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35Y1 - 램 고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램 고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35Y1
KR200468735Y1 KR2020110004740U KR20110004740U KR200468735Y1 KR 200468735 Y1 KR200468735 Y1 KR 200468735Y1 KR 2020110004740 U KR2020110004740 U KR 2020110004740U KR 20110004740 U KR20110004740 U KR 20110004740U KR 200468735 Y1 KR200468735 Y1 KR 200468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fixing
position adjustment
support piece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19U (ko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3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램 고정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조정용 램이 안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거치부; 구조물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거치부의 하부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고정부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램 고정용 지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램 고정용 지그 {Supporting jig for ram device}
본 고안은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작업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조정용 램을 고정 지지하는 램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블록의 제작 및 탑재시에는 다양한 부재들을 용접으로 접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선박블록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중량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크레인 등을 통해 운반되며,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위치에 배치된 부재는 용접을 통해 다른 부재 또는 선박블록에 접합되게 된다. 다만, 크레인 등의 대형장비는 미세한 컨트롤이 어렵기 때문에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위치에 배치된 부재는 용접라인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소정정도 위치를 조정한 후 용접 접합하게 된다.
즉,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위치로 배치된 부재는 용접에 앞서 용접라인을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작업을 거치게 되며, 위치조정작업을 통해 각 부재간의 용접라인이 정렬되며 비로소 용접을 통해 접합되게 된다. 이때, 부재의 용접라인을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작업은 크레인의 컨트롤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용접라인을 확인하고 유압램 등(이하, '위지조정용 램'으로 지칭함)을 통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도 1은 종래 위치조정용 램(R)을 통한 위치조정작업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먼저 구조물(S) 및 부재(P)의 용접라인 정렬상태를 확인하고, 위치조정용 램(R)을 통해 용접라인이 정렬되지 않는 부위를 소정정도 밀어 용접라인을 정렬시키게 된다.
이때, 구조물(S)에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치조정용 램(R)을 지탱할 수 있도록 임시로 지지편(10)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부재(P)를 밀 때 위치조정용 램(R)에 작용하는 반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지편(10)을 구조물(S)에 가용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용접된 지지편(10)은 구조물(S)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위치조정작업 과정에서 지지편(10)이 떨어져 나가거나 튕기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시방편적인 지지편(10)으로는 위치조정용 램(R)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위치조정용 램(R) 자체가 튕겨 나와 작업자의 무릎 등에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나아가, 위치조정작업을 마친 후에는 불필요한 지지편(10)을 다시 제거하여야만 하였기 때문에 작업상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작업시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용 램을 간편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한편, 사용상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램 고정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정용 램이 안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거치부; 구조물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부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부재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램 고정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양 단부에 각각 램 지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램 지지편에는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피스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일측부에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방 지지편이 형성되되, 상기 측방 지지편에는 상기 위치조정용 램에 압력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 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타측부에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일단부에 바 형태의 조임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 고정용 지그는, 상기 조임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부재의 외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는, 간편하게 구조물에 고정시켜 위치조정용 램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간편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지편 등을 부재에 용접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는, 위치조정용 램이 안정적으로 거치부에 고정 지지됨으로써, 작업시 위치조정용 램의 튕김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램 고정용 지그가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종래와 같은 지지편의 튕김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위치조정용 램을 통한 위치조정작업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 고정용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램 고정용 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 고정용 지그(10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거치부(110), 고정부(120) 및 조임부(130)를 포함한다.
거치부(110)는 위치조정용 램(R, 도 4 참고)이 안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위치조정용 램(R)에 작용하는 반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램 지지편(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램 지지편(111)은 거치부(11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램 고정용 지그(100)는 구조물(S, 도 4 참고)과의 체결방향에 관계없이 양 방향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램 지지편(111) 사이의 간격은 위치조정용 램(R)의 길이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램 지지편(111)은 위치조정용 램(R)을 지탱하는 기능 이외에, 위치조정용 램(R)을 거치부(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작업시 위치조정용 램(R)이 거치부(110)에서 이탈되거나 튕기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램 지지편(111)에는 제 1 개구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정용 램(R)의 구동시, 피스톤(R1, 도 4 참고)은 제 1 개구부(111a)를 통해 부재(P, 도 4 참고)를 밀게 된다.
한편, 거치부(110)의 일측부에는 측방 지지편(11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방 지지편(112)은 위치조정용 램(R)의 측면부를 지지하여 작업시 위치조정용 램(R)의 이탈이나 튕김을 방지한다. 이때, 측방 지지편(112)에는 압력호스(H, 도 4 참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 2 개구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측방 지지편(112)에 형성된 제 2 개구부(112a)를 통해 압력호스(H)를 위치조정용 램(R)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압력호스(H)의 연결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거치부(110)의 타측부에는 가이드편(1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편(113)은 위치조정용 램(R)을 거치부(110)에 장착시 위치조정용 램(R)이 정위치에 장착되도록 측방 지지편(112)과 함께 위치조정용 램(R)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정용 램(R)을 거치부(110)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방 지지편(112) 및 가이드편(113)은 일종의 보강 리브(Rib)로서도 기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램 고정용 지그(100)의 구조강도가 강화되어 작업시 변형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0)는 거치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구조물(S)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20)는 거치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부에는 조임부(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130)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고정부(120)의 하측부에 체결된다. 즉, 조임부(130)는 고정부(120)의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하이동되어 고정부(120)를 구조물(S)에 고정시킨다. 이때, 조임부(130)는 외면에 나사선(131)이 형성된 조임볼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이동되어 고정부(120)를 구조물(S)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부(130)의 일단부에는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바(Bar) 형태의 조임핸들(1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탄성패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패드부(140)는 부재(S)와 고정부(1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고정부(120)의 하측부에 체결된 조임부(130)와 대응되도록 고정부(120)의 상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패드부(140)는 조임부(130)의 조작에 따라 구조물(S)의 외면에 밀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램 고정용 지그(10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패드부(140)는 부재(S)와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무, 합성수지재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램 고정용 지그(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단턱이나 플랜지 등이 형성된 형태의 구조물(S)이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S)에 사용 가능하다. 작업자는 먼저 램 고정용 지그(100)를 구조물(S)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구조물(S)의 단턱부에 고정부(120)를 끼우고, 조임핸들(132)을 일측으로 돌린다. 작업자가 조임핸들(132)을 돌림에 따라, 조임부(130)가 거치부(110)를 향해 전진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정부(120)의 내측면이 부재(S)에 밀착되면서 램 고정용 지그(100)가 구조물(S)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120)의 상측부에 마련된 탄성패드부(140)는 구조물(S)에 밀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램 고정용 지그(100)가 구조물(S)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램 고정용 지그(100)가 구조물(S)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위치조정용 램(R)을 거치부(110)에 안착시킨다. 즉, 작업자는 거치부(1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램 지지편(111) 사이에 위치조정용 램(R)을 끼운다. 이때, 거치부(110)의 양 측부에 형성된 측방 지지편(112) 및 가이드편(113)이 위치조정용 램(R)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치조정용 램(R)의 장착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위치조정용 램(R)의 압력호스 연결부(R2)가 측방 지지편(112)에 형성된 제 2 개구부(112a)를 향해 배치되도록 위치조정용 램(R)의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조정용 램(R)의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 2 개구부(112a)를 통해 압력호스(H)를 위치조정용 램(R)에 연결한다. 또한, 압력호스(H)의 연결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위치조정용 램(R)을 구동하여 용접라인 등이 일치하도록 부재(S)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위치조정용 램(R)의 피스톤(R1)은 램 지지편(111)에 형성된 제 1 개구부(111a)를 통해 부재(P)를 밀게 되며, 위치조정용 램(R)에 작용하는 반력은 반대편의 램 지지편(111)에 의해 지탱된다. 또한, 측방 지지편(112)은 위치조정용 램(R)의 측면부를 지지하여 상기 반력으로 인해 위치조정용 램(R)이 튕겨나오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위치 조정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위치조정용 램(R)을 거치부(110)에서 분리하고, 조임부(130)를 풀어 램 고정용 지그(100)를 구조물(S)에서 해체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간편하게 구조물(S)에 고정시켜 위치조정용 램(R)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간편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즉, 종래와 같이 위치조정용 램(R)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편(10, 도 1 참고) 등을 구조물(S)에 용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지지편(10) 등 불필요한 자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시수를 단축하여 전체적인 선박의 건조공수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램 지지편(111), 측방 지지편(112) 및 가이드편(113)을 통해 위치조정용 램(R)이 안정적으로 거치부(110)에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작업시 위치조정용 램(R)의 튕김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 고정용 지그(100)는 고정부(120), 조임부(130) 및 탄성패드부(140)에 의해 부재(S)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은 지지편(10)의 튕김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램 고정용 지그 120: 고정부
110: 거치부 130: 조임부
111: 램 지지편 131: 나사선
112: 측방 지지편 132: 조임핸들
113: 가이드편 140: 탄성패드부

Claims (6)

  1. 위치조정용 램이 안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거치부;
    구조물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양 단부에 각각 램 지지편이 마련되되, 상기 램 지지편에는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피스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 측부에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방 지지편이 마련되되, 상기 측방 지지편에는 상기 위치조정용 램에 압력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램 고정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타 측부에 상기 위치조정용 램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된 램 고정용 지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일단부에 바 형태의 조임핸들이 형성된 램 고정용 지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조물의 외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램 고정용 지그.
KR2020110004740U 2011-05-31 2011-05-31 램 고정용 지그 KR200468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40U KR200468735Y1 (ko) 2011-05-31 2011-05-31 램 고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40U KR200468735Y1 (ko) 2011-05-31 2011-05-31 램 고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19U KR20120008419U (ko) 2012-12-10
KR200468735Y1 true KR200468735Y1 (ko) 2013-09-02

Family

ID=4751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40U KR200468735Y1 (ko) 2011-05-31 2011-05-31 램 고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907U (ja) * 1984-04-28 1985-11-21 斎藤 賢 仮設用クランプ
JPS631145U (ko) * 1986-06-20 1988-01-06
KR960003883A (ko) * 1994-07-30 1996-02-23 경주현 부재취부용 지그장치
KR200338180Y1 (ko) * 2003-10-06 2004-01-14 김동기 잭받침용 지그 스크류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907U (ja) * 1984-04-28 1985-11-21 斎藤 賢 仮設用クランプ
JPS631145U (ko) * 1986-06-20 1988-01-06
KR960003883A (ko) * 1994-07-30 1996-02-23 경주현 부재취부용 지그장치
KR200338180Y1 (ko) * 2003-10-06 2004-01-14 김동기 잭받침용 지그 스크류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19U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334A (ko) 크롤러 타입 굴삭기의 하부 트랙
CN105856305A (zh) 用于分离圆柱形的工件的分离装置
JP5328338B2 (ja) 伸縮トラックフレーム
CN205129670U (zh) 用于固定两个部件的可拆卸系统
KR200468735Y1 (ko) 램 고정용 지그
RU2007148329A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компонента из пластмассы с другим компонентом,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устройство
JP2009215736A (ja) 親綱張設具
JP4056548B1 (ja) 安全帯取付具
WO2010100473A9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lamping arrangements
KR101941917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JP5653312B2 (ja) ブームおよびブームシリンダの組付け方法とその組付け装置
JP4323503B2 (ja) ペールパック用運搬装置
JP6437222B2 (ja) 地上子取付具
CN104271297A (zh) 锉削固定装置
JP2012188873A (ja) 養生用シートのクランプ装置
KR20130047347A (ko) 선박 블록용 주판과 프레임의 용접을 위한 단차 조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1849909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JP5693934B2 (ja) 吊上金具および碍子装置
KR101102515B1 (ko)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1201846B1 (ko)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고정장치
CN202729177U (zh) 搅拌站斜胶带机头部减震装置
KR20140004562U (ko) 러그 취부용 장치
KR20200008187A (ko) 파일 정렬 안내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TWM558691U (zh) 下支臂拆卸工具及其套組
CN218292853U (zh) 一种甩筋辅助支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