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11Y1 -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 Google Patents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11Y1
KR200468711Y1 KR2020130003604U KR20130003604U KR200468711Y1 KR 200468711 Y1 KR200468711 Y1 KR 200468711Y1 KR 2020130003604 U KR2020130003604 U KR 2020130003604U KR 20130003604 U KR20130003604 U KR 20130003604U KR 200468711 Y1 KR200468711 Y1 KR 200468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casing
see
window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임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균 filed Critical 임영균
Priority to KR2020130003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14Bread-toasters with automatic bread ejection or timing means
    • A47J37/0821Bread-toasters with automatic bread ejection or timing means with mechanical clockwork tim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14Bread-toasters with automatic bread ejection or timing means
    • A47J37/085Bread-toasters with automatic bread ejection or timing means with means for sensing the brea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는 빵(B)을 끼워 안착시킬 수 있는 빵안착공간(11)을 제공하는 케이싱(10); 상기 빵안착공간(11)에 안착된 빵(B)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되는 전열선지지판(41)과,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 고정 설치되는 전열선(42)으로 구성되는 전열부(40); 및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10)의 측벽(F)이 천공됨으로써 설치공(20a)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20a)에 투시창(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는 상기 투시창(20)이 설치된 위치에 투시공(43)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빵이 익는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므로 빵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Toaster Having Window}
본 고안은 토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빵이 끼워지는 내부공간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측벽에 투시창이 마련된 토스터에 관한 것이다.
토스터는 통상 한장 또는 두장의 얇게 썰어 놓은 식빵(이하, 단지 빵이라 한다)을 끼워 넣고 가열하여 빵을 굽는 장치이며, 빵이 다 구워지면 자동적으로 팝업(pop- up)되는 기능을 가진다. 토스터는 일반적으로 빵을 끼워 안착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빵안착공간이 마련되며 전열선을 이용하여 빵에 열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토스터는 빵을 익히기 위한 온도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설정된 온도 내지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빵이 돌출되어 가열을 마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개인적 취향이나 빵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설정온도를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시중에는 여러 종류의 빵이 제공되고 있는데, 두께가 다르기도 하며 주요 성분이 다르기도 하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빵이 익는 속도도 저마다 다르다. 주변환경에 따라서도 조리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조리과정에서 빵을 태우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주로 토스터 내부를 볼 수 없어서 빚어지는 것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09522호 국내 특허공개 특2001-006676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빵이 익는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게 함으로써 빵을 태우는 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스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목적은 토스터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열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화상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는 빵(B)을 끼워 안착시킬 수 있는 빵안착공간(11)을 제공하는 케이싱(10); 상기 빵안착공간(11)에 안착된 빵(B)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되는 전열선지지판(41)과,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 고정 설치되는 전열선(42)으로 구성되는 전열부(40); 및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10)의 측벽(F)이 천공됨으로써 설치공(20a)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20a)에 투시창(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는 상기 투시창(20)이 설치된 위치에 투시공(43)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창(20)은 상기 설치공(20a)에 끼워져 고정되는 링형태의 프레임(23) 및 상기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투명 유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은 중간에 공기층이 마련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유리판(21,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유리판(21,22) 중 어느 한 유리판은 볼록 렌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벽 또는 상기 투시창(20)의 프레임(23)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빵안착공간(11)으로 발광하는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전열부(40)와 동시에 온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토스터의 옆에서 빵안착공간 내부를 볼 수 있는 토스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빵이 익는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므로 빵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스터의 측벽을 통해 전열선의 발열에 의한 빛이 투과되어 나옴으로써 조리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시창을 케이싱의 측벽 일부에 창을 내는 방식으로 마련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의 큰 변경이 없어 제작비용을 과도하게 상승시키지 않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열부와 투시창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도 3을 인용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토스터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부(40)와, 케이싱(10) 전방에 설치되는 콘트롤부를 가진다.
케이싱(10)은 빵을 끼워 안착시킬 수 있는 빵안착공간(11)을 제공한다. 빵안착공간(11)은 빵(B)이 끼워져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이며, 일반적으로는 2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빵(B)은 샌드위치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워진 다음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스된 것을 의미한다.
전열부(40)는 빵안착공간(11)에 끼워지는 빵(B)을 가열하여 익힐 수 있도록 케이싱(10) 내부에 빵안착공간(11)의 사이마다 박판 형태로 설치된다. 빵안착공간(11)에는 가이드바(13,14)가 설치되어 부드러운 빵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열부(40)에 닿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전열부(40)는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되는 전열선지지판(41)과 전열선지지판(41)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횡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느다란 전열선(42)으로 구성된다(도 3 참조). 전열선지지판(41)은 발열되는 전열선(42)에 대하여 내열성을 가져야 할 것이므로 내열성 소재로 되어 있는 판체이다. 전열부(40)의 기본적인 구성 내지 설치방식은 종래의 일반적인 토스터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안착홈(44)이 전열선(4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해 전열선지지판(41)의 양측면에 마련된다.
콘트롤부는 빵(B)이 세팅된 온도로 구워진 다음 자동으로 전열부(4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콘트롤부는 케이싱(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빵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누름스위치(30)와, 가열온도(또는 시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조절스위치(31)를 포함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누름스위치(30)는 슬롯(12)을 따라 상하로 기동하며, 조절스위치(31)는 회전하는 노브 방식이다.
리프터(32)는 조리가 끝나는 순간 빵(B)이 탄성적으로써 상방향으로 튀어 오르도록 하는 기구이다. 리프터(32)의 구성은 종래의 토스터와 다름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빵안착공간(11)을 볼 수 있도록 케이싱(10) 측벽에 투시창(20)이 만들어진다는 것에 큰 특징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시창(20)은 예를 들어 가로 30~40mm, 세로 60~80mm의 직사각 형태로 케이싱(10)의 측벽(F) 중앙에 빵의 중앙부를 관찰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 우선 케이싱(10)의 측벽(F)이 천공되어 설치공(20a)이 마련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투시창(20)은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 형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싱(10)의 측벽(F)은 1장의 판재로 되어 있지만 2겹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시창(20)의 형태나 넓이는 선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투시창(20)은 건물의 창문과 같은 형태로 측벽(F)의 설치공(20a)에 고정 설치된다. 그러므로 투시창(20)은 설치공(20a)에 끼워져 고정되는 링형태의 프레임(23)과,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1장 이상의 투명 유리판(21,2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프레임(23)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부품이 나사못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일체형 프레임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합성고무 등의 플렉시블한 소재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투명 유리판(21,22)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유리판(2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2 유리판(21,22) 사이에는 두께가 3~10mm인 공기층이 마련되는데 이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한편, 사용자가 투시창(20)에 손을 대는 경우에도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빵안착공간(11)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2 유리판(22)은 내열유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의 내외측에는 측벽(F)의 단부와 제1,2유리판(21,22)의 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10a,21a,22a)이 마련되고 있다.
한편, 제1,2 유리판(21,22) 중 어느 한 유리판은 볼록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부에서 빵안착공간 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케이싱의 측벽(F)에 투시창(20)이 마련되는 경우라도 전열선지지판(41)이 종전과 같은 형태라면 시야가 막혀 빵안착공간(11)을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전열선지지판(41)에 투시공(43)을 마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열선지지판(41)에 마련되는 투시공(43)은 전열선(4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만 마련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3 참조). 그러므로 투시공(43)은 장방형의 직사각형으로 된 복수 개의 단위투시공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로써 전열선(42)에서 발열되는 열이 케이싱(1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투시공(43)의 설치 형태에 의하면, 전열선(42)이 빛을 발하여 빵(B)이 잘 안보이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물체와 관측자 사이에 빛이 있는 경우 관측자가 물체를 잘 볼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빵안착공간(11)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조명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조명수단은 1개 이상의 엘이디램프가 될 수 있으며 케이싱(10)의 내측벽이나 투시창(20)의 프레임(23)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조명수단은 전열부(40)와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설명된 바에 의하면 투시창(20)은 케이싱(10)의 일 측벽에만 마련되고 있지만, 양 측벽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케이싱 11 : 빵안착공간
12 : 슬롯 13,14 : 가이드바
20 : 투시창 21,22 : 제1,2 유리판
23 : 프레임 30 : 누름스위치
31 : 조절스위치 32 : 리프터
40 : 전열부 41 : 전열선지지판
42 : 전열선 43 : 투시공
B : (식)빵 F : (케이싱) 측벽

Claims (5)

  1. 빵(B)을 끼워 안착시킬 수 있는 빵안착공간(11)을 제공하는 케이싱(10);
    상기 빵안착공간(11)에 안착된 빵(B)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되는 전열선지지판(41)과,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 고정 설치되는 전열선(42)으로 구성되는 전열부(40); 및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10)의 측벽(F)이 천공됨으로써 설치공(20a)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20a)에 투시창(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열선지지판(41)에는 상기 투시창(20)이 설치된 위치에 투시공(43)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20)은 상기 설치공(20a)에 끼워져 고정되는 링형태의 프레임(23) 및 상기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투명 유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중간에 공기층이 마련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유리판(2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유리판(21,22) 중 어느 한 유리판은 볼록 렌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벽 또는 상기 투시창(20)의 프레임(23)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빵안착공간(11)으로 발광하는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전열부(40)와 동시에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KR2020130003604U 2013-05-08 2013-05-08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KR200468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04U KR200468711Y1 (ko) 2013-05-08 2013-05-08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04U KR200468711Y1 (ko) 2013-05-08 2013-05-08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11Y1 true KR200468711Y1 (ko) 2013-08-29

Family

ID=5139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04U KR200468711Y1 (ko) 2013-05-08 2013-05-08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96A (ko) 2019-09-26 2021-04-05 김영화 내열유리 토스터
EP3900584A1 (de) * 2021-03-22 2021-10-27 Walter Werkzeuge Salzburg GmbH Grillgerät
KR20240003937A (ko) 2022-07-04 2024-01-11 박송범 양면 접촉 밀착판을 구비한 토스트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5038A1 (en) * 2007-12-27 2009-07-09 Sunbeam Products, Inc. Toaster oven having movable heating elements
KR20090013113U (ko) * 2008-06-19 2009-12-30 이경희 토스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5038A1 (en) * 2007-12-27 2009-07-09 Sunbeam Products, Inc. Toaster oven having movable heating elements
KR20090013113U (ko) * 2008-06-19 2009-12-30 이경희 토스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96A (ko) 2019-09-26 2021-04-05 김영화 내열유리 토스터
EP3900584A1 (de) * 2021-03-22 2021-10-27 Walter Werkzeuge Salzburg GmbH Grillgerät
KR20240003937A (ko) 2022-07-04 2024-01-11 박송범 양면 접촉 밀착판을 구비한 토스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66697A1 (en) Toaster oven
USD666054S1 (en) Control panel for cooking appliance
KR200468711Y1 (ko)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US9528709B2 (en) Lighting system for an oven appliance
US20150274068A1 (en) Illuminated Seat Cover Assembly
EP3449186B1 (en) Electric fire apparatus
US9482436B1 (en) Lighting system for an oven appliance
JP4444199B2 (ja) 加熱調理器
CN103549887B (zh) 一种烤箱
US20110132350A1 (en) Oven range
KR102010972B1 (ko)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JP5169494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JP2015036609A (ja) 加熱調理器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US20090090250A1 (en) Multi Grill
KR101605617B1 (ko) 멀티 전기오븐
KR1020004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CN204285466U (zh) 一种带有稳流器的红外线燃烧器
US20200314970A1 (en) Hob device
FR2944093A1 (fr) Four de cuisson comprenant au moins un dispositif d'eclairage
JP2017190898A (ja) 加熱調理器
JP5830717B2 (ja) 加熱調理器
JP7086023B2 (ja) 加熱調理器
KR101665624B1 (ko) 과자 또는 빵의 제조를 위한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