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74Y1 -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74Y1
KR200468674Y1 KR2020110010189U KR20110010189U KR200468674Y1 KR 200468674 Y1 KR200468674 Y1 KR 200468674Y1 KR 2020110010189 U KR2020110010189 U KR 2020110010189U KR 20110010189 U KR20110010189 U KR 20110010189U KR 200468674 Y1 KR200468674 Y1 KR 200468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sition frame
elastic
pressing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05U (ko
Inventor
카이티 양
Original Assignee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10010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7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는, 가공홈과 압박마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가공홈내에는 제 1, 2 포지션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2 포지션 프레임은 접할시킬 제 1, 2 적층패널을 정확하게 정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측과 제 1 포지션 프레임사이에는 여러 개의 탄성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제 2 적층패널과 제 1 적층패널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에는 연성의 압축면을 구비한 압박유닛이 설치되며, 압축할 때, 상기 압박마스크는 상기 가공홈의 상부를 촘촘히 커버하며, 또한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가공홈에는 진공이 형성되며, 압박유닛을 통해 제 2 적층패널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제 2 적층패널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지지력을 극복하여 하향으로 이동되며, 제 1, 2 적층패널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다.

Description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AN IMPROVED STRUCTURE OF PANEL PRESSING DEVICE}
본 고안은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패널의 공정에 사용되는 유리판과 경성 플레이트 또는 가요성 박막 등 여러 개의 접합층을 프레싱하여 일체로 접착시킨 일종의 패널 프레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여러 개의 유리판과 가요성 박막 등의 적층패널로 접착된 것이며, 동시에 두 개의 저항 필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향하게 배치하여 상기 적층패널사이에 밀봉된다. 보통 이러한 적층패널사이의 접착수단은 가요성 박막을 상부 가공홈의 밑표면에 고정시키고, 단단한 재질인 유리판은 하부 가공홈의 윗표면에 고정시킨 후, 상 하부 가공홈을 맞물리게 하여, 상부 또는 하부의 가공홈에 적당한 프레싱 응력을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과 상기 가요성 박막이 각기 표면에 있는 접착제 및 가공홈의 압축력에 인하여 일체로 접착되게 한다.
종래의 기술은 각 적층패널을 상 하부 가공홈에 장착시킬 때, 설정 타겟을 이용하여 위치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방식은 조작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시간도 낭비되며, 또한 효율은 향상되기 어려우며, 높은 집중력으로 인해 조작인원의 피곤을 초래하여 실수를 용이하게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가공품의 품질은 안정되기 어렵다.
현재 대부분은 실린더 방출장치로 가공홈에 압축응력을 인가하며, 이러한 인가방식은 상기 실린더 방출장치의 인가력을 한 포인트에 집중시키므로, 상기 가공홈의 표면은 반복적이면서도 큰 압축응력을 받게 되어 돌출, 변형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평평한 프레싱 효과는 보장되지 못한다.
이외에, 상기 실린더축의 압축응력은 가공홈의 중앙 부위에 인가되도록 설계하여, 상기 압축응력은 가공홈의 각 부위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한다. 특히 압축시킬 가공품을 편향되게 설치하였을 때, 상기 적층패널의 각 부위에서 받는 압축응력은 서로 다르며, 이는 평평하지 못한 프레싱을 발생시킨다. 심할 때는 상기 가공품의 일부분은 짓눌려 깨지고, 다른 일부분은 아예 접합되지 못한 상황이 벌어진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일반 작업 환경에서 평면 접합의 프레싱을 진행할 때, 접합면내에 기포를 자주 발생시키므로, 가공의 불량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를 제공하여, 그 가공홈에는 포지션 프레임이 설치되어 여러 개의 적층패널을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정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가공홈내에는 진공이 형성되며, 또한 연성의 압축면을 구비한 압박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패널에 압축력을 제공하며, 적층패널의 각 부위는 균일한 압축력을 받게 되어 일체로 접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를 제공하며, 본 고안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는, 가공홈이 포함되고, 상기 가공홈의 밑벽에는 지지기판이 설치되어 제 1 적층패널의 적층에 사용되며, 상기 가공홈에는 진공 펌프와 연통되는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포지션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포지션 프레임은 상기 지지기판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어 제 1 적층패널의 적층위치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제 1 적층패널의 바깥면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다.
또한, 제 2 포지션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은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어 제 2 적층패널의 적층위치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제 2 적층패널의 바깥면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다.
여러 개의 탄성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여러 개의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측과 제 1 포지션 프레임사이에 설치되며, 제 2 적층패널에 지지력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2 적층패널과 제 1 적층패널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압박마스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압박마스크는 상기 가공홈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닫히거나 또는 열어지며,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 동시에 제 2 적층패널의 적층위치에는 압박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압박유닛은 연성의 압축면을 구비한다.
제 1, 2 포지션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1, 2 적층패널을 정확하게 상기 가공홈에 적층시키며, 또한 압박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가공홈의 상부를 촘촘히 커버하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가공홈은 진공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압박유닛에서 제 2 적층패널에 대하여 압축력을 제공하여, 제 2 적층패널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지지력을 극복하여 하향으로 이동되며, 제 1, 2 적층패널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곧게 설치된 탄성핀 또는 스프링이며, 또한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탄성핀 또는 스프링이다. 상기 탄성핀은 우수한 탄성과 변형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 재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 등에서 선택되며, 실시되는 범위는 상기 재료에 국한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에 설치된 익스펜션 스냅이며, 상기 익스펜션 스냅은 멈춤쇠와 스프링이 포함되며, 상기 멈춤쇠의 일단은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과 연결되며, 또한 상기 멈춤쇠의 타단의 측면은 상기 스프링에 지지된다.
상기 압박마스크의 압박유닛은 탄성 필름이며, 상기 탄성 필름의 변두리는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에 밀착되게 접합되며, 상기 탄성 필름의 중앙 부위에는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박유닛은 탄성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할 때 공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탄성 필름 또는 탄성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공기를 빼며, 또한 압박유닛에 인가하는 압축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 1, 2 적층패널사이에는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광학 필름(OCA) 또는 아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등이며, 상기 접착층은 제 1 적층패널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적층패널의 하부 표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적층패널은 단단한 재질인 박판을 택해야 하며, 예를 들면 유리판이다.
또한, 제 1 적층패널은 단단한 재질인 박판 또는 연한 재질인 박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를 제공하여, 그 가공홈에는 포지션 프레임이 설치되어 여러 개의 적층패널을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정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가공홈내에는 진공이 형성되며, 또한 연성의 압축면을 구비한 압박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패널에 압축력을 제공하며, 적층패널의 각 부위는 균일한 압축력을 받게 되어 일체로 접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압박마스크와 가공홈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가공홈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압박마스크와 가공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탄성 필름이 공기를 주입할 때, 상 하부 패널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탄성 필름이 공기를 주입할 때, 상 하부 패널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 필름이 공기를 주입할 때, 상 하부 패널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방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는 주로 가공홈(1)과, 상기 가공홈과 상하로 대응되며 커버의 역할을 하는 압박마스크(2)로 구성된다.
상기 가공홈은 아래로 오목되는 홈 형상의 작업공간을 갖고 있고, 홈 밑벽의 중앙부위에는 지지기판(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홈에는 진공 펌프(미도시)와 연통되는 통풍 구멍(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판(11)의 외측 주변에는 하부 포지션 프레임(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내에는 접합시킬 하부 패널(6)을 적층할 수 있으며, 하부 패널(6)의 적층위치는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정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포지션 프레임(3)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 패널(6)의 바깥면의 높이보다 약간 낮아야 하며, 이는 적층패널사이에 프레싱 동작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포지션 프레임(3)의 외측 주변에는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의 벽 내측, 동시에 상기 하부 포지션 프레임(3)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4개의 탄성핀(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의 벽 내측에는 접합시킬 상부 패널(7)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핀(5)을 통해 상부 패널(7)의 밑면을 지지하여, 상 하부 패널(7, 6)사이에는 적당한 간격을 유지시키며, 동시에 상부 패널(7)의 적층위치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정위치된다. 특히,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의 가장자리는 상부 패널(7)의 바깥면의 설치높이보다 약간 낮아야 하며, 이는 적층패널사이에 프레싱 동작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핀(5)은 우수한 탄성 변형 특성이 구비되어야 하기에, 탄성핀의 재료는 보통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 등에서 선택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패널사이에는 접착층(8)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은 광학 필름 또는 아이소프렌고무 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포 또는 인쇄 등 수단으로 하부 패널(6)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패널(7)의 하부 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패널(7)은 단단한 재질인 박판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유리판이며, 이는 상기 탄성핀(5)의 지지를 통해 정위치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패널(6)은 단단한 재질인 박판 또는 연한 재질인 박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박마스크(2)는 자유롭게 닫히거나 또는 열어지게 상기 가공홈(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에는 탄성 필름(25)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 필름(25)의 주변은 프레임 압착링(26)에 의해 너트로 고정되며, 또한 상기 필름의 주변은 상기 압박마스크(2)의 밑면 주변과 밀봉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 필름의 중앙 부위에는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의 중앙부위에는 공기 펌프와 연통되는 통풍 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필름(25)은 고무 재료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 펌프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공기를 빼는 작업을 진행시켜, 상기 탄성 필름(25)의 압축력 발생 여부 및 압축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본 고안을 동작시킨다. 작업인원은 먼저 접할시킬 하부 패널(6)을 상기 하부 포지션 프레임(3)내의 지지기판(11)위에 적층하고, 또 접할시킬 상부 패널(7)을 상기 상부 포지션 프레임(4)내에 적층하며, 동시에 상기 탄성핀(5)의 지지를 통해 정위치시킨다. 그 후에, 상기 압박마스크(2)와 가공홈(1)을 상 하로 대응되게 밀접시킨다. 그 다음에,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가공홈(1)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압박마스크(2)의 공기 펌프와 연통되어 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탄성 필름(25)은 점점 부풀어 아래로 눌러서, 상기 탄성 필름(25)은 상부 패널(7)에 아래로 향한 균일한 압축력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그 밑면의 탄성핀(5)은 압축 변형되어 아래로 이동되며, 상 하부 패널(7, 6)은 압축되어 일체로 접합된다.
상 하부 패널(7, 6)에 대한 압축을 완성한 후, 상기 공기 펌프는 공기를 방출시켜 상기 탄성 필름(25)을 다시 수축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진공 펌프는 가공홈(1)에 공기를 백필한다. 그 후에, 상기 압박마스크(2)와 가공홈(1)사이를 분리시켜, 접합이 완성된 패널제품을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공홈(1)내에 포지션 프레임(3, 4)을 설치하여, 접합시킬 상 하부 패널(7, 6)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정위치시키며, 또한 탄성 필름(25)에 공기를 주입시켜 프레싱 응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기 패널(6, 7)은 평평한 프레싱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패널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공할 때 상기 압박마스크(2)와 가공홈(1)을 밀접되게 합치며, 동시에 가홈홈 내에 진공을 형성시켜, 패널의 접합면내에 기포가 내장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가공의 양품율 및 제품의 품질도 향상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여 기술적사상에 이탈되지 않는 여러 개량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핀(5)을 스프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핀은 수직으로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의 내측 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핀(5’)은 탄성 변형 특성에 의해 압축을 받을 때 아래로 굽히게 되어, 상부 패널(7)은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패널(6)과 일체로 접합된다(도 6 참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핀을 상부 포지션 프레임(4)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익스펜션 스냅구조로 고칠 수 있으며, 이는 멈춤쇠(91) 및 스프링(92)으로 구성되며, 상기 멈춤쇠(91)의 일단은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측 벽에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멈춤쇠의 타단의 측면은 상기 스프링(92)에 지지되며, 상기 멈춤쇠(91)는 압축을 받을 때 아래로 돌려서, 상부 패널(7)은 하향으로 이동되어 하부 패널(6)과 일체로 접합된다(도 8 참조).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과 범위에서 이탈되지 않는 한 본 고안에 관련된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는 모두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에 있어서,
    가공홈이 포함되고, 상기 가공홈의 밑벽에는 지지기판이 설치되어 제 1 적층패널의 적층에 사용되며, 상기 가공홈에는 진공 펌프와 연통되는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포지션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포지션 프레임은 상기 지지기판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어 제 1 적층패널의 적층위치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제 1 적층패널의 바깥면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며;
    제 2 포지션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은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어 제 2 적층패널의 적층위치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제 2 적층패널의 바깥면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며;
    여러 개의 탄성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여러 개의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측과 제 1 포지션 프레임사이에 설치되며, 제 2 적층패널에 지지력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제 2 적층패널과 제 1 적층패널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압박마스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압박마스크는 상기 가공홈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에는 탄성 필름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 필름의 주변은 프레임 압착링에 의해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필름의 주변은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 주변과 밀봉 연결되며, 상기 탄성 필름의 중앙 부위에는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압박마스크의 밑면의 중앙부위에는 공기 펌프와 연통되는 통풍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1 포지션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곧게 설치된 탄성핀이며, 상기 탄성핀의 재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에서 선택되는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탄성핀이며, 상기 탄성핀의 재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에서 선택되는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에 설치된 익스펜션 스냅이며, 상기 익스펜션 스냅은 멈춤쇠와 스프링이 포함되며, 상기 멈춤쇠의 일단은 제 2 포지션 프레임의 내벽과 연결되며, 또한 상기 멈춤쇠의 타단의 측면은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층패널은 단단한 재질인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층패널의 상부 표면에는 접착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층패널의 하부 표면에는 접착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9. 삭제
  10. 삭제
KR2020110010189U 2011-11-17 2011-11-17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KR200468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89U KR200468674Y1 (ko) 2011-11-17 2011-11-17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89U KR200468674Y1 (ko) 2011-11-17 2011-11-17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5U KR20130003105U (ko) 2013-05-27
KR200468674Y1 true KR200468674Y1 (ko) 2013-08-28

Family

ID=5139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189U KR200468674Y1 (ko) 2011-11-17 2011-11-17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1B1 (ko) 2009-03-24 2010-08-20 세광테크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KR101029354B1 (ko) 2010-09-14 2011-04-15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 접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1B1 (ko) 2009-03-24 2010-08-20 세광테크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KR101029354B1 (ko) 2010-09-14 2011-04-15 (주) 아이엠텍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 접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5U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371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86380B1 (ko) 곡선면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KR10253737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614591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KR101932124B1 (ko) 지그 조립체, 라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방법
JP5422767B1 (ja) 貼り合わせ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
KR2014001091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20160070876A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76285B1 (ko) 사방에 코너부를 갖는 사방 엣지형 윈도우 기판의 코너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JP5654155B1 (ja) ワーク貼り合わせ装置
WO2019109437A1 (zh) 保护膜贴合装置及贴合方法
JP2013080046A (ja) 貼り合せ装置
TW201416231A (zh) 面板貼附方法及面板貼附裝置
TW201516546A (zh) 貼合設備的製造裝置及貼合設備的製造方法
KR20160002701A (ko)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18167537A (ja) 貼合装置
CN202293573U (zh) 构造改良的面板压合装置
JP2018069702A (ja) 真空貼合装置及び真空貼合装置用治具
KR200468674Y1 (ko) 개량구조를 가진 패널 프레싱 장치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CN112416164A (zh) 触控显示面板的贴合方法、触控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03847207A (zh) 基板贴合装置和基板贴合方法
KR101426614B1 (ko) 합착 장치
JP2015187648A (ja) 貼合方法および貼合装置
US20130068393A1 (en) Laminating equipment for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