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680B1 -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 Google Patents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680B1
KR101342680B1 KR1020110109793A KR20110109793A KR101342680B1 KR 101342680 B1 KR101342680 B1 KR 101342680B1 KR 1020110109793 A KR1020110109793 A KR 1020110109793A KR 20110109793 A KR20110109793 A KR 20110109793A KR 101342680 B1 KR101342680 B1 KR 10134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houlder pad
operator
stato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533A (ko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102011010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6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made of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6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e.g. paper, board, plastics, glas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후크부와,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대를 가지며,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어깨패드 구조물이 일체로 구비되되, 어깨패드 구조물은,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어깨패드,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면 또는 상기 어깨패드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 및 고정자와 어깨패드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양 방향에 대하여 상하 회전이 가능한 작동자를 포함한 구성을 갖추고, 또한 스프링을 통한 옷의 하중을 흡수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회전가능한 어깨패드를 갖춤으로써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어깨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HANGER HAVING SHOULDER PAD}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하여 걸이대의 양 끝단에서 옷의 어깨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옷의 어깨부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옷걸이의 형태는 와이어나 플라스틱 소재로 된 선형 부재를 절곡시켜 트라이앵글 또는 산 형상으로 제작하고, 그 중앙 상부에는 후크부를 형성하여 벽면이나 옷장 등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 옷걸이는 어깨라인의 양 끝단이 단순히 꺽임 구조로 되어 있어 옷의 자체 하중으로 인한 스트레스 발생으로 옷의 어깨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
종래에는 어깨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정장용 옷걸이와 같이 어깨부의 폭을 넓게 하면서 유선형을 이루도록 제작한 옷걸이를 많이 사용해 왔으나, 이 경우 옷걸이의 넓어진 어깨 부분으로 인해 옷을 걸었을 때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옷장이나 벽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많은 옷을 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프링을 통한 옷의 하중 흡수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회전가능한 어깨패드를 갖춤으로써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어깨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옷을 걸었을 때 전체적인 부피를 작아지도록 하여 옷장이나 벽면에 보다 많은 옷을 걸 수 있게 되는 옷걸이의 제공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크부와,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대를 가지며,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어깨패드 구조물이 일체로 구비되되, 어깨패드 구조물은,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어깨패드,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면 또는 상기 어깨패드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 및 고정자와 어깨패드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자를 포함하고, 이 작동자는 적어도 양 방향에 대하여 상하 회전이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는 상기 작동자가 걸림상태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며, 작동자는 상기 고정자 내에서 회전을 위해 하부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소정 깊이의 요부를 갖는 수용체로 이루어지되, 작동자의 회전 동작을 위해 고정자의 끼움홈 주변은 측방향으로 트임된 구조를 갖는다.
작동자의 수용체 내부와 어깨패드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돌기는 걸림구멍을 갖추어 이들 걸림구멍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걸림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어깨패드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작동자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어깨패드는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하여 걸이대의 양 끝단에서 옷의 어깨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나 쿠션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이 탄성체 또는 쿠션재로 코팅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옷걸이는 스프링을 통해 옷의 하중을 흡수하여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어깨패드와 함께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동자가 옷걸이와 어깨패드를 연결하는 작동자가 회전하게 구성되어 있어 옷의 무게 분포에 따른 쏠림현상에 대해 이를 수용 완충하면서 적절하게 회전하여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옷걸이는 옷의 어깨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는 소재를 이용하여서도 어깨부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옷을 걸었을 때 전체적인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옷장이나 벽면에 보다 많은 옷을 걸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양호한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옷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옷걸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옷걸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옷걸이의 어깨패드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어깨패드 구조물의 부분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어깨패드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어깨패드 구조물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옷걸이에서 어깨패드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옷걸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형상은 통상의 벽걸이형 옷걸이와 같이 후크부(1)와, 이 후크부의 아래에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대(2)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징적인 구성으로, 옷걸이는 걸이대의 양 끝단에 각각 소정 형상의 어깨패드(3)가 구비된다. 이러한 어깨패드(3)는 걸이대(2)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특히 걸이대(2)의 양 끝단에서 옷의 어깨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깨패드(3)를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나 쿠션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 한 예로, 어깨패드 자체를 실리콘이나 러버(rubber)재로 제작하거나 패드 표면에 실리콘이나 러버재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깨패드(3)는 옷의 어깨부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추 표면을 유선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어깨패드(3)의 외형을 바둑알 형태의 정원 구조로 하거나 아니면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깨패드(3)는 실리콘이나 러버 등의 탄성재만으로는 옷의 어깨부의 변형을 방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소정의 탄력수단에 의해 어깨패드가 지지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깨패드(3)는 옷의 무게 분포에 따른 쏠림현상에 대해 이를 수용 완충하면서 하중의 쏠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옷걸이는 옷의 어깨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옷걸이에서 걸이대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는 어깨패드 구조물의 실시 형태와 그의 조립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옷걸이의 어깨패드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어깨패드 구조물의 부분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어깨패드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어깨패드 구조물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옷걸이에서 어깨패드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어깨패드 구조물(10)은 옷걸이 걸이대(2)의 양 단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자(20)와, 이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자(30), 이 작동자의 상부에 설치되는 어깨패드(3)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깨패드(3)는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하도록 소정 재질의 탄성재 또는 탄성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어깨패드(3)는 자체적으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거나 표면을 실리콘 코팅하는 것 외에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자(20)는 작동자(30)가 걸림상태로 끼워지는 끼움홈(21)을 가지며, 끼움홈(21) 주변은 작동자(30)의 회전을 위해 측방향으로 트임된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작동자(30)는 고정자(20)) 내에서 회전을 위해 하부가 구 형상(이하 ‘구체(求體)’라 함;31)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스프링(40)이 삽입되는 소정 깊이의 요부(33)를 갖는 수용체(32)로 이루어진다.
고정자(20)의 끼움홈(21)에 작동자(30)의 구체(31)가 끼워진 상태에서 어깨패드(3)와 작동자(30)의 연결은 스프링(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프링(40)이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하면서 어깨패드(3)와 작동자(30)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작동자(30)의 수용체(32) 내부와 어깨패드(3)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돌기(34)(5)를 형성하고, 이들 고정돌기에 걸림구멍(34a)(6)을 형성하여 이 걸림구멍에 스프링(40)의 양단을 각각 끼워넣어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스프링은 어깨패드를 탄력 지지하며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자와 어깨패드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한편, 어깨패드(3)는 스프링(40)을 통해 작동자(30)와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따른 상하 동작 및 스프링 수축시 작동자(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소정 크기의 요홈(4)을 갖는 구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옷걸이는 스프링을 통해 옷의 하중을 흡수하여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어깨패드와 함께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동자가 옷걸이와 어깨패드를 연결하는 작동자가 회전하게 구성되어 있어 옷의 무게 분포에 따른 쏠림현상에 대해 이를 수용 완충하면서 적절하게 회전하여 옷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옷걸이는 옷의 어깨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어깨패드 구조물은 자체 탄성을 갖는 어깨패드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하중 및 충격 흡수 기능, 그리고 고정자 및 작동자를 이용한 회전성을 함께 제공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고정자의 위치를 어깨패드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은 물론, 고정자와 작동자의 형상 및 이들 간에 결합 형태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7)

  1. 후크부와,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대를 가지며,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어깨패드 구조물이 일체로 구비되되,
    어깨패드 구조물은,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어깨패드, 상기 걸이대의 양 끝단 상면 또는 상기 어깨패드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어깨패드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작동자가 걸림상태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며,
    상기 작동자는 상기 고정자 내에서 회전을 위해 하부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소정 깊이의 요부를 갖는 수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자는 적어도 양 방향에 대하여 상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자는 상기 작동자의 회전 동작을 위해 끼움홈 주변이 측방향으로 트임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자의 수용체 내부와 어깨패드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돌기는 걸림구멍을 갖추어 이들 걸림구멍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어깨패드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작동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 5항에 있어서,
    어깨패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른 상하 동작 및 스프링 수축시 작동자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소정 크기의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 1항에 있어서,
    어깨패드는 옷의 하중에 따른 힘을 흡수하여 걸이대의 양 끝단에서 옷의 어깨부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나 쿠션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이 탄성체 또는 쿠션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1020110109793A 2011-10-26 2011-10-26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KR10134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93A KR101342680B1 (ko) 2011-10-26 2011-10-26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93A KR101342680B1 (ko) 2011-10-26 2011-10-26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33A KR20130045533A (ko) 2013-05-06
KR101342680B1 true KR101342680B1 (ko) 2013-12-20

Family

ID=4865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793A KR101342680B1 (ko) 2011-10-26 2011-10-26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66Y1 (ko) 2014-12-24 2016-10-14 최종원 어깨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 옷걸이
KR20190044463A (ko) 2017-10-20 2019-04-30 임규현 어깨 패드가 구비된 접이식 옷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12Y1 (ko) 2001-03-03 2001-09-26 황세주 옷걸이
KR200340587Y1 (ko) * 2003-10-27 2004-02-05 강희선 옷걸이용 주름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12Y1 (ko) 2001-03-03 2001-09-26 황세주 옷걸이
KR200340587Y1 (ko) * 2003-10-27 2004-02-05 강희선 옷걸이용 주름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33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013B2 (en) Foldable hangers
US7703735B2 (en) Hanger system
US9618032B2 (en) Vacuum absorber
ES2795695T3 (es) Colgador de tubería
SE538395C2 (en) Holder for objects
CA2677693A1 (en) Fastening element
KR101342680B1 (ko) 어깨패드를 갖는 옷걸이
JP2015077966A (ja) 細長いアームを有する片持ち梁式車輪ブラケットを用いた鞄物品
KR200467857Y1 (ko) 휴대용 옷걸이
US20170303477A1 (en) Hanging planter with obscured attachment point
KR101248178B1 (ko) 가방 걸이대
CN208740598U (zh) 一种可拆卸式挂钩组件
KR20130097910A (ko) 벽면부착식 옷걸이
KR101075564B1 (ko) 옷걸이
JP3179397U (ja) ハンガー
US20090078842A1 (en) Hanging Basket
KR101530214B1 (ko) 접이식 옷걸이
KR200389170Y1 (ko) 캐비넷 옷걸이봉 지지구
US7404503B1 (en) Compact clothes hanger
KR200469712Y1 (ko)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CN210916697U (zh) 一种新型晾衣杆
JP3223965U (ja) ナスカン
JP3181552U (ja) 掛け具
KR200496493Y1 (ko)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CN209528823U (zh) 一种新型便携3c数码产品墙面置物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