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36Y1 -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36Y1
KR200469136Y1 KR2020110011649U KR20110011649U KR200469136Y1 KR 200469136 Y1 KR200469136 Y1 KR 200469136Y1 KR 2020110011649 U KR2020110011649 U KR 2020110011649U KR 20110011649 U KR20110011649 U KR 20110011649U KR 200469136 Y1 KR200469136 Y1 KR 200469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unit
supply
hopp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33U (ko
Inventor
박충용
이광현
김대근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3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23K35/406Filled tubular wire 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럭스가 저장된 플럭스 호퍼;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U형 강재외피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부;및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 공급시 유실되는 플럭스를 포집하는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플럭스가 유입되는 U형 강재외피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상기 U형 강재외피로 낙하시 플럭스 공급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플럭스 흡입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 사이에 배치된 플럭스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 공급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일정한 폭으로 일정량씩 적재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U형 강재외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플럭스가 낙하하여 충전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럭스 흡입부는, 상기 플럭스 공급부와 U형 강재외피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지점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추가플럭스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플럭스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유입된 플럭스가 자중에 의해서 흡입력 발생부의 하부로 낙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플럭스 분리부에서 분리된 플럭스를 배출하는 플럭스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배출부는 상기 플럭스 분리부의 하면에서 제 3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제 3 연결부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DEVICE FOR FILLING FLUX INTO FLUX CORED WIRE}
본 고안은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시에 플럭스의 일부가 강재외피에 충전되지 못하고,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플럭스 손실로 인한 불필요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막을 수 있고, 작업장 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띠형상의 강재 외피를 ∪형으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고, 이를 다시 O형의 관으로 성형한 후, 소정의 직경으로 신선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상기 강재 외피의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168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피더(미도시)를 이용하는 방법과, 미국특허 3688376호의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디스크 (미도시)혹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플럭스를 강재 외피내로 낙하시켜 충전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스크류 피더를 이용하는 방법은, O형으로 성형된 강재외피 내부까지 연장된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플럭스를 밀어내어 일정량만큼의 플럭스를 외피내에 충전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O형으로 성형된 강재외피 내부에서 플럭스를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시에 플럭스가 외피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제조장비가 복잡하고 민감하여 고속충전작업에는 맞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고속 대용량의 플럭스 충전작업에 적합하도록, 도 1a 과 같이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플럭스를 충전하는 컨베이어형 플럭스 충전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 역시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117)의 일부가 ∪형의 강재외피(110) 내부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외피(110) 밖으로 유실되는 유실 플럭스(117a)가 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렇게 유실되는 플럭스가 발생되면, 그 유실 플럭스(117a)들은 별도로 수거하여 산업 폐기물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실 플럭스(117a)로 인하여 플럭스의 손실 문제가 발생되며, 작업환경 및 설비 청결 유지가 어려워지며, 나아가 산업 폐기물의 처리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재외피의 외부로 유실되는 플럭스를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으로 수집하여 플럭스 호퍼로 재공급함으로써, 플럭스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럭스 손실 및 그의 처리로 인한 불필요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막을 수 있고, 작업장 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플럭스가 저장된 플럭스 호퍼;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U형 강재외피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부;및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 공급시 유실되는 플럭스를 포집하는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플럭스가 유입되는 U형 강재외피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상기 U형 강재외피로 낙하시 플럭스 공급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플럭스 흡입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 사이에 배치된 플럭스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 공급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일정한 폭으로 일정량씩 적재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U형 강재외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플럭스가 낙하하여 충전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럭스 흡입부는, 상기 플럭스 공급부와 U형 강재외피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지점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추가플럭스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플럭스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유입된 플럭스가 자중에 의해서 흡입력 발생부의 하부로 낙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플럭스 분리부에서 분리된 플럭스를 배출하는 플럭스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배출부는 상기 플럭스 분리부의 하면에서 제 3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제 3 연결부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플럭스 배출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플럭스 배출부가 분리된 플럭스를 플럭스 호퍼에 공급하도록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강재외피의 내부로 낙하하여 충전되는 플럭스를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으로 수집하여 플럭스 호퍼로 재공급함으로써, 플럭스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럭스 손실 및 그의 처리로 인한 불필요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막을 수 있고, 작업장 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종래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b 는 도 1a 의 플럭스 충전장치에서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할 때 유실 플럭스가 발생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a 은 본 고안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고안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3a 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플럭스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3b 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플럭스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4c 는 도 4a의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의 플럭스 분리부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 플럭스 충전장치의 개략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에는 본 고안 플럭스 충전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띠형상의 강재 외피를 성형롤러(105)로 통과시켜 U형으로 연속성형하고, 플럭스 호퍼(115)로부터 공급된 플럭스(117)를 플럭스 피더(120)의 게이트 밸브(125)로 통과시켜 대략 60mm내외의 폭으로 일정량씩 배출하여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는 그 단부의 하측에 배치된 U형 단면의 강재외피(110) 내부로 플럭스(117)를 낙하시켜 충전한다. 그 후에 플럭스(117)가 충전된 강재외피(110)는 다시 성형롤러(105)에 의해 성형되어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와이어(100)가 된다.
본 고안에서 U형 단면의 강재외피(110) 내부로 플럭스(117)를 낙하시킬 때, 유실 플럭스(117a)가 발생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이러한 유실 플럭스(117a; 도 1a 참고)를 포집하기 위하여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20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유출 플럭스 수집수단(20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플럭스(117)가 유입되는 U형 강재외피(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럭스 흡입부(240)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240)에 제 2 연결관(241), 플럭스 분리부(220) 및 제 1 연결관(211)을 통하여 연결되며 유실 플럭스(117a)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210)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210)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240) 사이에 배치된 플럭스 분리부(220)를 포함한다.
한편, 플럭스 분리부(220)는 플럭스 흡입부(240)에 의해서 흡입된 유실 플럭스를 공기로부터 분리하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200)은 여기서 분리된 플럭스(117)를 배출하도록 플럭스 배출부(250)를 포함한다. 플럭스 배출부(250)는 플럭스 분리부(220)에 제 3 연결관(231)을 통하여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플럭스 흡입부(240)는 흡입력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컨베이어 벨트(130)에서 U형 강재외피(110)로 낙하하는 플럭스(117)에서 유실되는 유실 플럭스(117a)를 빨아들인다. 흡입력 발생부(210)는 진공 발생기와 같은 공기 흡입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플럭스 흡입부(240)는 공기와 함께 플럭스(117)를 흡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흡입력 발생부(210)는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되는 플럭스(117)의 비중이나 플럭스 미분의 비산량을 고려하여 흡입력을 변경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럭스 흡입부(240)에서 흡입한 공기 및 플럭스는 제 2 연결관(241)을 타고 플럭스 분리부(220)로 유입된다. 플럭스 분리부(220)에서는 플럭스 흡입부(24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및 플럭스에서 플럭스(117)는 플럭스 배출부(250)로, 공기는 제 1 연결관(211)을 통하여 흡입력 발생부(210)로 내보낸다. 플럭스 분리부(22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는 도 4a ~ c 에서 다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플럭스 분리부(220)는 플럭스 호퍼(11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플럭스 분리부(220)에서 분리된 플럭스(117)가 자중에 의해서 다시 플럭스 호퍼(115)로 유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이에 제한됨 없이 소정량의 플럭스(117)가 플럭스 분리부(220)에 모이면 작업자가 이를 다시 플럭스 호퍼(115)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의 실시예에서 플럭스 흡입부(240)는 컨베이어 벨트(130)와 U형 강재외피(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나, 본 고안에서는 그 외에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단에도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 3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 는 도 3a 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띠형상의 강재 외피를 성형롤러(105)에 통과시켜 U형으로 연속성형하고, 플럭스 호퍼(115)로부터 공급된 플럭스(117)를 플럭스 피더(120)의 게이트 밸브(125)로 통과시켜 일정량씩 배출하여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는 그 단부의 하측에 배치된 U형 단면의 강재외피(110) 내부로 플럭스(117)를 낙하시켜 충전한다. 그 후에 플럭스(117)가 충전된 강재외피(110)는 다시 성형롤러(105)에 의해 성형되어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와이어(100)가 된다.
플럭스(117)가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낙하하는 지점 하방에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가, 컨베이어 벨트(130)에서 U형 강재외피(110) 건너편에는 플럭스 흡입부(240)가 배치되며, 플럭스(117)의 낙하로 인하여 외부로 유실되는 유실 플럭스(117a; 도 1a 참고)를 플럭스 흡입부(240)와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로 수집한다. 플럭스 흡입부(240), 플럭스 분리부(220), 흡입력 발생부(210)의 구성은 도 3a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는 추가 연결관(243)을 통하여 플럭스 분리부(220)에 연결되어, 플럭스 분리부(220)에서 플럭스(117)와 공기가 분리된다.
도 4a 내지 도 4c 에는 본 고안의 플럭스 분리부(2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에는 도 3a 에 도시된 본 고안의 플럭스 분리부(2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 에는 도 3b 에 도시된 본 고안의 플럭스 분리부(2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c 에는 도 4a 에 도시된 본 고안의 플럭스 분리부(220)의 변형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의 상기 플럭스 분리부(220)는 원통형의 케이스(221)를 포함하며, 케이스(221)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21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25), 상기 플럭스 흡입부(240)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23)를 포함하며, 제 2 연결부(223)는 상기 제 1 연결부(225)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223)를 통하여 유입된 플럭스가 자중에 의해서 플럭스 분리부(220)의 하부로 낙하하게 한다.
또한, 플럭스 분리부(220)의 하면에는 플럭스 배출부(250)와 연결되는 제 3 연결부(224)가 배치되며, 제 3 연결부(224)를 둘러싸고 테이퍼지는 경사면(222)이 배치되어, 케이스(221)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서 낙하하는 플럭스(117)는 경사면(222)을 타고 제 3 연결부(224)에 연결된 제 3 연결관(231)을 통하여 플럭스 배출부(250)로 배출된다.
도 4b 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b 는 도 3b 에 장착된 플럭스 분리부(220)의 단면도이다. 도 3b 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방에 배치된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를 포함하므로, 도 4b 의 플럭스 분리부(220)는 상기 추가 플럭스 흡입부(242)와 연결되는 추가 연결부(226)를 포함하며, 이 추가 연결부(226)는 제 2 연결부(223)와 동일 높이로 제 2 연결부(223)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또한, 도 4b 의 플럭스 분리부(220)에서는 큰 입자의 플럭스(117)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흡입력 발생부(21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25)를 커버하는 필터(229)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필터(229)는 큰 입자의 플럭스(117)가 공기와 함께 흡입력 발생부(210)로 흡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도 4c 에는 도 4a의 플럭스 분리부(22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c 에서는 플럭스 분리부(220)와 다른 구성 간의 연결관계는 도 4a와 동일하나, 도 4a와는 달리 경사면(222) 상부에서 경사면(222)을 향하여 경사진 보조 경사면(227)을 더 포함한다.
플럭스 분리부(220)의 내부에서 플럭스(117)는 일차적으로 보조 경사면(227)으로 낙하하며, 보조 경사면(227)을 따라서, 내려오는 플럭스(117)는 경사면(222)으로 낙하하며, 경사면(222)을 따라서 제 3 연결부(224) 및 제 3 연결관(231)으로 흘러 내려간다.
도 4c 의 실시예에서, 보조 경사면(227)과 케이스(221) 사이의 공간(228)은 제 2 연결부(223)에 비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흡입력 발생부(210)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공간(228)이 아닌 제 2 연결부(223)에 더 크게 작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를 투입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방식을 통하여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115: 플럭스 호퍼 117: 플럭스
120: 플럭스 피더 125: 게이트 밸브
130: 컨베이어 벨트 200: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
210: 흡입력 발생부 211: 제 1 연결관
220: 플럭스 분리부 221: 케이스
222: 경사면 223: 제 2 연결부
224: 제 3 연결부 225: 제 1 연결부
226: 추가 연결부 227: 보조 경사면
228: 공간 229: 필터
240: 플럭스 흡입부 241: 제 2 연결관
242: 추가 플럭스 흡입부 243; 추가 연결관
250: 플럭스 배출부

Claims (7)

  1. 플럭스가 저장된 플럭스 호퍼;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U형 강재외피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부;및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U형 강재외피에 플럭스 공급시 유실되는 플럭스를 포집하는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플럭스가 유입되는 U형 강재외피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부에서 상기 U형 강재외피로 낙하시 플럭스 공급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플럭스 흡입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상기 플럭스 흡입부 사이에 배치된 플럭스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 공급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럭스 호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를 일정한 폭으로 일정량씩 적재시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U형 강재외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플럭스가 낙하하여 충전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럭스 흡입부는,
    상기 플럭스 공급부와 U형 강재외피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지점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플럭스 공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플럭스를 즉시 포집하는 추가플럭스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플럭스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유입된 플럭스가 자중에 의해서 흡입력 발생부의 하부로 낙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실 플럭스 수집수단은, 플럭스 분리부에서 분리된 플럭스를 배출하는 플럭스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 배출부는 상기 플럭스 분리부의 하면에서 제 3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제 3 연결부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배출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플럭스 배출부가 분리된 플럭스를 플럭스 호퍼에 공급하도록 상기 플럭스 분리부는 상기 플럭스 호퍼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충전 장치.
KR2020110011649U 2011-12-28 2011-12-28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KR200469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49U KR200469136Y1 (ko) 2011-12-28 2011-12-28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49U KR200469136Y1 (ko) 2011-12-28 2011-12-28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33U KR20130004133U (ko) 2013-07-08
KR200469136Y1 true KR200469136Y1 (ko) 2013-09-25

Family

ID=5073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649U KR200469136Y1 (ko) 2011-12-28 2011-12-28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3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16A (ko) * 1980-02-09 1983-05-18 다까하시 고오기찌 플럭스(flux)회수 공급장치
KR20010002951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공기 가압식 플럭스 자동 연속 공급/회수 장치
KR20050046894A (ko) * 2003-11-14 2005-05-1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16A (ko) * 1980-02-09 1983-05-18 다까하시 고오기찌 플럭스(flux)회수 공급장치
KR20010002951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공기 가압식 플럭스 자동 연속 공급/회수 장치
KR20050046894A (ko) * 2003-11-14 2005-05-1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플럭스 충전와이어의 플럭스 충전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33U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562B2 (en) Apparatus for contactless cleaning of a conveying element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of rod-shaped articles with an apparatus for contactless cleaning of a conveying element
JP6051217B2 (ja) たばこ産業の設備におけるばら物質をピックアップする装置、かかる装置のスクレーパ、及びばら物質を供給する方法
JP6586359B2 (ja) 灰排出システム
JP2009524012A (ja) 核燃料ペレットの選別および整列機構
JP2015513402A (ja) ロッド状要素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廃棄シガレットからたばこを回収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4275649A (zh) 喷丸硬化装置
TWI656947B (zh) 噴射加工裝置及噴射加工裝置列
CN108015007A (zh) 一种混合物磁选机
KR101213902B1 (ko) 용접용 플럭스 회수장치
JP2011139702A (ja) 煙草加工産業の振動コンベアポットにおける紙除去
KR200469136Y1 (ko)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 장치
KR101237095B1 (ko) 고철의 산화 녹 제거 장치
CN211253092U (zh) 一种水泥吨袋下料装置
KR101251226B1 (ko) 하역용 분진 비산방지장치
CN207208514U (zh) 一种生产质量高的饲料分装装置
KR101582827B1 (ko) 진공 흡입 이송 장치
CN212418318U (zh) 一种筛分自动收料装置
JP4884705B2 (ja) 焼結鉱の乾燥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01253493A (ja) 穀物サイロ内壁の付着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6594798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異物捕捉装置
CN116037285B (zh) 一种干粉灭火剂加工用干粉研磨设备及其研磨工艺
CN110449259B (zh) 脱泥设备及脱泥工艺
KR101218055B1 (ko) 점토화된 굴착토사에서 점토덩어리를 분리하는 장치
KR101880362B1 (ko) 파이프 쇼트기
CN214865196U (zh) 一种磨料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