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03Y1 -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 Google Patents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03Y1
KR200469503Y1 KR2020120001457U KR20120001457U KR200469503Y1 KR 200469503 Y1 KR200469503 Y1 KR 200469503Y1 KR 2020120001457 U KR2020120001457 U KR 2020120001457U KR 20120001457 U KR20120001457 U KR 20120001457U KR 200469503 Y1 KR200469503 Y1 KR 200469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clined member
scaffold
us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222U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2020120001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0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는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의하면,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가 받침 부재, 경사 부재 및 한 쌍의 발판 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한 쌍의 발판 부재를 밟고 올라선 사용자가 단순히 제자리 걸음과 같은 운동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발판 부재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등산을 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양 다리가 벌어졌다가 교차하여 다시 벌어지는 등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변화가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운동 효과가 커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Slope moving stepping health apparatus}
본 고안은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테핑 헬쓰 기구는 사용자가 양 발을 올려놓고 걷듯이 발로 밟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스테핑 헬쓰 기구의 일종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9-0007790, 고안의 명칭: 스테퍼 운동기구 등에서 제시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밟게 되는 페달이 일정한 지점에서 상하로 승강 운동을 하는데 그쳐서, 사용자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느낌만 가지게 되어 지루하게 되고, 운동 효과도 크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변화가 커질 수 있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는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의하면,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가 받침 부재, 경사 부재 및 한 쌍의 발판 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한 쌍의 발판 부재를 밟고 올라선 사용자가 단순히 제자리 걸음과 같은 운동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발판 부재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등산을 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양 다리가 벌어졌다가 교차하여 다시 벌어지는 등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변화가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운동 효과가 커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손잡이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연동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발판 부재와 레일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발판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손잡이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연동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발판 부재와 레일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는 받침 부재(110)와, 경사 부재(120)와,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는 손잡이 부재(180)와, 연동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 부재(110)는 실내 공간의 바닥 등의 설치면 상에 놓이는 것으로, 상기 설치면과 접하는 베이스 패널(111)과, 상기 베이스 패널(111)에 힌지(113)에 의해 결합되는 세움 패널(114)과, 상기 세움 패널(114)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 부재(180)가 연결될 수 있는 연장 패널(116)과, 상기 세움 패널(114) 상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 부재(120)의 일 측부가 걸쳐질 수 있는 세움 패널측 걸림부(115)와, 상기 베이스 패널(1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 부재(120)의 타 측부가 걸릴 수 있는 베이스 패널측 걸림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세움 패널측 걸림부(115)와 상기 베이스 패널측 걸림부(112)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그 다단 중 하나에 상기 경사 부재(120)의 각 측부가 각각 걸림으로써, 상기 받침 부재(110)와 상기 경사 부재(120)의 연결 지점이 가변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1)에 대한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가 가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의 운동 저항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11)과 상기 세움 패널(114)은 상기 힌지(113)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접힐 수 있고, 상기 경사 부재(120)는 상기 받침 부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경사 부재(120)는 상기 받침 부재(11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받침 부재(110)는 접힌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경사 부재(120)는 상기 받침 부재(110)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것이다.
상기 경사 부재(120)의 상단 패널에는 상기 경사 부재(120)가 상기 받침 부재(110) 상에 걸쳐지는 방향, 즉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경사지게 승강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관통 홀(121, 122)이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 홀(121, 122)을 통해 상기 각 발판 부재(130, 150)의 각 연결 부재(140, 160)가 관통되어 상기 각 발판 부재(130, 150)가 상기 각 관통 홀(121, 122)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부재(120)에는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의 승강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승강 스토퍼(125)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의 승강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스토퍼(125)가 상기 경사 부재(120) 상에서 가변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 부재(120)의 상단 패널 상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쌍의 결합 홈(123)이 형성되고, 복수 쌍의 상기 결합 홈(123) 중 어느 하나의 쌍에 상기 승강 스토퍼(125)가 볼트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각 관통 홀(121, 122)을 가로지를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 홈(123) 중 어느 결합 홈(123)에 상기 승강 스토퍼(125)가 결합되는지에 따라 상기 각 관통 홀(121, 122)의 가로질러지는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의 승강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인의 체력 등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의 승강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는 상기 받침 부재(110)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120)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양 발이 각각 올려지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의 하측으로는 각각 상기 연결 부재(140, 160)가 상기 각 관통 홀(121, 122)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각 연결 부재(140, 160)의 하부에는 롤러(145)가 롤러 축(1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경사 부재(120) 내에는 상기 각 관통 홀(121, 122)과 대응되도록 상기 롤러(145)가 이동될 수 있는 레일(126, 128)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롤러(145)가 상기 레일(126, 128)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매끄럽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롤러(145)가 상기 레일(126, 128)을 따라 이동 시에 상기 롤러(145)가 상기 레일(126, 128)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레일(126, 128)은 상기 롤러(145)를 감싸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연동 부재(190)는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 중 어느 하나가 상승되면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 중 다른 하나는 하강되고,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 중 어느 하나가 하강되면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 중 다른 하나는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연동 부재(190)가 상기 경사 부재(120) 내부에서 상기 각 레일(126, 128)의 각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풀리(191), 제 2 풀리(194), 제 3 풀리(192) 및 제 4 풀리(193)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풀리(191), 제 2 풀리(194), 제 3 풀리(192) 및 제 4 풀리(193)는 로프(195)에 의해 둘러지며, 상기 로프(195) 중 상기 제 1 풀리(191)와 상기 제 2 풀리(194) 사이의 부분에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140, 160) 중 하나의 연결 부재(140)가 연결되고, 상기 로프(195) 중 상기 제 3 풀리(192)와 상기 제 4 풀리(193) 사이의 부분에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140, 160) 중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160)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하나의 연결 부재(140)와 연결된 상기 발판 부재(130)를 사용자가 힘주어 밟으면, 상기 발판 부재(130)가 하강되면서, 상기 로프(195)도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로프(195)에 연결된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160) 및 그와 연결된 상기 발판 부재(150)도 당겨져서 상승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승된 상기 발판 부재(150)를 사용자가 힘주어 밟으면, 상기 발판 부재(150)가 하강됨과 함께 하강되었던 상기 발판 부재(130)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동 부재(190)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경사 부재(120) 상에서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므로,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부재(190)로 풀리 및 로프 등의 구성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체인 및 체인기어 등의 다른 다양한 구성이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 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에 올라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180)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부재(180)는 상기 연장 패널(116) 상에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 케이스(181)와, 상기 손잡이 부재 케이스(181) 내부를 구획하는 제 1 구획 패널(182) 및 제 2 구획 패널(184)과, 상기 손잡이 부재 케이스(181), 상기 제 1 구획 패널(182) 및 상기 제 2 구획 패널(18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사용자가 직접 양 말단부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170)와, 상기 손잡이(17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획 패널(182)에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183)와, 상기 제 2 구획 패널(184)에서 상기 손잡이(170)의 주변을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 홈(185)과, 상기 손잡이(170)에서 돌출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 홈(185) 중 어느 하나의 연결 홈(185)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돌기(171)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기 연결 돌기(171)가 상기 연결 홈(185)에서 이탈될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연결 돌기(171)가 상기 연결 홈(185)에서 이탈되고, 그에 따라 상기 손잡이(17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170)가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즉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70)를 잡기에 편한 각도로 회전된 다음,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7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체(183)에 의해 상기 손잡이(17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돌기(171)가 이탈되도록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170)가 이동된다.
이 때, 복수 개의 상기 연결 홈(185) 중 상기 손잡이(170)가 회전되어 새로 상기 연결 돌기(171)와 대면된 연결 홈(185)에 상기 연결 돌기(171)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손잡이(170)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180)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동 강도 변화 등을 위해 상기 경사 부재(120)의 경사도를 변경하여도, 상기 손잡이 부재(180)의 기울기도 상기 손잡이 부재(180)를 잡기 편한 각도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경사 부재(120)를 원하는 운동 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받침 부재(110) 상에 원하는 기울기로 연결한 다음,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에 각각 양 발을 올려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 중 상승된 상태의 발판 부재(130)를 발로 밟으면, 발로 밟히는 상기 발판 부재(130)는 하강되고, 그와 함께 상기 연동 부재(190)에 의해 연결된 하강된 상태의 다른 발판 부재(150)는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승된 상태였던 상기 발판 부재(130)에 올려진 발은 하강되고, 하강된 상태였던 상기 발판 부재(150)에 올려진 발은 상승되므로, 사용자의 양 다리가 서로 교차되어 역전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상승된 상태의 발판 부재(150)를 발로 밟음으로써 위와 같은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100)가 상기 받침 부재(110), 상기 경사 부재(120) 및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를 밟고 올라선 사용자가 단순히 제자리 걸음과 같은 운동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130, 150)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등산을 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양 다리가 벌어졌다가 교차하여 다시 벌어지는 등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변화가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운동 효과가 커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를 구성하는 발판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 부재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발판 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발판 부재 중 하나의 발판 부재(230)를 가지고 설명하면, 상기 발판 부재(230)의 하단에서는 하방으로 발판 부재측 연결부(232)가 돌출되고, 연결 부재(240) 내부는 빈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240) 내부에 상기 발판 부재측 연결부(23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발판 부재측 연결부(232)는 상기 연결 부재(240)에 발판 부재 회전축(2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발판 부재측 연결부(232)에는 상기 발판 부재 회전축(233)의 주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 개의 관통 홀(234)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 부재(230)가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즉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가 운동 강도 변화 등을 위해 변경되었을 때 상기 발판 부재(230)가 사용자가 발로 밟기 편한 각도가 되도록, 상기 발판 부재(23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발판 부재(230)에서 복수 개의 상기 관통 홀(234) 중 어느 하나의 관통 홀(234)이 상기 연결 부재(232)에 형성된 단수 개의 관통 홀(미도시)을 관통한 고정 핀(242)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상기 발판 부재(230)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스테핑 헬쓰 기구에 비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변화가 커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받침 부재 120 : 경사 부재
130, 150 : 발판 부재 140, 160 : 연결 부재
180 : 손잡이 부재 190 : 연동 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의 승강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승강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의 승강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스토퍼가 상기 경사 부재 상에서 가변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4.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와 상기 경사 부재의 연결 지점이 가변되어,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5.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경사 부재는 상기 받침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받침 부재는 접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6.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에 올라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7.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의 하부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 부재 내에는 상기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시에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레일은 상기 롤러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8. 설치면 상에 놓이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도록 걸쳐지는 경사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 경사지게 걸쳐진 상기 경사 부재를 따라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는 한 쌍의 발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부재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발판 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KR2020120001457U 2012-02-24 2012-02-24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KR200469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57U KR200469503Y1 (ko) 2012-02-24 2012-02-24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57U KR200469503Y1 (ko) 2012-02-24 2012-02-24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22U KR20130005222U (ko) 2013-09-03
KR200469503Y1 true KR200469503Y1 (ko) 2013-10-16

Family

ID=5073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457U KR200469503Y1 (ko) 2012-02-24 2012-02-24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257Y1 (ko) 2014-11-05 2016-09-05 임선섭 다층작물재배장치
WO2019026022A1 (en) * 2017-08-03 2019-02-07 Kherde Atul Madhusudan DEVICE FOR PASSIVELY EXERCISING THE LEG OF A MAN
KR102041753B1 (ko) * 2019-04-26 2019-11-27 나원주 경사를 이용한 다리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939A (ko) * 2001-08-23 2003-03-03 전위성 하체운동기구
JP2007097932A (ja) 2005-10-06 2007-04-19 Chiken Kk トレーニング装置
JP3158809U (ja) 2009-12-11 2010-04-2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足踏式運動具
JP3167863U (ja) 2011-03-03 2011-05-19 秀雄 島崎 足踏み健康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939A (ko) * 2001-08-23 2003-03-03 전위성 하체운동기구
JP2007097932A (ja) 2005-10-06 2007-04-19 Chiken Kk トレーニング装置
JP3158809U (ja) 2009-12-11 2010-04-2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足踏式運動具
JP3167863U (ja) 2011-03-03 2011-05-19 秀雄 島崎 足踏み健康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22U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874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vertically storable exercise machine
US9352185B2 (en) Exercise device with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20190255377A1 (en) Pilates Exercise Machine
TWI766047B (zh) 可儲藏式的健身椅
EP2608852B1 (en) Collapsible inclin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6964103B (zh) 包括可调节支撑平台的锻炼装置
US7850578B2 (en) Exercise device
US9109394B2 (en) Adjustable ladder support mechanism
KR200469503Y1 (ko) 경사 이동 스테핑 헬쓰 기구
WO2012125211A1 (en) Improved exercise table
US7195102B2 (en) Telescopic stool
WO2016149707A1 (en) Mobility device
AU2016221488B2 (en) Space-saving exercise equipment
KR100977715B1 (ko) 작업대
US5860490A (en) Monopole ladder
US9259656B2 (en) Inflatable recreation devices
US7490617B2 (en) Step extending apparatus
KR101825309B1 (ko) 버티컬스테퍼 운동기구
CN207970350U (zh) 高楼逃生装置
KR100867117B1 (ko) 다용도 헬스기구
KR200412243Y1 (ko) 사다리
CN110130822A (zh) 一种自移式建筑用装置
KR101416968B1 (ko) 트램펄린 및 이를 이용한 점프 운동구
KR200445447Y1 (ko) 슬링 록
EP3630309A1 (en) Gymnastic/sports/physiotherap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