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917B1 -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917B1
KR101941917B1 KR1020160164808A KR20160164808A KR101941917B1 KR 101941917 B1 KR101941917 B1 KR 101941917B1 KR 1020160164808 A KR1020160164808 A KR 1020160164808A KR 20160164808 A KR20160164808 A KR 20160164808A KR 101941917 B1 KR101941917 B1 KR 10194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fastening
reinforcing bar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043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Priority to KR102016016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9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서 사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커플러(100), 거치대(1000) 및 철근체결장치(3000)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1)과; 별도로 고정기(5000)를 더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2)과;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7000)와 크레인을 더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Reinforced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현장에서 사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인장강도에 취약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과 내진성 및 인장강도 등을 보강하게 위하여 다량의 철근을 매설하게 된다.
즉, 일정 길이를 갖는 다량의 철근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그물망 형태로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고층화 추세에 따른 상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는 철근의 길이도 비례하여 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철근은 일정 길이로 한정된 치수를 갖도록 제공됨에 따라, 구조물의 높이에 맞춰 철근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철근을 상호 연결시키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상기 철근의 연결작업에 있어 한 쌍의 철근 단부를 그라인더 작업하여 평행한 상태를 이룬 후 상호 겹쳐지게 한 후 수작업을 통해 묶거나 용접하여 접합하는 등의 방법이 주로 이용되게 되는데, 상술한 방법들은 작업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우천 시에는 작업이 불가능하고 용접을 할 경우 전무작업자를 통하여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써 작업비용이 상승하며, 가스통의 운반 및 취급에 따른 위험성 및 1300℃로 철근을 가열함에 따른 철근의 변화 및 정확하게 맞대기 압접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77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현장에서 사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철근연결방법은
철근을 커플러(100), 거치대(1000) 및 철근체결장치(3000), 고정기(5000), 철근이송장치(7000)를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1)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10);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내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20);
철근체결장치를 거치대 상부에 체결하는 단계(S30);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40)
철근체결장치 및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별도로 고정기를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2)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10);
거치대 상부에 고정기를 설치하는 단계(S20);
고정기의 회전부에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삽입한 후 직립시키는 단계(S30);
고정기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40);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50);
철근체결장치 및 고정기,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3)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3-1);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에 체결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연결커플러에 삽입시키는 단계(S3-2);
거치대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3-30);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3-4);
철근체결장치, 거치대, 철근이송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기(5000)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부에 안착되되, 고정부가 체결가능하도록 체결홈(5110)이 구비된 안착부(510)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부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되어 안착부(510)에 구비된 체결홈(51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블록(5310)과, 회전부가 힌디로 체결되도록 구비된 체결편(5330)이 구비된 고정부(5300)와;
고정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연결용 철근이 직립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편(5330)에 힌지(5530)로 체결되도록 구비된 플랜지(5510)와,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이탈방지링(5550)으로 이루어진 회전부(5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측경사면을 갖는 나선돌부가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형 철근이 양측부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상기 각 나사형 철근을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하는 중공의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나사형 철근이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나선돌부의 외측경사면과 접촉되는 내측경사면이 측면에 형성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의 나선돌부와 대응되는 나선형태의 나선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부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의 각 체결공에는 상기 커플러에 나사 체결된 나사형 철근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의 나선돌부 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쐐기가 삽입 체결되며;
커플러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의 내측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홈부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되는 각 나사형 철근은 상기 스톱나사부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커플러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의 내측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홈부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되는 각 나사형 철근은 상기 스톱나사부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쐐기는, 상기 쐐기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체결공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과, 상기 쐐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쐐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홈과, 상기 쐐기의 하면에는 나사형 철근의 외면을 눌러 고정하도록 외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나선돌부의 외측경사면과 밀착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부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나사형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부의 단부 외면을 날카롭게 형성하도록 하는 내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은 건축현장에서 사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에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고정기 및 철근체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 ~ 도 29는 작업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커플러(100), 거치대(1000) 및 철근체결장치(3000)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1)과; 별도로 고정기(5000)를 더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2)과;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7000)와 크레인을 더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3)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커플러(100)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 제10-2014-17130호이며, 거치대(1000)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 제10-2015-25721호이며, 철근체결장치(3000)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 제10-2015-169740호이고, 철근이송장치(7000)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 제10-2015-25716호이다.
상기에 사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상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상 상기 골부분에 해당하는 나선홈부(110)의 내면 및 상기 산부분에 해당하는 나선홈부(110)와 나선홈부(110) 사이의 돌출된 면은 나사형 철근(200)의 나선돌부(210) 상면 및 상기 나선돌부(210)와 나선돌부(210) 사이의 편평한 면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폭으로 갖는 편평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100)의 양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양측부에 나사 체결된 나사형 철근(200)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후술할 쐐기(300)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체결공(120)은 커플러(100)의 외주면에 동일선상이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선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120)의 내주면에는 쐐기(200)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20)은 상기 커플러(100)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나선홈부(110) 사이 즉,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나선홈부(110)와 나선홈부(110)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체결공(120)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후술할 쐐기(200)의 결합부(330) 단부와 각 결합돌부(340)가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 체결된 나사형 철근(200)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나선돌부(210) 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11)과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플러(10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나사 체결되어 삽입 결합되는 나사형 철근(200)이 각각 체결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이동을 제한함은 물론 상기 커플러(100)에 각 나사형 철근(200)이 동일한 길이로 삽입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러(100)의 내측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홈부(110) 간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100)의 각 체결공(120)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양측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 결합된 나사형 철근(200)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나선돌부(210) 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11)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쐐기(300)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상기의 쐐기(300)는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체결공(12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300)의 상면에는 체결공(120)에 쐐기(300)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300)의 하부에는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외면을 눌러주면서 상기 커플러(10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하도록 나사형 철근(200)의 나선돌부(210)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11)과 동일한 각도록 외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330)의 외면에는 나선돌부(210)의 외측경사면(211)과 밀착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3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30)의 단부면에는 상기 결합부(330)의 단부가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부(330)의 단부 외면을 날카롭게 형성하도록 내홈(3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의 양측부에 나사형 철근(200)을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각 나사형 철근(2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형 철근(200)을 각각 연결 결합한다.
즉,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외주면에는 일정 피치를 갖는 나선형태의 나선돌부(210)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커플러(100)의 내주면에는 나선돌부(210)와 대응되는 나선형태의 나선홈부(110)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나선돌부(210)와 나선홈부(110)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100)에 2개의 나사형 철근(200)이 각각 나사 체결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100)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내주면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홍부(110)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13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형 철근(200)은 스톱나사부(130)에서 체결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함에 따라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 체결되는 2개의 나사형 철근(200)은 동일한 길이로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 체결되어 삽입 결합된 각 나사형 철근(200)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나사형 철근(200)이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 커플러(100)의 양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공(120)으로 쐐기(300)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쐐기(300)에 의해 상기 커플러(100)에 나사 체결된 나사형 철근(200)이 커플러(100)로부터 풀려지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 및 상기 커플러(100)에 각 나사형 철근(200)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공(120)으로 쐐기(300)를 나사 체결하여 삽입 결합하게 되면, 상기 쐐기(3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330)의 단부는 내홈(350)에 의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날카롭게 형성된 결합부(330)의 단부는 나사형 철근(200)의 외주면을 눌러주도록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결합부(33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부(340)는 상기 나사형 철근(200)의 나선돌부(210)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11)에 밀착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쐐기(300)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100)의 양측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삽입 결합된 나사형 철근(200)은 커플러(100)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철근 연결용 거치대(100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한 쌍의 철근(200)을 관형상의 커플러(100)를 매개로 연결하는 데 있어 특정 구조의 거치대(1000)를 매개로 더욱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철근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거치대(1000)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철근(200) 연결작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철근 상단에 커플러(100)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커플러(1000)에 특정 구조의 거치대(1000)를 장착한 후, 이를 매개로 다른 하나의 철근(200)을 임시로 거치한 후 간편하게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는, 특정 구조를 갖는 커플러장착부(1120)와 철근삽입부(1200) 및 지지부(1400)가 일체형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부(1200) 측에 착탈부(1300)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는 그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1140)가 형성된 대략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느 하나의 철근(200) 단부에 나사 결합된 커플러(100)의 외주면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커플러(100)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의 상면 일측은 상기 착탈부(1300)의 결합 시 안착지점이 되는 안착부(116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철근삽입부(1200)는 그 평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400)는 상기 착탈부(1300)가 위치되는 지점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1420)가 형성된 대략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근삽입부(1200)의 외주면상에 볼트(1440) 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착탈부(1300)의 결합 시 이를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1400)에 형성된 가이드부(1420)는 상기 착탈부(1300)의 결합 시 손잡이부(132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400)는 그 내주면이 상기 철근삽입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볼트(1440)가 상기 지지부(1400)를 관통하여 상기 철근삽입부(1200)에 체결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참조부호 1460은 상기 한 쌍의 볼트(1440)의 체결을 위해 지지부(1400)에 천공된 볼트체결홀을 나타낸다.
상기 착탈부(1300)는 그 평면의 형상이 상기 철근삽입부(1200)와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근삽입부(1200)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철근삽입부(1200)와 함께 대략 관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철근(200)을 관형태의 내부 공간에 임시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착탈부(1300)의 외주면 중앙에는 손잡이부(1320)가 돌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32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착탈부(1300)를 상기 지지부(1400)의 가이드부(14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철근삽입부(1200)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320)는 착탈부(1300)의 몸체를 관통하는 볼트를 매개로 구성되며, 이에 선택적으로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그 단부가 상기 철근삽입부(1200)에 거치된 철근(2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가고정 시키도록 함에 따라, 해당 철근(200)을 이송한 지그 등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철근(200)이 임의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삽입부(1200) 및 착탈부(1300)가 맞닿으면서 형성되는 관형상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의 내주면 직경 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200)을 용이하게 상기 커플러(100) 측으로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철근의 연결하는 데 있어, 먼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가설된 다수의 철근(200) 상단에 각각 커플러(100)의 하측부분이 체결 결합되도록 한 후(도 3a), 각각의 커플러(100)에는 상기 거치대(1000)의 커플러장착부(1120)를 끼워 결합시킨다(도 3b).
이때, 상기 커플러(100)의 상단은 거치대(1000)의 철근삽입부(1120) 하단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 결합되게 되며, 그 삽입상태는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방부(1140)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100)에 거치대(1000)를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커플러(100)의 철근삽입부(1200)에 착탈부(1300)가 맞닿도록 결합시켜 상기 철근삽입부(1200) 및 착탈부(1300)가 관형태를 이루면서 연결을 위한 다른 하나의 철근(200)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3c).
이때, 상기 착탈부(1300)는 상기 지지부(1400)에 형성된 가이드부(1420)에 손잡이부(1320)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착탈부(1300)의 하단이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 상면의 안착부(1160)에 닿을 때까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평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몸체가 반원형상을 갖는 철근삽입부(1200)의 몸체와 상호 맞닿으면서, 상호 관형태를 이룬 상태로 상기 지지부(1400)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작업자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200)을 이송하여 해당 철근(200)을 상기 철근삽입부(1200) 및 착탈부(1300)를 매개로 형성된 관형태의 몸체 내부에 걸쳐놓는다(도 3d).
이때, 상기 철근삽입부(1200) 및 착탈부(1300)를 매개로 형성된 관형태의 내부에 걸쳐진 철근(200)은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에 내장된 커플러(100)의 상단 측으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게 되며, 이에 작업자는 철근(200)을 회전시키면서 해당 철근(200)의 하단을 원활하게 커플러(100)의 상측 부분에 체결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커플러(100)를 매개로 한 쌍의 철근(200)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거치대(1000)의 착탈부(1300)를 손잡이부(13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분리하고, 상기 거치대(1000) 몸체 전체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커플러(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러장착부(1120)의 개방부(1140) 및 상기 지지부(1400)의 가이드부(1420)를 이용하여 연결된 철근(200)으로부터 거치대(10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철근체결장치(3000)는 철근에 체결고정되는 거치대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철근이 삽입되도록 철근삽입홈(311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3100)과;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기어군(3300)과; 기어군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프레임에 체결되며, 철근이 삽입되도록 철근삽입홈(3510)이 형성된 상부프레임(3500)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3100)은 철근에 체결고정되는 거치대(10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을 커플러(100)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거치대에 체결가능하도록 하부에 체결블록(3110)이 형성되되, 체결블록(3100)의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3100)의 상부에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3300)이 체결고정되도록 체결공(3130)이 다수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측으로는 상부프레임(500)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150)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기어군(3300)은 하부프레임(31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공(3130)에 체결고정되어 철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회전공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310)와; 구동기어의 양측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철근을 회전시키는 회동기어(3350)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아이들기어(3330)와; 한쌍의 아이들기어(3330)에 체결되어 구동기어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철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351)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기어(3350)와; 회동기어(3350)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삽입홈(3351)의 지름보다 작은 철근을 체결할 때 철근을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용부재(33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용부재(3370)는 회동기어(3350)의 전후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제1체결용부재(3370a)는 일단은 힌지(3371)를 통하여 회동기어(3350)의 상부에 체결되며, 타단과 제2체결용부재(3370b)는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각 체결용부재(3370)의 외주면에는 회전방향으로 단부가 향하도록 톱니(3373)가 구비되어 회전할 때 톱니(3373)가 철근을 가압하여 철근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써 가압스프링(3375)을 제1체결용부재(3370a)에 더 구비하여 제1체결용부재(3370a)로 철근을 고정할 때 가압스프링(3375)이 제1체결용부재(3370a)를 가압하여 모다 정교하게 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제1체결용부재(3370a)에 홈(3370a-2)이 형성된 돌출부(3370a-1)를 구비하고, 제2체결용부재(3370b) 내측에 회동되며, 손잡이(3370b-2)를 갖는 회전체(3370b-1)를 구비한 후 회전체를 회전시킨 후 손잡이에 형성된 스크류(337b-3)을 제1체결용부재(3370a)에 홈(3370a-2)에 삽입시켜 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류를 회전시켜 손잡이에서 스크류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스크류(337b-3)을 제1체결용부재(3370a)에 홈(3370a-2)에 삽입시킬 때 제1체결용부재(3370a)와 제2체결용부재(3370b)의 간격을 철근의 굵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회동기어(3350)에 다수의 체결공(3355)를 형성한 후 철근의 굵기에 따라 제1체결용부재(3370a)와 제2체결용부재(3370b)의 간격을 조절하여 철근을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기어 상·하부에는 돌출부(3311, 3331,3353)가 형성되어 상·하프레임(3100,3500)에 형성된 체결공(3130,3530)에 삽입고정되어 상·하프레임(3100,35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311, 3331,3353)에 베어링(3700)을 체결하여 회전력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기어(3310)의 돌출부(3311)에는 회전공구에 체결되어 회전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4각형상의 홈(33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3500)은 하부프레임(3100)에 체결고정되어 기어군(330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5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3300)이 체결고정되도록 체결공(3530)이 다수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측으로는 하부프레임(3500)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550)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철근체결장치의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송된 철근구조물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커플러의 상부에 안치시킨다.
이후 거치대의 상부에 본원 발명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블록의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철근삽입홈을 통하여 철근이 삽입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회전공구를 회동기어의 돌출부에 형성된 4각형상의 홈에 삽입하여 회동기어를 회전시킨다.
회전공구의 회전력을 받은 회동기어는 양측에 체결된 아이들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이들기어는 외측에 체결된 구동기어를 회전시킨다.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고정시킨다.
이때 철근의 굵기가 철근삽입홈의 지름보다 작거나 돌출부가 없는 철근을 체결하고자 할 때는 회동기어의 상부에 체결되어 같이 회전하는 체결용부재로 철근을 가압한 후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고정기(50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거치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510)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안착부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안착부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고정부(5300)와, 고정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연결용 철근이 직립되도록 하는 회전부(5500)로 구성된다.
고정부(5300)은 일측에 구비된 체결블록(5310)을 이용하여 안착부(510)에 구비된 체결홈(5110)에 슬라이딩시켜 체결한다
그리고 회전부(5500)은 일측에 구비된 플랜지(5510)를 이용하여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편(5330)에 힌지(5530)로 체결한다.
이때 회전부(5500)의 상부에는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이탈방지링(5550)이 체결된다.
이하 고정기(5000)의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의 철근에 체결된 연결커플러(30)의 상부에 체결된 거치대(1000)의 지지부(1400) 상부에 고정기를 체결한다.
이후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부(5500)를 회전시켜 안착부(5100)와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가 철근을 회전부(5500)의 철근삽입구(5510)에 철근을 삽입한다.
이후 작업자가 철근을 상부로 들어서 올리면 회전부(5500)이 힌지(5530)를 기점전으로 회전되고, 회전부 내측에 삽입되었던 철근이 슬라이딩되어 연결커플러 내부에 삽입된다.
이후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철근을 체결한다.
그리고 철근이송장치(7000)는 이송지그(7100)와 고정지그(7200) 및 고정부재(7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지그(7100)는 수직한 평판의 베이스(7110)와, 상기 베이스(7110)의 일측면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판(7120) 및 하판(71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7110)에는 다수의 볼트구멍(7111)이 일정간격마다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7111)에는 고정볼트(7112)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구멍(7111)은 상판(7120)과 하판(7130) 사이의 베이스(71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7112)는 볼트구멍(7111)에 체결되어 후술되는 고정지그(7200)를 이송지그(7100) 상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또, 상기 베이스(7110)는 그 상단부 일측에 연결브라켓(1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7113)에는 로프를 통해서 크레인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7114)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712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걸림돌부(71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7121)에 의해 상판(7120)과 하판(7130) 사이에는 "ㄴ"자 형상의 결합홈(71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7140)에 각각의 고정지그(7200)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7110)의 볼트구멍(7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112)에 의해서 고정지그(7200)가 상판(7120)의 걸림돌부(7121) 측으로 가압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판(7130)의 하면에 일측에는 후술되는 고정지그(7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7300)가 체결되는 고정부재 고정지그(7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7130)의 하면에 타측에는 고정부재(7300)의 고정바(7310)가 체결되는 고정바 고정지그(7133)가 형성된다.
고정지그(7200)는 베이스(7110)의 상판(7120)과 하판(71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7140)에 대응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714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7110)의 결합홈(7140)에는 다수의 고정지그(720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다수의 고정지그(720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7110)의 볼트구멍(7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112)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지그(7200)는 평판 상의 고정판(7210)과, 상기 고정판(210)의 상면 일단부에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판(72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7110)의 상판(7120)과 하판(7130)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판(7210)에는 철근(200)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장착공(72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7211)은 고정판(721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U"자 형상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7220)은 그 후면에 베이스(7110)의 볼트구멍(7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112)가 접하여 가압되고, 그 전면은 고정볼트(7112)에 의해 상판(7120)의 걸림돌부(7121)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 고정된다.
또, 상기 고정판(7210)의 하면 단부에는 장착공(721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한쌍의 결합구(72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7230)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7300)의 고정바(73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공(723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7300)는 철근(200)이 고정지그(7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바(7310)와; 지지바, 스프링이 삽입되는 몸체(7331)와, 몸체에 삽입되어 철근(200)이 고정지그(7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7333)와, 지지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지지바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7335)과, 지지바와 스프링이 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캡(7337)과, 지지바의 일단에 체결되어 지지바를 후진시키는 와이어(7339)로 이루어진 지지부재(73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7310)는 고정지그(7200)의 결합구(7230)를 통해 다수의 고정지그(7200)를 가로질러 결합됨으로써 고정지그(7200)의 고정판(7210)의 장착공(7211)에 삽입되어 걸림된 다수의 철근(200)을 가로질러 지지하므로 철근(200)이 장착공(7211)의 개구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바(7310)는 일단이 고정바 고정지그(7133)에 힌지(7311)로 결합되어 지지바(7333)의 후진에 따라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되어 철근(2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고정바(7310)의 일단에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구비하여 회동되었을 때 고정바 고정지그(7133)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타단에는 와이어(7315)을 더 구비하여 회동되었을 때 95 ~ 120°를 초가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바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7330)는 이송지그의 고정부재 고정지그(7131) 하부에 체결고정되어 고정바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몸체에 내설된 지지바를 와이어로 당기면 지지바가 후진하면서 고정바를 지지하였던 것이 해제된다.
이후 와이어(7339)를 놓으면 스프링(7335)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바가 전지하게 된다.
캡(7337)의 후면에는 도르레(7337-1)를 더 구비하여 와이어를 지면에서 당길 때 보다 간편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지그(7200)에 구성되는 고정판(7210)의 장착공(7211)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철근(200)은 그 단부에 통상의 커플러(100)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 커플러(100)가 고정판(7210)의 장착공(72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장착공(7211)에 철근(200)의 삽입 시 커플러(100)가 장착공(7211)을 관통하지 못하고 걸림됨으로써 철근(200)이 고정판(7210)의 장착공(7211)에 걸림된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철근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이송하고자 하는 철근(200)의 개수만큼 다수의 고정지그(7200)를 이송지그(7100)의 베이스(7110)와 상판(7120) 및 하판(71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7140)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시켜 구비한다.
이후, 결합홈(7140)에 삽입되어 구비된 다수의 고정지그(7200)를 건축현장에 미리 시공되어 있는 철근의 간격에 맞게 조정한 후, 고정지그(7200)가 위치된 베이스(7110)의 각 볼트구멍(7111)에 각각의 고정볼트(7112)를 체결하여 고정지그(7200)의 걸림판(220)을 베이스(7110) 상판(120)의 걸림돌부(7121) 측으로 밀착 이동시켜 가압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송지그(7100)의 결합홈(140)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지그(7200)의 장착공(7211)에 단부에 커플러(100)가 나사 결합된 철근(200)을 커플러(100)가 장착공(7211)에 걸림될 때까지 삽입하여 구비한다.
이후, 고정지그(7200)의 고정판(7210)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구(7230)의 삽입공(7231)에 각 고정부재(7300)의 고정바(7310)를 최외측의 고정지그(7200)로부터 관통시켜 결합한 후, 지지부재(7330)의 지지바(7333)로 고정바(731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바(7310)의 회동이 불가하게 되므로 고정부재(7300)가 다수의 고정지그(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철근(200)의 이송 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이송지그(7100)의 연결브라켓(7113)에 구비된 연결고리(7114)에 같이 로프를 매개로 크레인을 연결하여 이송지그(7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다량의 철근(200)을 한번에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이동되는 다량의 철근(200)은 건축현장에 시공되어 있는 철근의 간격에 맞게 그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커플러(100)를 통해 이동된 철근을 시공되어 있는 기존의 철근에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나사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장치들을 이용한 철근연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1)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1-1);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내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1-2);
철근체결장치를 거치대 상부에 체결하는 단계(S1-3);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1-4);
철근체결장치 및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1-5)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 예>
별도로 고정기를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2)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2-1);
거치대 상부에 고정기를 설치하는 단계(S2-2);
고정기의 회전부에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삽입한 후 직립시키는 단계(S2-3);
고정기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2-4);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2-5);
철근체결장치 및 고정기,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 예>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3)으로;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3-1);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에 체결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연결커플러에 삽입시키는 단계(S3-2);
거치대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3-30);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3-4);
철근체결장치, 거치대, 철근이송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3-5)로 이루어진다.
10 : 커플러 20 : 철근.
1000 : 거치대 1120 : 커플러장착부
1140 : 개방부 1160 : 안착부
1200 : 철근삽입부 1300 : 착탈부
1320 : 손잡이부 1400 : 지지부
1420 : 가이드부 1440 : 볼트
1460 : 볼트체결홀
3000 : 철근체결장치
3100 : 하부프레임 3110 : 체결블록
3130 : 체결공 3150 : 고정공
3300 : 기어군 3310 : 구동기어
3330 : 아이들기어 3350 : 회동기어
3370 : 체결용부재
3500 : 상부프레임 3510 : 철근삽입홈
3530 : 체결공 3550 : 고정공
3700 : 베어링
5000 : 고정기 5100 : 안착부
5110 : 체결홈 5300 : 고정부
5310 : 체결블록 5330 : 체결편
5500 : 회전부 5510 : 플랜지
5530 : 힌지 5550 : 철근 이탈방지링
7000 : 철근이송장치
7100 : 이송지그 7110 : 베이스
7111 : 볼트구멍 7112 : 고정볼트
7113 : 연결브라켓 7114 : 연결고리
7120 : 상판 7121 : 걸림돌부
7130 : 하판 7131 : 고정부재 고정지그
7133 : 고정바 고정지그 7140 : 결합홈
7200 : 고정지그 7210 : 고정판
211 : 장착공 7220 : 걸림판
7230 : 결합구 7231 : 삽입공
7300 : 고정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거치대, 철근체결장치, 고정기, 철근이송장치, 커플러로 구성된 철근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커플러의 외주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커플러장착부와,
    커플러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그 평면이 반원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철근삽입부와,
    그 평면이 반원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철근삽입부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철근삽입부와 함께 관형상을 이루어지되 외주면 중앙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된 착탈부 및 착탈부가 위치되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철근삽입부의 외주면상에 고정 결합되어 착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부에 안착되되, 고정부가 체결가능하도록 체결홈이 구비된 안착부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부에 결합되어 안착부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되어 안착부에 구비된 체결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블록과, 회전부가 힌지로 체결되도록 구비된 체결편이 구비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연결용 철근이 직립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편에 힌지로 체결되도록 구비된 플랜지와,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철근체결장치은
    철근에 체결고정되는 거치대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거치대에 체결가능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철근이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이 형성된 체결블록과,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 구비되어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이 체결고정되도록 체결공과, 그 외측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부프레임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으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기어군과;
    하부프레임에 체결고정되어 기어군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되어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과, 하부에 다수구비되어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이 체결고정되도록 한 체결공과, 그 외측으로 다수구비되어 하부프레임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철근이송장치는 철근이 고정지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단이 고정바 고정지그에 힌지로 결합되어 지지바의 후진에 따라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되어 철근의 구속을 해제하는 고정바와;
    지지바, 스프링이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에 삽입되어 철근이 고정지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와, 지지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지지바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과, 지지바와 스프링이 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캡과, 지지바의 일단에 체결되어 지지바를 후진시키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나사형 철근이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나사형 철근의 나선돌부의 외측경사면과 접촉되는 내측경사면이 측면에 형성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의 나선돌부와 대응되는 나선형태의 나선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부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의 각 체결공에는 상기 커플러에 나사 체결된 나사형 철근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함은 물론 상기 나사형 철근의 나선돌부 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쐐기가 삽입 체결되며;
    커플러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의 내측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홈부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되는 각 나사형 철근은 상기 스톱나사부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커플러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플러의 내측 양측부에 형성된 나선홈부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스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양측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되는 각 나사형 철근은 상기 스톱나사부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쐐기는, 상기 쐐기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체결공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과, 상기 쐐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쐐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홈과, 상기 쐐기의 하면에는 나사형 철근의 외면을 눌러 고정하도록 외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나선돌부의 외측경사면과 밀착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부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나사형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부의 단부 외면을 날카롭게 형성하도록 하는 내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KR1020160164808A 2016-12-06 2016-12-06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KR10194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08A KR101941917B1 (ko) 2016-12-06 2016-12-06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08A KR101941917B1 (ko) 2016-12-06 2016-12-06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43A KR20180065043A (ko) 2018-06-18
KR101941917B1 true KR101941917B1 (ko) 2019-04-12

Family

ID=6276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08A KR101941917B1 (ko) 2016-12-06 2016-12-06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847A (en) * 2019-09-05 2021-03-10 Cintec International Ltd Anchor rod coupling joint
CN110593561B (zh) * 2019-10-18 2024-05-10 天津市东鑫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钢框模板用螺杆式卡具
CN111593893B (zh) * 2020-06-03 2021-01-15 中国建设基础设施有限公司 一种建筑钢材套筒连接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174B2 (ja) * 1996-11-25 2005-05-11 近江産業株式会社 ねじ式鉄筋継手の締付装置
KR101208486B1 (ko) * 2012-04-23 2012-12-05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보조 커플러
KR101244651B1 (ko) * 2011-10-13 2013-03-20 주식회사 삼미정공 클램핑 수단을 갖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체결장치
KR101621503B1 (ko) * 2015-02-24 2016-05-17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거치대
KR101632901B1 (ko) * 2015-02-24 2016-06-24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547B1 (ko) 1999-01-08 2001-09-26 변지훈 철근연결구
KR20150096554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174B2 (ja) * 1996-11-25 2005-05-11 近江産業株式会社 ねじ式鉄筋継手の締付装置
KR101244651B1 (ko) * 2011-10-13 2013-03-20 주식회사 삼미정공 클램핑 수단을 갖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체결장치
KR101208486B1 (ko) * 2012-04-23 2012-12-05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보조 커플러
KR101621503B1 (ko) * 2015-02-24 2016-05-17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연결용 거치대
KR101632901B1 (ko) * 2015-02-24 2016-06-24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43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546B1 (ko) 철근망 조립 방법
KR101941917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CN104520518B (zh) 组合加强联接器和柱对准设备
CA2484979C (en) Coupling device
US20070175128A1 (en) Tendon gripping device
KR101403040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244651B1 (ko) 클램핑 수단을 갖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체결장치
KR101152340B1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KR101198867B1 (ko) 블록 서포트 클램프
US8881348B2 (en) Tension tool
JP4457146B2 (ja) コアドリル装置のベース取付け構造
JP6374474B2 (ja) 鉄筋網組立方法
CN115680722A (zh) 一种多向可调型装配式锁脚与支护钢架连接器及使用方法
KR101849909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JP5011363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101097841B1 (ko) 일체형 기둥 웨일러
KR101375346B1 (ko)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KR101621503B1 (ko) 철근 연결용 거치대
KR101797000B1 (ko) 철근체결장치
US8425157B1 (en) Clamp for pile driving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KR20170132583A (ko) 철근이음장치
KR101574518B1 (ko)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일체형 체결장치
JP4697873B2 (ja) 連結具
JP4465256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