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26Y1 -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26Y1
KR200469026Y1 KR2020120007141U KR20120007141U KR200469026Y1 KR 200469026 Y1 KR200469026 Y1 KR 200469026Y1 KR 2020120007141 U KR2020120007141 U KR 2020120007141U KR 20120007141 U KR20120007141 U KR 20120007141U KR 200469026 Y1 KR200469026 Y1 KR 200469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display
seats
destination
remain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석
황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남유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남유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남유니티
Priority to KR2020120007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Signs, boards or panels mounted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7Electroluminescent display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행선지 표시부와 잔여 좌석수 표시부로 구획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행선지 표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bar)형 엘이디 모듈과 결합되며 바형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행선지 표시부에 전달하여 전면으로 발광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행선지 표시를 위한 빛을 발생하여 도광판에 전달하는 바형 엘이디 모듈;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이용하여 행선지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판; 초기 버스의 총 좌석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잔여 좌석수 제어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표시부에 설치되어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잔여 좌석의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Destination displaying device for bus displaying the number of remaining seats}
본 고안은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여 좌석 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스 행선지 표시장치로서 다양한 형태의 고안이 공개되어 있으며, 하기 문헌 1에서와 같이, 시인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LED 소자와 도광판을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버스 행선지 표시장치는 행선지판과, 상기 행선지판의 하부면에 이격 배치되어 행선지판의 하부면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잔여 좌석수의 표시 장치로는 버스의 승차시 출입구에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승객의 승차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버스 내의 총 좌석수에서 승차한 승객의 수를 역산하여 잔여 좌석수을 표시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행선지 표시장치는 잔여 좌석수 표시 장치와 별도로 구성되어 버스 내 설치 장치의 수의 증가로 인한 불편함과 비용증가가 있었다. 또한, 잔여 좌석수 표시장치의 경우에도 설치되는 센서의 부정확성으로 인한 오차가 많았으며, 주로 하나의 목적지를 설정하여 운행하는 통근 버스나 직행버스의 경우 불필요하게 장치를 복잡하게 하며, 이러한 장치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잔여 좌석수 표시에 오차가 생기거나 이를 유지하기 위해 과다한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31081호("버스 행선지 표시장치" 2009년12월28일 공개)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18342호("버스의 승객수 표시장치" 2003년03월06일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용 잔여 좌석수 표시장치를 포함한 행선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잔여 좌석수 표시에 오차를 줄이고,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버스용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기존에 설치된 승객의 승차를 통제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를 활용하여 잔여 좌석수 표시에 활용함으로써, 잔여 좌석수 표시에 오차를 줄이고,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버스용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행선지 표시부와 잔여 좌석수 표시부로 구획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행선지 표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bar)형 엘이디 모듈과 결합되며 바형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행선지 표시부에 전달하여 전면으로 발광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행선지 표시를 위한 빛을 발생하여 도광판에 전달하는 바형 엘이디 모듈;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이용하여 행선지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판; 초기 버스의 총 좌석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잔여 좌석수 제어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표시부에 설치되어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잔여 좌석의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는 엘이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객이 승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접촉함에 따라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비접촉식 카드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로부터의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는 승객이 하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재 접촉함에 따라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로부터의 발생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더하여 더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는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에 전달하여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고정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고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된 승객의 승차를 통제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를 활용하여 잔여 좌석수 표시에 활용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잔여 좌석수 표시에 오차를 줄이고, 설치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버스용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차량의 여유 좌석을 전광판을 통해 표시하여 차량에 승차하는 탑승객이 좌석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 후 승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탑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의 메인 프레임과 주요구성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의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의 회로 배선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가 버스의 전면의 글라스에 설치된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본 고안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의 메인 프레임과 주요구성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행선지 표시부(110)와 잔여 좌석수 표시부(120)로 구획된 메인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각 구성부가 알루미늄 재질을 압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메인 프레임의 행선지 표시부(110)의 후면에는 도광판 (111)이 설치되어 있고, 도광판(111)의 일측에는 행선지 표시를 위한 빛을 발생하여 도광판에 전달하는 바(bar)형 엘이디 모듈(112)이 설치된다. 도광판 (111)은 엘이디 모듈로(112)부터 발생하는 빛을 행선지 표시부(110)에 전달하여 전면으로 발광시킨다.
행선지 표시판(미도시)는 도 1의 행선지 표지판 삽입홀(113)을 통하여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11)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이용하여 행선지를 표시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행선지 표시부(110)에는 전면에 투명 아크릴 재질의 투명판(114)을 메인 프레임에 결합 설치하여 행선지 표시판을 보호하고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투명 아크릴 재질의 투명판은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잔여 좌석수 표시부(120)의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 및/또는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122)의 전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표시부(120)는 잔여 좌석의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와,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는 버스의 잔여 좌석수를 숫자나 문자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버스의 외부에 표시하는 외부출력장치로서,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백라이트(Back Light)를 갖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야간 시인성이 높고 단순한 구조를 갖는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이디 모듈은 예를 들면 LED 램프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거나, 숫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7 세그먼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좌석 수를 디스플레이한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숫자 이외의 다양한 문자/기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7 세그먼트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기기의 구성이 단순해 지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7 세그먼트 형태로 구성한 경우 LED 램프 및 제어모듈의 회로 구성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주요 구성으로서 승객의 탑승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변동된 좌석수를 연산하여 변동된 좌석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를 제어하는 잔여 좌석수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도 3의 제어모듈의 형태로 구현된다. 입력되는 정보는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입력된다.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는 잔여 좌석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잔여 좌석수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초기 버스의 총 좌석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122)은,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숫자나 문자가 잔여 좌석의 수라는 것을 나타내는 "잔여 좌석"이라는 문구를 표기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도광판(111)이 상기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122)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엘이디 모듈(112)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122)에 전달하여 발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후면 조명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에는 고정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고리부(150)가 설치되어, 본 고안을 버스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결합 고리부(150)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고정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결합 장치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 고리부(150)는 버스의 전면 글라스와의 결합을 위한 글라스 결합부(151)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글라스 결합부(151)는 다양한 공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결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승 하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접촉함에 따라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접촉식 카드(미도시)는 예를 들어, RFID 태그를 내장한 교통카드, 출입카드, 보안카드 카드로서 내장된 안테나가 비접촉식 리더기(13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태그 내 IC칩이 기동하여 칩 안의 필요정보를 신호화하고, 내장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발송한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130)는 발송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탑승자 인증, 승차요금 처리 등 비접촉식 카드로부터의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본 고안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카드의 접촉함에 따라, 별도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여 잔여 좌석수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승객이 승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접촉함에 따라,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제1 전기적 신호)를 잔여 좌석수 제어부로 전송하고, 잔여 좌석수 제어부가 제1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의 LED 램프의 ON/OFF를 제어하여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승객이 하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접촉함에 따라, 별도의 전기적인 신호(제2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잔여 좌석수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잔여 좌석수 제어부가 제2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의 LED 램프의 ON/OFF를 제어하여 좌석수에서 1을 더하여 더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여, 승차뿐만 하니라 하차에 의한 잔여좌석의 변동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버스의 승하차 문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 버스의 양측 문에 별도의 비접촉식 카드 리더를 설치하여 승객의 승차 및 하차에 따른 잔여좌석의 변동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조작 스위치부(140)은 운전자가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를 조작할 있도록 기본적으로 전원 스위치, 잔여좌석 수 reset 스위치 등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작 스위치부(140)는 승객의 승차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제1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여 좌석수 제어부가 조작 스위치부(140)으로부터 제1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의 LED 램프의 ON/OFF를 제어하여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승객의 하차시 운전자의 조작 스위치부(140)의 별도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 스위치부(140)가 전기적인 신호(제2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잔여 좌석수 제어부가 제2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의 LED 램프의 ON/OFF를 제어하여 좌석수에서 1을 더하여 더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작 스위치부(14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 스위치, 잔여좌석 수 reset 스위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초기 잔여좌석의 설정(총 좌석수)이나 잔여좌석 수의 변경을 위한 별도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 내지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여 좌석수 제어부가 조작 스위치부(140)으로부터의 해당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121)의 LED 램프의 ON/OFF를 제어하여 설정된 초기 잔여좌석(총 좌석수)이나 변경된 잔여좌석 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가 버스의 전면 글라스의 하단부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버스의 전면 글라스의 하단부가 아니라, 버스 전면의 유리창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승객에게 잘 보이면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곳이라면 그 위치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110 : 행선지 표시부
111 : 도광판 112 : 바형 엘이디 모듈
113: 행선지 표지판 삽입홀 114: 투명판
120 : 잔여 좌석수 표시부 121 :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 장치
122 :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 130 : 비접촉식 카드 리더
140 : 스위치 부 150 : 결합 고리부
151 : 글라스 결합부

Claims (5)

  1. 버스의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행선지 표시부와 잔여 좌석수 표시부로 구획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행선지 표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엘이디 모듈과 결합되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행선지 표시부에 전달하여 전면으로 발광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행선지 표시를 위한 빛을 발생하여 도광판에 전달하는 바(bar)형 엘이디 모듈;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이용하여 행선지를 표시하는 행선지 표시판;
    초기 버스의 총 좌석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잔여좌석 제어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표시부에 설치되어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잔여 좌석의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는 엘이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승객이 승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접촉함에 따라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비접촉식 카드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로부터의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감하여 감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는 승객이 하차하면서 비접촉식 카드를 재 접촉함에 따라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필요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잔여 좌석수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 리더로부터의 발생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수에서 1을 더하여 더하여진 수를 잔여 좌석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잔여 좌석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는 잔여 좌석 문구표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잔여 좌석 문구 표시판에 전달하여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KR2020120007141U 2012-08-10 2012-08-10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KR200469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41U KR200469026Y1 (ko) 2012-08-10 2012-08-10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41U KR200469026Y1 (ko) 2012-08-10 2012-08-10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26Y1 true KR200469026Y1 (ko) 2013-09-12

Family

ID=5139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141U KR200469026Y1 (ko) 2012-08-10 2012-08-10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2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456A (ko) * 2003-12-18 2004-01-31 백두산 버스광고시스템
KR20060092775A (ko) * 2005-02-19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JP2011081244A (ja) * 2009-10-08 2011-04-21 Mitsuhisa Kobayashi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456A (ko) * 2003-12-18 2004-01-31 백두산 버스광고시스템
KR20060092775A (ko) * 2005-02-19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JP2011081244A (ja) * 2009-10-08 2011-04-21 Mitsuhisa Kobayashi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941B (zh) 车辆方向盘辅助模块
ES2838692T3 (es) Sistema de mando para un automóvil
JP6147530B2 (ja) 券媒体、及び改札機
KR101621891B1 (ko) 복지 카드를 이용한 승차 알림 서비스 장치, 승차 알림 차량단말 및 이를 이용한 승차 알림 시스템
US20180345791A1 (en) Vehicle display assembly
KR200469026Y1 (ko)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는 버스용 행선지 표시장치
KR20100004741U (ko) 광고판과 신호등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차단기
CN111399302A (zh) 用于交通运输工具的显示装置
KR101732091B1 (ko) Nfc 기능을 이용한 주차연락카드 장치
KR200451723Y1 (ko) 카드결제 모듈이 장착된 택시용 빈차등
JP2011081244A (ja)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RU2681457C1 (ru) Аппарат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езде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езде
JP2013241035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416621B1 (ko) 컨트롤러 내장형 무선송수신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led 표지판 시스템
CN211956732U (zh) 一种高速公路弯道诱导系统
KR200224006Y1 (ko) 자동차의 후방 표시장치
US20200086721A1 (en) Door Assembly for a Transit Vehicle
KR101654557B1 (ko) 버스 안내 표지판
WO2014209168A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KR20050111218A (ko) 택시 표시등
KR200305404Y1 (ko)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102635890B1 (ko)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82074A (ko) 주차 표시 장치
RU133785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KR10141901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