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113U - 토스터기 - Google Patents

토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113U
KR20090013113U KR2020080008194U KR20080008194U KR20090013113U KR 20090013113 U KR20090013113 U KR 20090013113U KR 2020080008194 U KR2020080008194 U KR 2020080008194U KR 20080008194 U KR20080008194 U KR 20080008194U KR 20090013113 U KR20090013113 U KR 20090013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parent glass
heating
resistant transparent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2020080008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113U/ko
Publication of KR20090013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스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내부에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하는 토스터기는, 상기 삽입 공간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히팅 열판과; 상기 삽입 공간부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히팅 열선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와; 상기 히팅 열판과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열 투명 유리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가 보이도록 외측 면에 투시창이 구비된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토스터기 사용자는 삽입구를 통해 토스터기 내부로 삽입된 빵의 구워진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스터기{APPARATUS FOR TOASTING}
본 고안은 토스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빵을 굽는 동안 식빵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스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굽는 장치 즉, 토스터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빵을 만드는 용도로 사용되는 오븐 형태의 토스터기에서부터 단지 식빵과 같이 기존에 만들어진 빵을 살짝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토스터기 등 다양하다.
그런데 오븐 형태의 토스터기는 밀가루 반죽을 이용하여 빵을 만들 수도 있는 등 장점이 많기는 하나 비교적 비싼 편이어서, 직접 빵을 만들 필요는 없고 단지 식빵과 같이 이미 만들어진 빵을 구워서 먹고자 하는 사람들은 도 1과 같은 토스터기(10)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즉, 도 1과 같은 토스터기(10)는 가격도 저렴하고 크기도 작아 사용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토스터기(10)의 삽입구(1A, 1B)를 통해 식빵을 토스터기 안쪽으로 삽입 시킨 후에 타이머 버튼(13) 조작을 통해 시간을 설정해 두면, 삽입된 빵이 구워진다. 굽기가 종료된 경우 식빵은 자동으로 또는 선반 추출 버튼(12)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토스터기(10) 삽입구(1A, 1B) 바깥으로 돌출되어 꺼 내기 쉽도록 된다.
그런데 도 1의 종래의 토스터기(10)의 외장 케이스(11)는 모두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실제 구워지는 빵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식성에 따라 또는 식빵의 종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가열 시간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실제 식빵의 구워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 중간에 식빵을 토스터기로부터 꺼내어 구워진 상태를 확인해야 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황에 맞는 설정 시간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삽입구에 삽입된 식빵의 구워지는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스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에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하는 토스터기는, 상기 삽입 공간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히팅 열판과; 상기 삽입 공간부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히팅 열선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와; 상기 히팅 열판과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열 투명 유리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가 보이도록 외측 면에 투시창이 구비된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하는 토스터기는, 상기 삽입 공간부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히팅 열선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와;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열 투명 유리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가 각각 보이도록 외측 면 양쪽에 투시창이 구비된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토스터기 사용자는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식빵의 구워지는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정도로 식빵이 구워진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과도한 시간 설정으로 인해 빵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구워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삽입된 식빵을 수시로 꺼내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토스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어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삽입 공간부는 후술하는 히팅 열판(100)과 내열 투명 유 리(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토스터기는 히팅 열판(100), 내열 투명 유리(200)와, 외장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히팅 열판(100)은 삽입 공간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토스터기에 사용되는 금속성 열판에 해당한다. 즉, 히팅 열판(100)은 소정의 열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되고, 그 재질,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열을 가하기 위한 열선이 히팅 열판(10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히팅 열판(100)은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만, 히팅 열판(100)은 전체적인 형상이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되고 반드시 빈틈이 없는 금속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판이 없이 지그재그로 이어진 열선에 의해 전체적인 판 형상이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것도 본 실시예의 히팅 열판(100)에 포함될 수 있다.
히팅 열판(100)의 좌, 우측에는 지지대(120)가 부착되고, 지지대(120)는 외장 케이스(300) 몸체(320)의 아랫면 끼움 홈(321)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내열 투명 유리(200)는 삽입 공간부의 타 측면 즉, 상술한 히팅 열판(10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특히 히팅 열판(100) 보다는 토스토기 전면부 쪽에 위치한다.
내열 투명 유리(200)는 열 팽창율이 낮고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잘 깨어지지 않으며 연화온도가 보통 유리보다 높은(섭씨 1000 도 내외) 유리를 말하며, 규산 물질에 산화 붕소를 함유하는 붕규산유리 등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내열 투명 유리(200)에는 히팅 열선(210)이 부착되어 있는데, 히팅 열선(210)은 고온을 발생시키는 선재, 예를 들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체 저항에 의한 발열작용으로 고온을 발생시키는 금속 전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히팅 열선(210)은 고온을 잘 견디면서 저항률이 크고 철사로 만들기 쉬운 도체 재료를 사용한 전선인데, 철과 크롬의 합금, 니켈과 크롬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팅 열선(210)은 접착 재료를 이용해 내열 투명 유리(200)에 부착될 수 있지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 투명 유리(200)에 안착홈(211)을 형성하여 안착홈(211)에 히팅 열선(210)을 삽입하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4의 내열 투명 유리(200)의 안착홈(211)은 내열 투명 유리(200)의 삽입 공간부 방향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 열선(210)과 내열 투명 유리(200)가 맞닿는 부위에 단열재 및/또는 절연체가 히팅 열선(210)을 따라 삽입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히팅 열선(2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내열 투명 유리(2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도 4a 에서 히팅 열선(210)은 가로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내열 투명 유리(200)에 부착된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세로 방향 또는 원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와 같이 안착홈(211)에 히팅 열선(210)이 삽입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 3의 A-A')이 도 4b에 나타나 있다.
물론,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내열 투명 유리(200)에 안착홈(211)을 형성하는 대신에 내열 투명 유리(200) 표면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연체를 부착시켜, 히팅 열선(210)이 해당 절연체 위에 고정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5는 도 4b와 같이 단면도에 해당한다.
즉,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절연체(212)를 삽입 공간부 방향의 내열 투명 유리(200) 표면 가로 방향으로 여러 개 부착시키고, 히팅 열선(210)을 해당 절연체(212) 위 내열 투명 유리(200) 상에 부착시킴으로써 히팅 열선(210)의 온도 상승에 따른 처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내열 투명 유리(200)의 투명도는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식빵이 구워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내열 투명 유리(200)는 이처럼 히팅 열선(210)의 고정 장착은 물론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의 구워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히팅 열선(21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직접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수행한다.
내열 투명 유리(200)의 양단부는 히팅 열판(100)과 마찬가지로 지지대(220)에 부착되고, 내열 투명 유리(200) 지지대(220)는 외장 케이스(300) 몸체(320)의 아랫면 끼움 홈(322)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히팅 열판(100)과 내열 투명 유리(200) 사이에는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식빵을 삽입 공간부에 삽입시켜 히팅 열판(100)과 히팅 열선(210)의 가열에 의해 식빵이 구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삽입 공간부에는 식빵의 삽입과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 보조 선반(미 도시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삽입 보조 선반은 사용자의 선반 추출 버튼(323)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외장 케이스(300)의 상판(310) 삽입구(311)를 통해 돌출되고, 사용자는 돌출되는 삽입 보조 선반에 식빵을 세로로 올려 놓고 아래로 누르거나 또는 선반 추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식빵을 삽입 보조 선반과 함께 삽입 공간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보조 선반의 구성 및 동작(상/하 운동)은 공지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요지와는 상관없는 것이므로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외장 케이스(300)는 상판(310), 몸체(320), 투시창(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310)에는 굽고자 하는 식빵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320)에는 식빵을 굽기 위해 조작하는 각종 버튼(온도 조절 버튼(324), 선반 추출 버튼(323) 등)과 표시장치(325) 등이 구비되어 있고, 특히 몸체(320) 하판에는 히팅 열판(100)과 내열 투명 유리(20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 220)가 삽입되도록 하는 끼움 홈(321, 322)이 구비될 수 있다.
투시창(330)은 외장 케이스(300) 몸체(320)의 전면 부에 부착되는 투명 창으로서, 유리, 아크릴 등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다만 외부에서 토스터기 내부, 특히 삽입 공간부에 위치하는 식빵의 구워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빛 투과율을 가지면 된다.
상기 외장 케이스(300)의 투시창(330)과 내열 투명 유리(20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어 내열 투명 유리(200)에 부착된 히팅 열선(21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내열 투명 유리(200)를 따라 직접 투시창(3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투시창(330)에 손을 대는 경우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외장 케이스(300)의 투시창(330)과 내열 투명 유리(200) 사이에 또 다른 차단 유리벽을 두어 외부로의 열 전달을 확실히 막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삽입 공간부의 일 측에만 내열 투명 유리(200)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삽입 공간부의 양 측(즉, 전면부 및 후면부) 모두에 히팅 열선(210)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200)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외장 케이스(3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투시창(330)을 형성함으로써 삽입 공간부에 삽입된 식빵의 양쪽 면의 구워진 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토스터기 외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기의 외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토스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토스터기의 내열 투명 유리에 히팅 열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내열 투명 유리의 안착홈에 히팅 열선이 삽입 안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b의 안착홈 대신에 절연체를 이용하여 히팅 열선을 내열 투명 유리에 고정시키는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히팅 열판 200 : 내열 투명 유리
300 : 외장 케이스 120 : 히팅 열판 지지대
210 : 히팅 열선 220 : 내열 투명 유리 지지대
310 : 외장 케이스 상판 311 : 삽입구
320 : 외장 케이스 몸체 321, 322 : 끼움 홈
330 : 투시창

Claims (8)

  1. 내부에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하는 토스터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히팅 열판과;
    상기 삽입 공간부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히팅 열선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와;
    상기 히팅 열판과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열 투명 유리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가 보이도록 외측 면에 투시창이 구비된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2. 식빵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는 식빵을 가열하는 토스터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히팅 열선이 부착된 내열 투명 유리와;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열 투명 유리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가 각각 보이도록 외측 면 양쪽에 투시창이 구비된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투명 유리의 좌, 우 측에는 각각 내열 투명 유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히팅 열선은 상기 내열 투명 유리의 삽입 공간부 방향 넓은 면에 수회 가로질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투시창은 상기 내열 투명 유리와 소정 이격거리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투시창과 상기 내열 투명 유리 사이에는 열 차단 유리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투명 유리에는 안착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팅 열선은 상기 내열 투명 유리의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열선과 상기 내열 투명 유리가 맞닿는 부위에 단열재 및/또는 절 연체가 히팅 열선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열선이 상기 내열 투명 유리에 닿는 부위 아래 쪽에 상기 히팅 열선을 따라 절연체가 소정 높이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기.
KR2020080008194U 2008-06-19 2008-06-19 토스터기 KR20090013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94U KR20090013113U (ko) 2008-06-19 2008-06-19 토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94U KR20090013113U (ko) 2008-06-19 2008-06-19 토스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13U true KR20090013113U (ko) 2009-12-30

Family

ID=4929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194U KR20090013113U (ko) 2008-06-19 2008-06-19 토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11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0144A1 (en) * 2012-02-29 2013-08-29 Tsann Kuen (Zhang Zhou) Enterprise Co., Ltd. Toaster
KR200468711Y1 (ko) * 2013-05-08 2013-08-29 임영균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WO2015068886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티앤비나노일렉 전기 토스터기
EP3900584A1 (de) * 2021-03-22 2021-10-27 Walter Werkzeuge Salzburg GmbH Grillgerä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0144A1 (en) * 2012-02-29 2013-08-29 Tsann Kuen (Zhang Zhou) Enterprise Co., Ltd. Toaster
US10238237B2 (en) * 2012-02-29 2019-03-26 Tsann Kuen (Zhanzhou) Enterprise Co., Ltd. Toaster
KR200468711Y1 (ko) * 2013-05-08 2013-08-29 임영균 투시창을 갖는 토스터
WO2015068886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티앤비나노일렉 전기 토스터기
EP3900584A1 (de) * 2021-03-22 2021-10-27 Walter Werkzeuge Salzburg GmbH Grillgerä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0085A2 (en) Cooking oven with anti-condensation door
US6125234A (en) Cooking apparatus with transparent heating plates
US20080264930A1 (en) Electric Heating Structure
KR20090013113U (ko) 토스터기
GB2470292A (en) Grill or toaster with thin film heating elements incorporated into transparent front panel
JP5198099B2 (ja) 加熱調理器
US2571218A (en) Electrical furnace
EP2578122B1 (en) Toas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hot chamber isolation with passive ventilation
JP6189677B2 (ja) 加熱調理器
JP4833243B2 (ja) グリル扉
KR101041163B1 (ko) 투명 가열수단을 구비한 토우스터
JP2019138526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1311478B1 (ko) 양면팬이 구비된 조리기
US9888810B2 (en) Toaster
JP6675084B2 (ja) 厨房装置
JP4597903B2 (ja) トースター
JP6607377B2 (ja) 加熱調理器
KR100514926B1 (ko) 조리장치
JP7386416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JP6062910B2 (ja) グリル扉
WO2019129440A1 (en) Profile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s in a transparent cooker
JPH0147169B2 (ko)
JP3740145B2 (ja) スフレケーキ用オーブン
US1555272A (en) Radiant heater
JPH04197216A (ja) ロー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