각각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일측의 선단에 웜기어가 마련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에 플랜지가 형성된 슬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상에 슬리브와 인접하여 마주하는 밀착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lifting motor for preventing loosening}
본 고안은 리프팅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구동상태에서 회전축이 관통하는 슬리브가 회전축상의 밀착패드에 접하여 슬리브와 밀착패드 접촉시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프팅 대상물이 의도하지 않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을 승하강시키는 수단으로 리프팅용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프팅용 모터는 회전축 선단에 웜기어가 형성된 것으로, 웜기어가 와이어 또는 벨트가 감기는 롤러와 연결된 웜휠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 또는 벨트에 결합된 중량물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리프팅용 모터의 웜기어에는 지속적으로 중량물의 하중이 미치게 된다.
이때, 리프팅용 모터의 웜기어에 미치는 중량물의 하중은 리프팅용 모터 작동시 회전축의 회전력에 비해 작으므로 리프팅용 모터 작동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리프팅용 모터 미작동시 리프팅용 모터의 웜기어에 미치는 중량물의 하중은 회전축을 공회전시켜 풀림 현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게 중량물이 하강하여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리프팅용 모터 풀림 현상은 웜휠의 기어이가 중량체의 하중에 의해 웜기어의 기어이를 타고 넘으며 발생하게 되므로 웜기어의 각 기어이 내각을 줄이게 되면 웜휠의 기어이가 웜기어의 기어이를 타고 넘지 못해 쉽게 해소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웜기어의 각 기어이 내각을 줄이게 되면 기어이가 얇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웜기어에 하중이 미칠 때 기어이의 손상이 따르게 되어 차후 리프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의 리프팅용 모터는 웜기어의 기어이 내각을 줄여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보다는 솔레노이드 등의 풀림 방지 수단을 부가적으로 마련하여 풀림 방지 수단을 통해 풀림을 방지하고 있다.
풀림 방지 수단이 마련된 리프팅용 모터는 미작동시 풀림 방지 수단에 의해회전축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었으나, 종래의 풀림 방지 수단이 마련된 리프팅용 모터는 풀림 방지 수단이 부가되는 것인 만큼 일반 리프팅용 모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에 곤란함이 따르게 되고, 비용상의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됨으로써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상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프팅용 모터 미작동시 회전축이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여 리프팅 대상 중량물이 의도하지 않게 하강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는,
양 측면 각각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일측의 선단에 웜기어가 마련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에 플랜지가 형성된 슬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상에 슬리브와 인접하여 마주하는 밀착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플랜지의 표면은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플랜지의 요철면은 미세 반구형 돌기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패드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되고, 그 표면이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패드의 요철면은 미세 반구형 돌기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와 밀착패드 사이에 0.3-1.0mm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는 미구동상태에서 회전축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칠 때 회전축상의 밀착패드가 하우징에 결합된 슬리브와 접하게 되어 밀착패드와 슬리브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이 방지므로 회전축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치더라도 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미구동상태에서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의도하지 않은 하강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서 밀착패드와 슬리브의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서 슬리브에 형성된 플랜지의 표면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서 밀착패드의 표면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에서 슬리브와 밀착패드가 회전축 양측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A)는 하우징(10)과, 고정자(20)와, 회전축(30)과, 회전자(40)와, 슬리브(50)와, 밀착패드(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양 측면 각각의 중심에 관통공(11)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의 측면은 분리 가능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의 측면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됨으로써 측면 분리를 통해 회전축(30)상에 결합되는 회전자(40) 및 밀착패드(60)가 하우징(10)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자(20)는 하우징(10)의 내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자(20)는 통상의 모터에 마련되는 고정자와 동일한 것이므로 고정자(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회전축(30)은 하우징(10)을 관통하는 것으로, 일측의 선단에 웜기어(31)가 마련된 것이다.
이때, 회전축(30) 선단의 웜기어(31)는 웜휠(32)과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축(3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웜기어(31)의 회전에 의해 윔휠(3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웜휠(32)은 와이어 또는 벨트를 권취하는 롤러(도면상 미도시)와 연결된 것이고, 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또는 벨트 하단에는 리프팅 대상 중량물(도면상 미도시)이 결합된 것이다.
상기 회전자(40)는 회전축(30)의 중간부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자(40)는 통상의 모터에 마련되는 회전자와 동일한 것이므로 회전자(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슬리브(50)는 하우징(10)의 관통공(11)에 결합하는 것으로, 선단에 플랜지(51)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슬리브(50)에 형성되는 플랜지(51)의 표면은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될 수 있다.
슬리브(50)에 형성되는 플랜지(51)의 표면이 요철면으로 되는 경우 밀착패드(60)와 접할 때 평탄면으로 되는 것에 비해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랜지(51)의 요철면은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반구형 돌기(51a)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51b)가 연속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리브(50)는 하우징(10)의 일측 관통공(11)에 결합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관통공(11)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슬리브(50)가 하우징(10)의 양측 관통공(11)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슬리브(50)가 회전축(30)상의 밀착패드(60)에 접하게 되므로 마찰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패드(60)는 회전축(30)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슬리브(50)와 인접하여 마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밀착패드(60)는 중앙에 통공(61)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패드(60)가 중앙에 통공(61)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됨으로써 통공(61)을 통해 회전축(30)을 삽입함에 따라 밀착패드(60)가 회전축(30)상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밀착패드(60)의 표면은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될 수 있다.
밀착패드(60)의 표면이 요철면으로 되는 경우 슬리브(50)와 접할 때 평탄면으로 되는 것에 비해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밀착패드(60)의 요철면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반구형 돌기(61a)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61b)가 연속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패드(60)는 슬리브(50)와의 사이에 0.3-1.0mm의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패드(60)가 슬리브(50)와의 사이에 0.3-1.0mm의 간격을 둠으로써 밀착패드(60)가 결합된 회전축(30)이 비교적 소폭으로 유동하더라도 밀착패드(60)와 슬리브(50)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밀착패드(60)는 회전축(30)상의 회전자(40) 일측에 결합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40) 양측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밀착패드(60)가 회전축(30)상의 회전자(4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밀착패드(60)가 하우징(10)에 결합된 슬리브(50)와 접하게 되므로 마찰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밀착패드(60)와 회전축(30)의 결합은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므로 밀착패드(60)와 회전축(30)의 결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A)(이하, '리프팅용 모터'라 함)에서의 풀림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프팅용 모터(A)에 전원이 인가된 구동상태에서 회전자(40)는 고정자(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고정자(20)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리프팅용 모터(A)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미구동상태에서 회전자(40)에는 자기력이 미치지 않게 되므로 회전자(40)는 고정자(20)의 양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회전축(30)의 선단에는 웜기어(31)가 형성되고 있고, 웜기어(31)는 리프팅 대상 중량물과 결합된 와이어 또는 벨트가 감긴 롤러와 연결된 웜휠(32)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웜휠(32)은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고자 하고, 웜휠(32)과 결합된 웜기어(31) 또한 회전하고자 하므로 회전자(40)가 유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회전축(30)은 웜기어(31)가 형성된 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한편, 회전축(30)이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당겨지게 될 때 하우징(10)의 관통공(11)상에 결합되는 슬리브(50)는 회전축(30)을 관통하고만 있을 뿐 결속하는 것은 아니므로 회전축(30)은 슬리브(50)와 무관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50)에 인접하는 회전축(30)상에는 밀착패드(60)가 마련되어 있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과 함께 밀착패드(60)가 이동하며 밀착패드(60) 표면이 슬리브(50)의 플랜지(51) 표면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착패드(60) 표면과 슬리브(50)의 플랜지(51) 표면이 접하게 되면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3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회전축(30)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치더라도 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밀착패드(60)의 표면과 슬리브(50)의 플랜지 표면은 평탄면은 물론 요철면으로 될 수 있는 것인바, 밀착패드(60)와 슬리브(50)가 접하는 과정에서 마찰력이 극대화되므로 더욱더 회전축(3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어 회전축(30)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치더라도 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밀착패드(60)와 슬리브(50)의 접촉 상태는 언제든 해제 가능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리프팅용 모터(A)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고정자(20)와 회전자(40)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40)는 고정자(20)의 직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자(40)와 결합된 회전축(30)이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당겨지기 이전의 위치로 이동하며 회전축(30)상의 밀착패드(60) 또한 이동하게 되므로 밀착패드(60)와 슬리브(5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리프팅용 모터(A) 구동상태에서는 슬리브(50)와 밀착패드(60)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회전축(3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A)는 미구동상태에서 회전축(30)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칠 때 회전축(30)상의 밀착패드(60)가 하우징(10)에 결합된 슬리브(50)와 접하게 되어 밀착패드(60)와 슬리브(50)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3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회전축(30)에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하중이 미치더라도 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미구동상태에서 리프팅 대상 중량물의 의도하지 않은 하강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관통공
20 : 고정자 30 : 회전축
31 : 웜기어 32 : 웜휠
40 : 회전자 50 : 슬리브
51 : 플랜지 51a : 미세 반구형 돌기
51b : 미세 쐐기형 돌기 60 : 밀착패드
61 : 통공 61a : 미세 반구형 돌기
61b : 미세 쐐기형 돌기 A : 리프팅용 모터

Claims (6)

  1. 양 측면 각각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일측의 선단에 웜기어가 마련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 외주면 둘레에 마련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에 플랜지가 형성된 슬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상에 슬리브와 인접하여 마주하는 밀착패드가 마련되며,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플랜지의 표면은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되고,
    상기 슬리브의 요철면은 미세 반구형 돌기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되고, 그 표면이 평탄면 또는 요철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의 요철면은 미세 반구형 돌기 또는 미세 쐐기형 돌기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6. 삭제
KR2020120003159U 2012-04-18 2012-04-18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KR200469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159U KR200469982Y1 (ko) 2012-04-18 2012-04-18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159U KR200469982Y1 (ko) 2012-04-18 2012-04-18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02U KR20130006202U (ko) 2013-10-25
KR200469982Y1 true KR200469982Y1 (ko) 2013-11-19

Family

ID=5074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159U KR200469982Y1 (ko) 2012-04-18 2012-04-18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8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70U (ja) * 1993-08-20 1995-03-17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付きモータ
JP2000203779A (ja) 1998-07-13 2000-07-25 Inventio Ag ロ―プで牽引するエレベ―タ
JP2007074767A (ja) * 2005-09-02 2007-03-22 Matoba Denki Seisakusho:Kk モータ駆動装置
KR101048757B1 (ko) 2010-02-09 2011-08-16 (주) 디에이치홀딩스 모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70U (ja) * 1993-08-20 1995-03-17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付きモータ
JP2000203779A (ja) 1998-07-13 2000-07-25 Inventio Ag ロ―プで牽引するエレベ―タ
JP2007074767A (ja) * 2005-09-02 2007-03-22 Matoba Denki Seisakusho:Kk モータ駆動装置
KR101048757B1 (ko) 2010-02-09 2011-08-16 (주) 디에이치홀딩스 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02U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45981A1 (en) Proceeding and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Winch for a Sheet or a Halyard on a Sailing Boat
KR200469982Y1 (ko) 풀림 방지를 위한 리프팅용 모터
JPS60202093A (ja) 捲上機の過負荷防止装置
TWI702181B (zh) 帶制動器的電動機及帶制動器的電動機的製造方法
JP2015169273A (ja) 電磁ブレーキ装置、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
DE19737239A1 (de) Elektromotor
CN107054168B (zh) 一种汽车座椅调节结构
KR101221123B1 (ko) 전기브레이크 모터
JP2019061139A5 (ko)
WO2020153088A1 (ja) ロープガイド機構およびロープホイスト
JP6799926B2 (ja) 軸受装置およびローラ装置
US10195705B2 (en) Electric power tool
JP2006316412A (ja) 出没式柵柱
JP2008187832A5 (ko)
CN103043493A (zh) 放线机
JP5317448B2 (ja) 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US20180093870A1 (en) Winch Fairlead Pivot
CN205401548U (zh) 制动器和动力设备
JPS5919141Y2 (ja) ラチエツト装置
JP5234686B1 (ja) ブレーキ面当りの調整方法
JPH11335041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6293069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07161210A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CN105090295B (zh) 电磁制动装置及使用该电磁制动装置的电梯装置
CN205462523U (zh) 一种无磨损罐磨机研磨筒限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