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69Y1 -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 Google Patents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69Y1
KR200468469Y1 KR2020110007703U KR20110007703U KR200468469Y1 KR 200468469 Y1 KR200468469 Y1 KR 200468469Y1 KR 2020110007703 U KR2020110007703 U KR 2020110007703U KR 20110007703 U KR20110007703 U KR 20110007703U KR 200468469 Y1 KR200468469 Y1 KR 200468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rt
traffic safety
holder
safety equipm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74U (ko
Inventor
김재운
김희철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7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6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 안전 장구를 설치 및 철수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교통 안전 장구가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납함의 하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함에 접철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주행용 바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MOVING CART OF TRAFFIC SAFETY EQUIPMENTS}
본 고안은 도로에서 교통 안전 장구의 설치 시간과 철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의 상황을 알려주도록 로드콘, 경광등, 교통 표지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를 유지 보수할 때, 교통 시설물을 설치 또는 유지 보수할 때, 교통 사고시 등 다양한 경우에 도로에는 로드콘, 경광등 및 교통 표시판 등(이하, "교통 안전 장구"라 함)이 배치될 수 있다.
교통 안전 장구는 교통 순찰차를 이용하여 현장에 운송된다. 운송된 교통 안전 장구는 유지보수작업장 또는 교통사고현장의 전방과 후방에 길게 배열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9-022296호에는 교통 안전 장구의 일종인 야광 우레탄으로 제작된 로드콘이 개시된다. 로드콘은 유지보수작업장 또는 교통사고현장의 전후방에 길게 늘어서게 배열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276호(2003.08.12 등록)에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안전 삼각대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인식 가능성을 높인다.
도로교통법에는 야간에 유지보수작업장 또는 교통사고현장에서 200m 정도의 구간에 교통 안전 장구를 설치하게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교통 안전 장구는 종류가 많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사고 위험성이 있다. 또한, 교통 장구를 하나씩 교통 순찰차에 실으면서 철거해야 하므로, 교통 안전 장구를 철거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또한, 교통 순찰차에서 다른 교통 순찰차로 교통 안전 장구를 옮기는 데에도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본 고안은 도로에서 교통 안전 장구의 설치 시간과 철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교통 안전 장구가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납함의 하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함에 접철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주행용 바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함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출용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의 내부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단 후방측과 수납함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 전방측과 수납함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착탈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착탈핀에 연결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각 착탈핀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의 좌우방향으로 일부분이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겹쳐진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종동 로드; 상기 한 쌍의 종동 로드의 겹쳐진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겹쳐진 슬릿을 확장 및 축소시키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슬라이드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의 양측면은 수납함의 전방측으로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종동 로드의 겹쳐진 부분에는 상기 종동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로드는 수납함의 전방측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전방측 끝단부에는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납함의 하측에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레그 및 제2레그; 및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주행용 바퀴가 설치되는 연결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그의 상단부는 상기 제2레그의 상단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레그의 상단부와 수납함의 하부는 한 쌍의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레그의 상단부와 수납함의 하부는 한 쌍의 착탈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 배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의 후면에는 배치되는 경광등; 및 상기 경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빙 카트를 이동시키면서 교통 안전 장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로에서 교통 안전 장구의 설치 시간과 철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가 순찰 차량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태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빙 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빙 카트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무빙 카트의 하부에 설치된 록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무빙 카트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무빙 카트에서 레버가 약간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무빙 카트에서 레버가 완전히 당겨짐에 따라 착탈핀이 빠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무빙 카트가 차량에서 인출된 후 지지대가 아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무빙 카트가 도로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무빙 카트에서 지지대의 전방측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가 순찰 차량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태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 순찰차(10)의 적재부에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100)가 탑재될 수 있다. 적재부의 바닥면에는 무빙 카트(100)가 탑재된 상태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팔레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팔레트(11)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팔레트(11)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팔레트(1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 레일이나 안내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팔레트(11)의 상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는, 수납함(110), 지지대(120) 및 다수의 주행용 바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함(110)은 내부에 교통 안전 장구(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다. 수납함(110)은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110)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수납함(110)의 내부는 교통 안전 장구를 종류별로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납함(110)의 내부에는 로드콘 적재부(111), 표지판 적재부(112) 및 다용도 적재부(113) 등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콘 적재부(111)에는 다수의 로드콘이 겹쳐진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10 개 정도의 로드 콘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표지판 적재부(112)는 얇은 판 형태의 교통 표지판이 여러 개 수납되도록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용도 적재부(113)는 로드콘 적재부(111)와 표지판 적재부(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용도 적재부(113)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용도 적재부(113)에는 안전 삼각대 등 적층 또는 겹쳐지기 곤란한 다양한 장구들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한 수납함(110)은 교통 안전 장구의 무게를 견디면서도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납함(110)의 구멍들은 우천시 비나 눈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도 있다.
수납함(110)의 전면에는 손잡이(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손잡이(115)는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무빙 카트(100)를 끌어 당기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납함(110)의 전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함(110)의 전면이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수납함(110)에서 교통 안전 장구들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도로에 설치할 수 있다.
수납함(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인출용 바퀴(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출용 바퀴(135)들은 교통 순찰차(10)의 슬라이딩 팔레트(11) 상면에서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인출용 바퀴(135)들은 수납함(110)에 많은 교통 안전 장구를 적재한 상태에서도 수납함(11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120)는 수납함(1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수납함(110)의 하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함(110)의 외측에 접철될 수 있다.
지지대(120)의 상단 후방측과 수납함(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회전축(121)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21)은 지지대(120)가 접철되거나 펼쳐질 때에 지지대(120)의 회전 중심을 이룬다.
지지대(120)의 상단 전방측과 수납함(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착탈핀(122)이 결합되도록 착탈홈(125a: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착탈핀(122)은 수납함(110)과 지지대(120)를 구속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착탈핀(122)은 수납함(110)의 하부에 수납함(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사각판 형태, 다수의 봉이 연결된 형태 또는 프레임 형태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지지대(120)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대(120)는 제1레그(124), 제2레그(125) 및 연결 레그(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는 수납함(110)의 하측에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레그(124)는 수납함(110)의 하부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2레그(125)는 수납함(110)의 하부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제1레그(124)의 상단부는 제2레그(125)의 상단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가 교차하는 구조이므로, 수납함(110)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무빙 카트(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레그(124)의 상단부는 수납함(110)의 하부에 한 쌍의 회전축(1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레그(125)의 상단부에는 수납함(110)의 하부에 한 쌍의 착탈핀(122)에 의해 결합되도록 착탈홈(12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20)는 수납함(110)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2레그(125)의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전방측에서 지지대(120)를 잡고 들어 올려 수납함(110)에 접철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측에서 지지대(120)를 잡고 내림에 따라 수납함(110)에서 지지대(120)를 아래로 펼칠 수 있다.
연결 레그(127)는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연결 레그(127)는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가 교차된 구조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연결 레그(127)에는 다수의 주행용 바퀴(131)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용 바퀴(131)들은 연결 레그(127)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용 바퀴(131)는 도로에서 무빙 카트(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자가 도로상에서 무빙 카트(100)를 끌고 다니면서 교통 안전 장구를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안전 장구의 설치 시간과 철거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교통 순찰차(10)가 도로 상에서 정차된 상태에서 무빙 카트(100)를 이동하면서 교통 안전 장구를 설치 및 철거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교통 순찰차는 방어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결 레그(127)들은 보강 레그(1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강 레그(128)는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빙 카트(100)가 주행용 바퀴(131)에 의해 이동될 때에 무빙 카트(1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의 교차된 부분에는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강성 보강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강성 보강부(129)는 제1레그(124)와 제2레그(125)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강성 보강부(129)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무빙 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무빙 카트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드콘 적재부(111)의 후면에는 로드콘의 꼭지 부분이 지지되도록 원호 형태의 지지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콘의 꼭지 부분이 지지홈(116)에 지지됨에 따라 로드콘들이 평행하게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로드콘을 하나씩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수납함(110)의 후면에는 경광등(117)이 배치되고, 상기 경광등(1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경광등(117)은 다수의 엘이디를 배열하여 화살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광등(117)은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무빙 카트의 하부에 설치된 록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착탈핀(122)에 연결되는 록킹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장치(140)는 수납함(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장치(140)는, 한 쌍의 종동 로드(141), 슬라이드판(145) 및 구동 로드(14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종동 로드(141)는 해당 착탈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종동 로드(141)는 수납함(110)의 좌우방향으로 일부분이 겹쳐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 로드(141)는 가늘고 긴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종동 로드(141)의 겹쳐진 부분에는 종동 로드(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4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42)은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종동 로드(141)가 양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슬릿(142)의 겹쳐진 부분의 길이가 변화된다.
각 종동 로드(141)는 탄성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3)는 각 종동 로드(141)를 수납함(110)의 양측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143)에는 종동 로드(141)의 끝단부가 삽입되고, 종동 로드(141)의 끝단부에는 착탈핀(122)이 연결된다. 착탈핀(122)과 종동 로드(14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종동 부재의 겹쳐진 부분에 설치된 가이드 리브(1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4)는 종동 리브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종동 리브가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드판(145)은 한 쌍의 종동 로드(141)의 겹쳐진 슬릿(142)에 삽입되어 상기 겹쳐진 슬릿(142)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판(145)의 양측면은 수납함(110)의 전방측으로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판(145)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판(145)에는 구동 로드(147)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가늘고 긴 슬라이드홈(145a)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45a)에는 스토퍼(145b)가 결합되어 슬라이드판(145)이 전방측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홈(145a)은 종동 로드(141)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로드(147)는 슬라이드판(14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로드(147)는 슬라이드판(14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로드(147)는 수납함(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로드(147)는 가늘고 긴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로드(147)의 전방측 끝단부는 수납함(110)의 전방측을 관통할 수 있다. 구동 로드(147)의 전방측 끝단부에는 레버(149)가 연결될 수 있다. 레버(149)를 당기면 구동 로드(147)가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착탈핀(122)이 수납함(11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지지대(120)가 수납함(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지지대(120)를 회전시켜 수납함(110)에 접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로를 유지 보수하거나, 교통 시설물을 설치 또는 유지 보수하거나 또는 교통 사고시에는, 교통 순찰차(10)가 현장에 출동하여 무빙 카트(100)를 도로에 내릴 수 있다.
도 6은 무빙 카트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팔레트(11)가 교통 순찰차(10)의 적재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팔레트(11)에는 무빙 카트(100)가 탑재되어 있다. 이때, 무빙 카트(100)의 지지대(120)는 수납함(110)에 접철된 상태이다.
도 7은 무빙 카트에서 레버가 약간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무빙 카트에서 레버가 완전히 당겨짐에 따라 착탈핀이 빠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팔레트(11)가 완전히 인출되면, 작업자는 무빙 카트(100)의 레버(149)를 잡아당겨 구동 로드(147)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드판(145)은 구동 로드(147)와 함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종동 로드(141)의 겹쳐진 슬릿(142)의 길이를 넓힌다. 한 쌍의 종동 로드(141)는 수납함(11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된다.
구동 로드(147)가 전방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종동 로드(141)는 수납함(110)의 중심부 측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이때, 착탈핀(122)은 수납함(110)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지지대(120)의 착탈홈(125a)에서 빠지게 된다.
도 9는 무빙 카트가 차량에서 인출된 후 지지대가 아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무빙 카트가 도로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무빙 카트(100)가 슬라이딩 팔레트(11)에서 인출되면, 인출용 바퀴(135)는 슬라이딩 팔레트(11)에서 회전된다. 무빙 카트(100)가 슬라이딩 팔레트(11)에서 인출됨에 따라 지지대(120)는 자중에 의해 수납함(110)의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지지대(120)는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무빙 카트(100)가 슬라이딩 팔레트(11)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지지대(120)는 무빙 카트(10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이때, 작업자는 레버(149)를 잡아당긴 후 다시 놓으면, 착탈핀(122)이 지지대(120)의 착탈홈(125a)에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대(120)는 수납함(110)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무빙 카트(100)는 수납함(110)에 다양한 교통 안전 장구가 수용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잡고 무빙 카트(10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교통 안전 장구를 일정 간격마다 설치한다. 예를 들어, 무빙 카트(100)를 이동시키면서 삼각대, 로드콘 및 표지판 등을 적절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안전 장구의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의 유지 보수가 완료된 때, 교통 시설물을 설치 또는 유지 보수가 완료된 때, 교통 사고의 수습이 완료된 때에는, 무빙 카트(100)를 이용하여 교통 안전 장구를 철거할 수 있다. 이때, 무빙 카트(100)를 도로상에서 이동시키면서 교통 안전 장구를 철거할 수 있으므로, 교통 안전 장구의 철거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무빙 카트에서 지지대의 전방측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빙 카트(100)를 이용하여 교통 안전 장구를 완전히 철거시키면, 무빙 카트(100)는 교통 순찰차(10)의 적재부에 다시 적재된다. 이때, 작업자는 레버(149)를 잡아 당겨 수납함(110)과 지지대(120)를 분리시킨다. 무빙 카트(100)는 상기한 지지대(120)를 펼치는 순서와 반대로 지지대(120)를 수납함(110)에 접철할 수 있다.
또한, 무빙 카트(100)는 다른 교통 순찰차(10)로 옮길 수도 있다. 이때, 무빙 카트(100)를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바닥에 내려 놓은 후 다른 교통 순찰차(10)로 옮길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안전 장구를 하나씩 다른 교통 순찰차(10)로 옮기는 것에 비해 무빙 카트(100)를 옮기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무빙 카트 110: 수납함
120: 지지대 121: 회전축
122: 착탈핀 124: 제1레그
125: 제2레그 125a: 착탈홈
127: 연결 레그 128: 보강 레그
131: 주행용 바퀴 135: 인출용 바퀴
140: 록킹장치 141: 종동 로드
142: 슬릿 143: 탄성부재
145: 슬라이드판 147: 구동 로드

Claims (13)

  1. 내부에 교통 안전 장구가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납함의 하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함에 접철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주행용 바퀴;
    상기 지지대의 상단 후방측과 수납함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 전방측과 수납함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착탈핀을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출용 바퀴를 더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내부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전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착탈핀에 연결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각 착탈핀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의 좌우방향으로 일부분이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겹쳐진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종동 로드;
    상기 한 쌍의 종동 로드의 겹쳐진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겹쳐진 슬릿을 확장 및 축소시키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슬라이드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의 양측면은 수납함의 전방측으로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종동 로드의 겹쳐진 부분에는 상기 종동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더 포함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는 수납함의 전방측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전방측 끝단부에는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납함의 하측에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레그 및 제2레그; 및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주행용 바퀴가 설치되는 연결 레그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의 상단부는 상기 제2레그의 상단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레그의 상단부와 수납함의 하부는 한 쌍의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레그의 상단부와 수납함의 하부는 한 쌍의 착탈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 배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후면에는 배치되는 경광등; 및
    상기 경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KR2020110007703U 2011-08-24 2011-08-24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KR200468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03U KR200468469Y1 (ko) 2011-08-24 2011-08-24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03U KR200468469Y1 (ko) 2011-08-24 2011-08-24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4U KR20130001474U (ko) 2013-03-06
KR200468469Y1 true KR200468469Y1 (ko) 2013-08-20

Family

ID=5139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03U KR200468469Y1 (ko) 2011-08-24 2011-08-24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510B (zh) * 2017-07-18 2021-10-01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行走机构及采用该行走机构的道路警示装置
CN108819998B (zh) * 2018-07-31 2024-07-05 国网河南省电力公司唐河县供电公司 一种小车式检修电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0899A (en) * 1998-05-28 2000-06-06 Gines; Roberto Self-retracting cart for use in the cargo bay of a sport utility vehicle
KR200193382Y1 (ko) * 2000-04-04 2000-08-16 한국도로공사 손수레
KR200442301Y1 (ko) * 2007-05-07 2008-10-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0899A (en) * 1998-05-28 2000-06-06 Gines; Roberto Self-retracting cart for use in the cargo bay of a sport utility vehicle
KR200193382Y1 (ko) * 2000-04-04 2000-08-16 한국도로공사 손수레
KR200442301Y1 (ko) * 2007-05-07 2008-10-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이 가능한 쇼핑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4U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8067B1 (en) Rack for freight
US20110251935A1 (en) Mobile Battery Replacement Unit
KR200468469Y1 (ko) 교통 안전 장구용 무빙 카트
CN102631081B (zh) 储物箱单元及含有储物箱单元的储物柜
JP5080222B2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CN106320766A (zh) 草坪停车位
JP5785839B2 (ja) 車載式標識収納装置
US20160185531A1 (en) An item transfer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item transfer device
CN219417722U (zh) 一种多功能道路检测装置及检测车
KR102101572B1 (ko)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JP7091093B2 (ja)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CN207801348U (zh) 多功能电缆敷设车架
CN202891097U (zh) 储物箱单元及含有储物箱单元的储物柜
KR20160149047A (ko) 드럼통 캐리어
WO2008136672A1 (en) Lift construction, method for transpor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collapsing a lift construction
KR200482179Y1 (ko) 사인보드 트레일러
JP5787421B2 (ja) 重量物用移動装置
CN208585518U (zh) 电动车可回收器具
CN206690962U (zh) 一种带有新型车箱的货车
CN115370113B (zh) 一种标识牌安装用脚手架
CN212605541U (zh) 长度可调节的拖车
CN103981821B (zh) 移动式路障及拖车
CN213502023U (zh) 一种新型清障车
KR101208125B1 (ko) 비상용 삼각대가 구비된 자동차번호판지지대
CN216995511U (zh) 一种搅拌缸收放结构以及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