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12Y1 -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12Y1
KR200469712Y1 KR2020130005863U KR20130005863U KR200469712Y1 KR 200469712 Y1 KR200469712 Y1 KR 200469712Y1 KR 2020130005863 U KR2020130005863 U KR 2020130005863U KR 20130005863 U KR20130005863 U KR 20130005863U KR 200469712 Y1 KR200469712 Y1 KR 200469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mounting
hook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이병진
이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진, 이종복 filed Critical 이병진
Priority to KR2020130005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6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spending hairdressers' machines, e.g. trolleys for electro-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 드라이기를 거치할 때 사용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등의 고정하고자 하는 곳에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과,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드라이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드라이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중에 잠시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도 손쉽게 거치가능하도록 하며, 걸이수단의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드라이기 거치시 안정성을 확보하며,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DRIER HANGER ASSEMBLY}
본 고안은 헤어 드라이기를 거치할 때 사용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 등의 고정하고자 하는 곳에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과,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드라이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드라이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중에 잠시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도 손쉽게 거치 가능하도록 하며, 걸이수단의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드라이기 거치시 안정성을 확보하며,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말리기 위하여 헤어 드라이기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기를 사용 중에 잠시 거치하거나, 사용완료 후에 드라이기를 보관할 때 바닥에 놓는 경우가 많은데, 드라이기의 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실1999-0017413호 『ㄱ자형 헤어드라이기용 벽걸이 받침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건물의 벽이나 탁자의 벽면에 나사못으로 부착시키고 ㄱ자형 헤어드라이기를 ㄱ자형태로 올려놓기만 함으로서 보관상태가 완료되도록 고안하고, 드라이기선이 길어서 정리하기 곤란한 문제도 드라이기선을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ㄱ자형 헤어드라이기용 벽걸이 받침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헤어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옷에 걸리거나 부딪혀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33912호 『헤어 드라이기 걸이구』와 등록실용신안 제20-0277210호 『헤어 드라이기 걸이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33912호 『헤어 드라이기 걸이구』는 원형걸이간과 지지몸체를 종횡으로 일체가 되게 다이게스팅으로 규격화하고, 동 지지몸체의 종횡편에 다수의 체결공을 천공하여 체결볼트로 세로 가로면 모두 지지몸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양산은 물론 제품이 견고하고, 가로 세로면 모두 부착이 용이한 헤어드라이기 걸이구를 제시하고,
상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77210호 『헤어 드라이기 걸이구』는 Y형걸이간과 종횡으로 절곡된 지지체를 일체가 되게 주물성형작업으로 규격화하고 동지지체의 절곡된 종횡편에 다수의 체결공을 천공하여 체결볼트로 세로가로면 모두 지지체의 부착을 이용하게 하며, Y형 걸간 양쪽 선단부에 구체형 돌봉을 형성하여 Y형걸이간의 유연성에 의해 손쉽게 드라이기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견고하고,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유연하여 모든 종류의 헤어드라이기를 안전하게 거치하는 헤어 드라이기 걸이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건물 벽 등에 드라이기를 거치하기 위한 걸이구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걸이구는 벽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드라이기를 쉽고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으나,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이동시에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92481호 『헤어 드라이기의 걸이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두발건조기의 걸이구 몸체를 가로 세로면 모두 사용할 수 있게 정면과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두발건조기의 지지간 양 갈래 후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된 절곡간이 통과되게 한 다음 동 절곡간이 내면 공간부 턱에 걸려 지지간이 몸체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며, 몸체 정면 개구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측면개구부로 이어져서 몸체 내에 괘지된 지지간이 밖으로는 물론이고 밑으로도 빠지지 않는 헤어드라이기 걸이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두발건조기를 거치하는 걸이구 몸체를 가로 세로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가로면과 세로면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 거치상태를 유지 고정하는 장치가 없어, 두발건조기의 무게에 의해 쉽게 움직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분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재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사용 중이거나 사용 완료된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수단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되,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로 회전하도록 하여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걸이수단을 고정유지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이수단에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드라이기가 거치되는 걸이부의 지름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드라이기를 모두 거치 할 수 있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걸이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수단을 고정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는
회전공 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공 또는 회전돌기와 각각 대응 결합하는 대응돌기 또는 대응공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걸이수단이 회전하여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는 장착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사용 중이거나, 사용완료후의 드라이기를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수단을 거치상태에서 폴딩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걸이수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서 사용자의 이동시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고정유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구비하여 거치상태와 폴딩상태를 각각 고정 유지시킴으로서 드라이기가 이탈을 방지하는 등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드라이기가 거치되는 걸이수단의 지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드라이기를 모두 안정성을 확보하며 거치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의 실시예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의 확대도 및 실시예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재가 결합된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P)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걸이수단(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내벽, 외벽, 가구벽면 등의 설치하고자 하는 장착재(P1)에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결합되는 커버(13)로 이루어져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은 도면에는 사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는 장착부(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장착부(111)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5)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11)를 벽등의 장착재(P1)(이하 장착재(P1)라 칭한다.)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볼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115)은 상기 본체(11)의 크기에 따라 그 수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양단부에는 돌출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16)에는 후술하는 회전공(113) 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게 된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본체(11)의 장착부(111)를 덮는 커버(1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버(13)와 상기 본체(11)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3)에는 나사공(13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나사공(131)에 대응하는 너트공(117)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공(131)과 너트공(117)을 볼트결합을 통하여 상기 본체(11)와 커버(13)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너트공(117)은 상기 본체(11)에 너트를 용접하여 본체(11)와 커버(13)를 결합하는 볼트에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트를 용접하지 않고, 상기 본체(11)의 너트공(117)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11)와 커버(13)를 결합하는 경우 볼트가 상기 본체(11) 후면(장착재(P1)와 접하는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면을 글라인딩 방법 등을 이용하여 없애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13)에는 후술하는 걸이수단(20)이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부(133)가 구비되어 걸이수단(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P)는 하우징(10)에 결합되어, 드라이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걸이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이수단(20)은 드라이기의 몸체를 관통시켜 거치할 수 있는 걸이부(23)와, 걸이부(23)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결합부(21)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이부(23)는 일반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생긴 드라이기의 몸통을 관통시켜 드라이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걸이부(23)의 형상은 드라이기가 관통하는 걸이공간(231)이 구비된 원형의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의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사각, 마름모, 별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걸이수단(20)의 걸이부(23)의 양단부에는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결합부(21)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21)의 양단부에는 각각 대응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 특히 상기 본체(11)의 돌출부(116)에는 상기 대응돌기(211)가 결합하는 회전공(11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대응돌기(211)는 상기 결합부(21)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어 상기 회전공(11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결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21)의 대응돌기(211)와 상기 본체(11)의 회전공(113)이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1)는 탄성을 가지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21)를 상기 본체(11)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대응돌기(211)가 상기 회전공(113)에 결합이 가능하게 하며, 결합한 후에는 밀었던 힘을 제거함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돌아감에 따라 상기 대응돌기(211)는 상기 회전공(1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상기 본체(11)에 회전공(113)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0)에 대응돌기(211)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반대로 상기 본체(11)에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0)에 대응공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양측에는 상기 걸이수단(20)의 결합부(21)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133)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커버(13)가 상기 걸이수단(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33)의 폭(d1)은 상기 결합부(21)의 직경(d)보다 넓어 상기 결합부(21)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결합부(21)로부터 회전돌기의 돌출길이(d2)보다 작아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걸이수단(2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하우징(10)이 장착재(P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수단(20)에 드라이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수단(20)의 결합부(21)가 상기 회전부(133)에 내삽 되는 폴딩상태(J)를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경우 걸이수단(20)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드라이기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걸이수단(20)을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시켜, 즉 상기 결합부(21)를 상기 회전부(133)로부터 이탈시켜 거치상태(K)를 유지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걸이수단(20)의 걸이부(23)에 드라이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P)는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수단(20)을 고정하는 스토퍼(30)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걸이수단(20)의 거치상태(K)를 고정하는 제1 스토퍼(31)와, 폴딩상태(J)를 고정하는 제2 스토퍼(3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제1 스토퍼(31)는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돌출부(116)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공(113)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서, 상기 걸이수단(20)이 폴딩상태(J)를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21)의 하단(하우징(10)이 장착재(P1)의 고정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을 지지함으로서 드라이기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걸이수단(20)이 흔들리거나,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스토퍼(31)를 상기 회전공(113)의 하단에 구비함으로서, 상기 걸이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이 90도를 이루어 거치의 효율성 및 미관의 수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스토퍼(33)는 상기 돌출부(116)의 내측에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이수단(20)이 폴딩상태(J), 즉 상기 결합부(21)가 상기 회전부(133)에 내삽 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스토퍼(33)로 인하여 상기 회전부(133)의 크기, 즉 상기 결합부(21)가 회전부(133)로부터 이탈되는 크기를 감소시켜,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는 상기 걸이수단(20)의 폴딩상태(J)가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20)에는 조절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조절부재(40)는 상기 걸이부(23) 단부에 구비되는 톱니형성부(41)와, 상기 톱니형성부(41)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1)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이수단(20)의 걸이부(23)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걸이공간(231)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걸이공간(231)에 드라이기의 몸통을 관통함으로서 드라이기를 상기 걸이수단(20)에 거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드라이기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 크기도 다양함에 따라 상기 걸이공간(231)의 직경이 일정하게 되는 경우 다양한 드라이기를 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P)는 상기 걸이공간(23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이부(23)의 단부에는 톱니형성부(41)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형성부(41)는 직선부(411)와 사선부(413)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이부(2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톱니형성부(41)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부(23)가 끼워지는 제1 끼움공(213)과, 상기 끼움공과 직교하며, 고정부재(43)가 구비되는 제2 끼움공(215) 및 상기 톱니형성부(41)와 결합하는 고정부재(4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톱니형성부(41)와 대응되는 결합돌기(4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끼움공(215)의 저면과 상기 고정부재(43)와 양단이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체(43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43)에는 손잡이부(435)가 더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435)가 상기 결합부(21)에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에는 스위치공(217)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손잡이부(435)는 볼트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43)가 상기 제2 끼움공(215)에 삽입한 후에 상기 스위치공(217)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부(435)를 상기 고정부재(43)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23)가 상기 제1 끼움공(213)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2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3), 특히 상기 고정부재(43)의 결합돌기(431)가 상기 톱니형성부(41)와 결합하게 되되, 직선부(411)와 곡선부로 이루어진 톱니형성부(41)로 인하여 상기 걸이부(23)는 걸이공간(23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하나, 이 반대로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하게 이루어져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경우 걸이공간(231)의 직경이 증가하여 드라이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걸이공간(231)의 직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21)의 스위치공(217)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435)를 아랫방향(상기 결합부(21)의 회전돌기가 구성되는 방향)으로 내려 상기 고정부재(43)의 결합돌기(431)를 상기 톱니형성부(41)와 이격시켜 자연스럽게 상기 걸이부(23)가 상기 제1 끼움공(213)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하고, 이때 상기 고정부재(43)에 구비되는 탄성체(432)로 인하여 상기 손잡이부(435)를 놓으면 손잡이부(435)는 다시 윗방향(상기 결합부(21)의 회전돌기가 구성되는 반대방향)으로 자동 이동하여 상기 톱니형성부(41)와 결합돌기(43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 및 견고성을 모두 갖추게 된다.
나아가 도 5 및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P)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이 장착재(P1)에 결합하는 경우 회전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부재(50)는 제1 분체(51)와 제2 분체(5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분체(51)는 일면이 상기 하우징(10)과 결합하고, 타측면에 톱니부(511)가 형성되며, 제2 분체(53)는 일면에 상기 톱니부(511)에 대응 결합하는 대응톱니부(53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장착재(P1)와 고정 결합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분체(53)에는 복수개의 제2 체결공(5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공(533)에 볼트결합을 하면서 상기 제2 분체(53)가 장착재(P1)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분체(51)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공(115)에 대응하여 볼트 결합하는 제1 체결공(513)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분체(51)와 상기 하우징(10)이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체(51)의 중앙에는 스핀공(515)이 구비되고, 상기 스핀공(515)에 대응하는 대응스핀홈(535)이 제2 분체(53)에 구비됨으로서 상기 제1 분체(51)와 제2 분체(53)는 상기 스핀공(515)과 대응스핀홈(535)을 회전볼트(55)로 결합함으로서 고정되며, 상기 톱니부(511)와 대응톱니부(531)가 서로 접촉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분체(53)로부터 제1 분체(51)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볼트(55)에는 스프링(58)과 상기 스프링(58)을 감싸며, 상기 회전볼트(55)를 관통하는 이동체(57)가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볼트(55)는 헤드부(551)와 바디부(5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핀공(515)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551)보다 조금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551)에는 스프링(58)이 상기 바디부(553)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58)을 감싸며 이동체(57)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체(57)의 중앙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바디부(553)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바디부(553)는 지지부(571)와 감개부(573)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58)의 일 측은 상기 회전볼트(55)의 헤드부(551)와 맞닿고, 타측은 상기 이동체(57)의 지지부(571)와 맞닿으며, 상기 감개부(573)가 상기 스프링(58)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핀공(515)에는 걸림단턱(515a)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체(57)가 제2 분체(53)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분체(51)와 제2 분체(53)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스프링(58)에 의해 탄성을 받게 되고, 상기 제1 분체(51)를 제2 분체(53)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단턱(515a)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체(57)와 회전볼트(55)의 헤드부(551)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회전 완료 후에는 상기 스프링(58)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다시 상기 이동체(57)가 다시 회전볼트(55)의 헤드부(551)와 멀어지게 되면서, 걸림단턱(515a)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분체(51)와 제2 분체(53)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볼트(55)는 바디부(553)의 단부가 나사산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분체(53)의 대응스핀공(515)과 고정결합을 하게 되고, 바디부(553)의 나머지부분은 민무늬로 구성되어 이동체(57) 및 상기 제1 분체(51)가 상기 회전볼트(55)의 바디부(553)를 이동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P1 : 장착재
10 : 하우징 11 : 본체 111 : 장착부
113 : 회전공 115 : 결합공 116 : 돌출부
117 : 너트공 13 : 커버 131 : 나사공
133 : 회전부 20 : 걸이수단 21 : 결합부
211 : 대응돌기 213 : 제1 끼움공 215 : 제2 끼움공
217 : 스위치공 23 : 걸이부 231 : 걸이공간
30 : 스토퍼 31 : 제1 스토퍼 33 : 제2 스토퍼
40 : 조절부재 41 : 톱니형성부 411 : 직선부
413 : 사선부 43 : 고정부재 431 : 결합돌기
432 : 탄성체 435 : 손잡이부 50 : 회전부재
51 : 제1 분체 511 : 톱니부 513 : 제1 체결공
515 : 스핀공 515a : 걸림단턱 53 : 제2 분체
531 : 대응톱니부 533 : 제2 체결공 535 : 대응스핀홈
55 : 회전볼트 551 : 헤드부 553 : 바디부
57 : 이동체 571 : 지지부 573 : 감개부
58 : 스프링

Claims (4)

  1.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결합부(21)와,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걸이부(23)로 이루어지는 걸이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수단(20)을 고정하는 스토퍼(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에는
    회전공(113) 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0)의 결합부(21)에는 상기 회전공(113) 또는 회전돌기와 각각 대응결합하는 대응돌기(211) 또는 대응공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걸이수단(20)이 회전하여 거치상태(K)와 폴딩상태(J)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걸이수단(20)의 거치상태(K)를 고정하는 제1 스토퍼(31)와, 폴딩상태(J)를 고정하는 제2 스토퍼(3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20)에는 조절부재(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40)는 상기 걸이부(23) 단부에 구비되는 톱니형성부(41)와, 상기 톱니형성부(41)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1)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성부(41)는 직선부(411)와 사선부(413)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이부(2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톱니형성부(41)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부(23)가 끼워지는 제1 끼움공(213)과, 상기 제1 끼움공(213)과 직교하며, 고정부재(43)가 구비되는 제2 끼움공(21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톱니형성부(41)와 대응되는 결합돌기(4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끼움공(215)의 저면과 상기 고정부재(43)의 양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체(4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KR2020130005863U 2013-07-15 2013-07-15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KR200469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863U KR200469712Y1 (ko) 2013-07-15 2013-07-15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863U KR200469712Y1 (ko) 2013-07-15 2013-07-15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712Y1 true KR200469712Y1 (ko) 2013-11-04

Family

ID=5073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863U KR200469712Y1 (ko) 2013-07-15 2013-07-15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97B1 (ko) * 2006-11-21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81Y1 (ko) * 2000-02-08 2000-08-16 강부배 헤어 드라이기의 걸이구
US7748583B1 (en) * 2004-12-03 2010-07-06 David Woltman Article hol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81Y1 (ko) * 2000-02-08 2000-08-16 강부배 헤어 드라이기의 걸이구
US7748583B1 (en) * 2004-12-03 2010-07-06 David Woltman Article hol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97B1 (ko) * 2006-11-21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5181B2 (en) Wall-mounted bicycle rack
KR200469712Y1 (ko)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KR101440265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US20190002046A1 (en) Bottom frame of bicycle hanger
KR200459888Y1 (ko) 세탁물 건조대의 걸이대 각도변환장치
KR20130097910A (ko) 벽면부착식 옷걸이
KR101288634B1 (ko) 낚시대 받침지주의 회전 록킹구조
KR101044749B1 (ko) 벽걸이 거치대
CN213096657U (zh) 吹风机支架
KR101342680B1 (ko)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KR20130003494U (ko) 샤워기걸이장치
TWM541198U (zh) 寵物用跑步轉輪
KR101945625B1 (ko)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101593135B1 (ko) 낚시 받침대
KR200474029Y1 (ko) 경사각도를 갖는 샤워헤드 걸이구
JP5368024B2 (ja) ハンガー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KR101287999B1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JP3154684U (ja) ヘアドライヤー用ハンガー
JP2016002124A (ja) 物干し装置用延長器具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JP3190574U (ja) バネロック式のスライドスタンド装置
CN211794809U (zh) 吹风机支架
US6729509B1 (en) Mini-blind holder and clothes hanger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