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09Y1 - 마사지 팩 - Google Patents

마사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09Y1
KR200468309Y1 KR2020110004877U KR20110004877U KR200468309Y1 KR 200468309 Y1 KR200468309 Y1 KR 200468309Y1 KR 2020110004877 U KR2020110004877 U KR 2020110004877U KR 20110004877 U KR20110004877 U KR 20110004877U KR 200468309 Y1 KR200468309 Y1 KR 200468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massage pack
foot
car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517U (ko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홍원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원코스텍 filed Critical (주)홍원코스텍
Priority to KR2020110004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0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마사지 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은 손 또는 발 형상의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공성 재질의 케어패드, 상기 케어패드에 도포되어 상기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의 끝단 부분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외피의 끝단 부분이 절단되도록 절취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사지 팩{a massage pack}
본 고안은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마사지 팩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피부미용에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는 용품으로는 마스크팩을 예로 들 수 있다. 마스크팩은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수가 부직포에 도포된 형태로 구성되어 마스크팩을 일정시간 동안 얼굴에 붙여 화장수로 인해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도록 사용된다.
최근에는 마스크팩을 응용하여 얼굴 외에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손 또는 발용 마사지 팩도 개시되었다.
종래의 손 또는 발용 마사지 팩은 장갑 또는 양말형태의 외피를 가지고 그 내부에 화장수가 도포된 부직포를 삽입하여 마사지 팩을 일정시간 손에 착용하는 형태로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손 또는 발용 마사지 팩은 사람마다 다양한 손 또는 발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크게 제작되고 손가락의 끝단이나 발가락의 끝단이 막혀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작업 예컨대, 일상생활을 수행하거나 손톱 또는 발톱 소재, 네일아트, 페디규어(pedicure) 등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 또는 발용 마시지 팩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운 화장수에 의해 손 또는 발에서 용이하게 이탈되고, 손 또는 발이 삽입되는 개구가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에 공기가 마사지 팩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부의 수분이 쉽게 증발하는 등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수가 벌어진 마시지 팩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 또는 발용 마사지 팩은 화장수와 상대적으로 미끄러운 재질을 가지는 외피 때문에 이동 시 미끄러져 다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수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예컨대, 네일아트, 페디큐어 또는 손톱 및 발톱 소재, 그리고 일상생활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사지 팩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화장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사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은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고 손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공성 재질의 케어패드, 상기 케어패드에 도포되어 상기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의 끝단 부분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손가락부의 끝단 부분이 절단되도록 절취홈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외피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목에 밀착되는 손목 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목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부의 상기 절취홈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손가락부를 상기 손가락에 밀착시키는 손가락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패드에서 손과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외피의 외면에서 손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은 발을 감싸고 상기 발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공성 재질의 케어패드, 상기 케어패드에 도포되어 상기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의 부분 중 발가락이 위치되는 끝단 부분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발가락이 노출되도록 절취홈이 형성된다.
상기 외피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외피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목에 밀착되는 발목 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목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의 상기 절취홈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외피가 절단되어 개방되는 부분을 상기 발에 밀착시키는 발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패드에서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외피의 외면에서 발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사지 팩의 끝단을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홈이 형성되어 마사지 팩의 끝단을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손톱 또는 발톱이 외부로 노출되어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네일아트, 페디큐어, 손톱 또는 발톱 소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밴드부가 손목, 발목 및 발, 손가락 등에 밀착되어 마사지 팩이 손 또는 발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상 생활의 수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마사지 팩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밴드부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어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일생생활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외피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외피에 열을 가하는 형태로 외피가 손 또는 발에 밀착시켜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의 수행이 가능하며, 케어패드가 손 또는 발에 밀착되어 손 또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손가락부의 끝단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사지 팩의 끝단이 절단되어 발가락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손에 착용하여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마사지 팩으로서,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외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피(110)는 공지된 장갑과 같이 손을 감쌀 수 있다. 한편, 외피(110)는 몸체(111)와 손가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1)는 손이 삽입되는 개구(117)가 형성되고, 이 개구(117)를 통해 삽입된 손의 손등과 손바닥을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부(113)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어 몸체(111)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1)와 손가락부(113)는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몸체(111)와 손가락부(1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1)는 마사지 팩(100)을 손에 착용하였을 때, 손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110)는 예컨대, 비닐(vinyl)이라 일컫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110)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공지된 열수축성 합성수지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피(11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100)을 손에 착용 후 예컨대, 드라이와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기구로 외피(110)를 가열하여 손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함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피(110)는 손가락부(113)와 몸체(111)가 연결된 박피 형태의 합성수지 두장을 겹치고 몸체(111)의 개구(117)를 제외한 부분의 둘레를 열융착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1)에는 손목 밴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손목 밴드부(120)는 마사지 팩(100)을 손에 착용하였을 때, 손목에 밀착되어 외피(110)의 내부를 밀폐함으로써, 외피(110)의 외부 공기가 외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기에서 설명될 케어제가 개방된 개구(117)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목 밴드부(12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11)의 내주 또는 외주에 부착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부(120)는 예컨대,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재료로 형성되거나,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목 밴드부(120)가 탄성재료로 형성될 때에는 손목 밴드부(120)가 몸체(111)의 내주보다 작은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손이 개구(117)를 통해 삽입시 손목 밴드부(120)가 늘어나고 손목 밴드부(120)가 손목에 위치되면 수축되어 몸체(111)가 손목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손목 밴드부(12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때에는 손목 밴드부(120)가 몸체(111)의 내주와 동일한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손을 삽입 후 손목 밴드부(120)에 열을 가하여 손목 밴드부(120)가 수축됨으로써, 몸체(111)가 손목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피(110)의 손가락부(113)에는 절취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취홈(115)은 손가락부(113)에 삽입된 손가락의 손톱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부(113)의 끝단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손가락부(113)의 끝단 부분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취홈(115)은 손가락부(113)의 끝단 예컨대, 손가락부(113)에 손가락이 삽입되었을 때, 손가락의 손톱이 위치한 첫마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손가락부(113)의 둘레를 따라 점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손가락부(113)에는 손가락 밴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손가락 밴드부(130)는 손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부(113)의 끝단을 절단하였을 때, 손가락부(113)의 끝단이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피(110)의 외부 공기가 외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개방된 손가락부(11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가락 밴드부(13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손가락부(113)의 내주 또는 외주에 부착될 수 있으며, 손가락 밴드부(130)는 예컨대,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재료로 형성되거나,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밴드부(130)가 탄성재료로 형성될 때에는 손가락 밴드부(130)가 손가락의 내주보다 작은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손가락이 개구(117)를 통해 삽입 시 손목 밴드부(120)가 늘어나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손가락 밴드부(13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때에는 손가락 밴드부(130)가 손가락부(113)의 내주와 동일한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손가락부(113)의 끝단이 절단되면, 손가락 밴드부(130)에 열을 가하여 손가락 밴드부(130)를 수축시킴으로써, 손가락부(113)가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케어패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어패드(150)는 손의 피부을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케어제가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케어패드(150)는 외피(110)의 내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손등과 손바닥 그리고 손가락 모두에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111)의 내주 면에서 손가락부(113)의 내주 면까지 연장된 상태로 외피(110)의 내면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부(113)의 내주 면에 위치되는 케어패드(150)는 손가락부(113)의 끝단을 절단 시 함께 절단되도록 외피(110)에 형성되는 절취홈(115)이 케어패드(150)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어패드(150)는 케어제가 케어패드(150)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 예컨대, 펄프, 천, 부직포, 스폰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케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어제는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용액으로서, 주된 성분은 화장수인 로션 및 피부 영양 에센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어제는 손을 하얗게 할 수 있는 피부미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의 수분이 쉽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케어제는 발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열제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물질로서, 예컨대, 석고가루 등과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제는 복수의 혼합물 또는 단독으로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케어제는 천연성분의 화장수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미끄럼방지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미끄럼방지부재(170)는 마사지 팩(100)이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마사지 팩(170)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할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부재(170)는 케어패드(150)의 손과 접촉되는 부분과 외피의 외면 더 구체적으로는 외피(150)의 외면에서 손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170)은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실리콘, 우레탄, 합성 또는 천연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한편, 미끄럼방지부재(170)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피(110) 및 케어패드(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170)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도료가 외피(110) 및 케어패드(150)에 복수 개의 점 형태로 도포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외피(110)의 내부에 케어제가 도포된 케어패드(150)가 구비되고, 외피(110)의 개구(117)의 부분에는 손목 밴드부(120)가 구비되며, 손가락부(113)에는 손가락 밴드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손가락부(113)의 끝단 부분에는 손가락부(113)의 끝단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취홈(115)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마사지 팩(100)은 개구(117)를 통해 외피(110)의 내부에 손을 넣으면 외피(110)의 내부에 구비된 케어패드(150)가 손등 및 손바닥 그리고 손가락등과 접촉되어 케어패드(150)에 도포된 케어제의 작용에 의해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를 한다.
이때, 손목 밴드부(12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목 밴드부(120)가 손목에 밀착되도록 손목 밴드부(120)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 외피(110)의 외부 공기가 외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부(113)의 끝단을 외부에서 힘을 주어 당기게 되면 절취홈(115)에 의해 용이하게 손가락부(113)의 끝단이 절단되어 외부로 손톱이 노출됨으로써, 예컨대,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톱소재 또는 네일아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밴드부(13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손가락부(113)가 외력에 의해 절단된 상태에서 손가락 밴드부(130)에 열을 가하여 외피(110)의 손가락부(113)가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외피(110)의 외부 공기가 외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외피(110)를 손가락 밴드부(130) 및 손목 밴드부(120)가 밀폐함으로써, 케어제에 의한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고,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사지 팩(100)이 손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케어제에 물과 반응하는 발열제가 포함된 경우, 손에 물을 묻힌 상태로 마사지 팩(100)을 착용하면 발열제에서 외피(110)의 내부에 열이 발생되어 케어제가 피부로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피(110)의 전체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100)을 손에 착용 후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외피(110)가 손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케어패드(150)가 손에 밀착되어 케어제의 작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피(110)가 손에 밀착됨으로써,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일상생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100)은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톱을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팩(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톱소재 또는 네일아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 밴드부(130) 및 손목 밴드부(120)가 피부에 밀착되어 외피(110)의 외부 공기가 외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어제의 피부 작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170)가 구비되어 손이 마사지 팩(100)에서 미끄러지거나 일상생활을 할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은 발에 착용하여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마사지 팩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외피(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피(210)는 공지된 버선 또는 양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가락을 포함한 발의 전체를 감쌀 수 있다. 한편, 외피(210)는 일측에 발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2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217)는 마사지 팩(200)을 발에 착용하였을 때, 발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210)는 예컨대, 비닐(vinyl)이라 일컫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210)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공지된 열수축성 합성수지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피(21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200)을 발에 착용 후 예컨대, 드라이와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기구로 외피(210)를 가열하여 발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함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피(210)는 발의 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박피 형태의 합성수지 두장을 겹치고 개구(217)를 제외한 부분의 둘레를 열융착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210)에는 발목 밴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발목 밴드부(220)는 마사지 팩(200)을 발에 착용하였을 때, 발목에 밀착되어 외피(210)의 내부를 밀폐함으로써, 외피(210)의 외부 공기가 외피(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기에서 설명될 케어제가 개방된 개구(217)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목 밴드부(22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피(210)의 개구(217) 부분의 내주 또는 외주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발목 밴드부(220)는 예컨대,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재료로 형성되거나,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목 밴드부(220)가 탄성재료로 형성될 때에는 발목 밴드부(220)가 개구(217)의 내주보다 작은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발이 개구(217)를 통해 삽입 시 발목 밴드부(220)가 늘어나고 발목 밴드부(220)가 발목에 위치되면 수축되어 외피(210)가 발목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발목 밴드부(22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때에는 발목 밴드부(220)가 개구(217)의 내주와 동일한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217)를 통해 발을 삽입 후 발목 밴드부(220)에 열을 가하여 발목 밴드부(220)를 수축시킴으로써, 외피(210)의 개구(217)의 부분이 발목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피(210)를 발에 착용하였을 때, 외피(210)의 발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절취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취홈(215)은 외피(210)에 삽입된 발의 발톱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피(210)의 발가락이 위치되는 끝단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외피(210)의 끝단 부분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취홈(215)은 외피(210)의 끝단 부분을 절단 시 모든 발가락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발가락과 발이 연결되는 마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외피(210)의 둘레를 따라 점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피(210)에는 발 밴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발 밴드부(230)는 발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피(210)의 끝단이 절단되었을 때, 외피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외피(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 밴드부(23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피(210), 더 구체적으로는 외피(210)에서 절취홈(215)이 형성된 부분의 내주 또는 외주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발 밴드부(230)는 예컨대,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재료로 형성되거나,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 밴드부(230)가 탄성재료로 형성될 때에는 발 밴드부(230)가 외피(210)의 절취홈(215)이 형성된 부분의 내주보다 작은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발이 개구(217)를 통해 삽입시 발 밴드부(230)가 늘어나 발의 부분 중 발가락이 위치되는 하부의 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발 밴드부(23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때에는 발 밴드부(230)가 외피(210)의 절취홈(215)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주와 동일한 내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피(210)의 끝단이 절단되면, 발 밴드부(230)에 드라이기와 같이 가열할 수 있는 가열기구로 발 밴드부(230)를 수축시킴으로써, 발 밴드부(230)가 발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케어패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어패드(250)는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케어제가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케어패드(250)는 외피(21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발가락을 포함한 발 전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외피(210)의 내면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210)의 내주 면에 위치되는 케어패드(250)는 발가락이 노출되도록 외피(210)의 끝단을 절단 시 케어패드(250)도 함께 절단될 수 있도록 외피(210)에 형성되는 절취홈이 케어패드(250)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어패드(250)는 케어제가 케어패드(250)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 예컨대, 펄프, 천, 부직포, 스폰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케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어제는 발의 피부을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용액으로서, 주된 성분은 화장수인 로션 및 피부 영양 에센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어제는 발을 하얗게 할 수 있는 피부미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의 수분이 쉽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케어제는 발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열제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물질로서, 예컨대, 석고가루 등과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제는 복수의 혼합물 또는 단독으로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케어제는 천연성분의 화장수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미끄럼방지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미끄럼방지부재(270)는 마사지 팩(200)이 발에서 미끄러지거나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할 때,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부재(270)는 케어패드(250)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부분과 외피의 외면 더 구체적으로는 외피(250)의 외면에서 발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270)은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실리콘, 우레탄, 합성 또는 천연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한편, 미끄럼방지부재(270)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피(210) 및 케어패드(2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270)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도료가 외피(210) 및 케어패드(250)에 복수 개의 점 형태로 도포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외피(210)의 내부에 케어제가 도포된 케어패드(250)가 구비되고, 외피(210)의 개구(217)의 부분에는 발목 밴드부(220)가 구비되며, 외피(210)에 절취홈(215)가 형성된 부분에는 발 밴드부(230)가 구비된 다.
그리고, 외피(210)의 끝단 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외피(210)의 발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외피(210)의 끝단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취홈(115)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마사지 팩(200)은 개구(217)를 통해 외피(210)의 내부에 발을 넣으면 외피(210)의 내부에 구비된 케어패드(250)가 발가락을 포함한 발 전체에 접촉되어 케어패드(250)에 도포된 케어제의 작용에 의해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를 한다.
이때, 발목 밴드부(22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목 밴드부(220)가 발목에 밀착되도록 발목 밴드부(220)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외피(210)의 외부 공기가 외피(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피(210)의 발가락이 위치되는 끝단을 외부에서 힘을 주어 당기게 되면 절취홈(215)에 의해 용이하게 외피(210)의 끝단이 절단되어 발톱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예컨대,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톱 소재 또는 페디큐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발 밴드부(230)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발 밴드부(230)에 열을 가하여 외피(210)의 개방된 부분이 발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외피(210)의 외부 공기가 외피(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외피(210)를 발 밴드부(230) 및 발목 밴드부(220)가 밀폐함으로써, 케어제에 의한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고,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사지 팩(200)이 발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케어제에 물과 반응하는 발열제가 포함된 경우, 발에 물을 묻힌 상태로 마사지 팩(200)을 착용하면 발열제에서 외피(210)의 내부에 열이 발생되어 케어제가 피부로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피(210)의 전체가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마사지 팩(200)을 발에 착용 후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외피(210)가 발에 밀착되도록 수축시킴으로써, 케어패드(250)가 발에 밀착되어 케어제의 작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피(210)가 발에 밀착됨으로써,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일상생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팩(200)은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톱을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톱소재 또는 페디큐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 밴드부(230) 및 발목 밴드부(220)가 피부에 밀착되어 외피(210)의 외부 공기가 외피(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어제의 피부 작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케어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270)가 구비되어 발이 마사지 팩(200)에서 미끄러지거나 발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마사지 팩 110: 외피
111: 몸체 113: 손가락부
115: 절취홈 117: 개구
120: 손목 밴드부 130: 손가락 밴드부
150: 케어패드 170: 미끄럼방지부재
200: 마사지 팩 210: 외피
215: 절취홈 217: 개구
220: 발목 밴드부 230: 발 밴드부
250: 케어패드 270: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18)

  1.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고 손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공성 재질의 케어패드,
    상기 케어패드에 도포되어 상기 손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의 끝단 부분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손가락부의 끝단 부분이 절단되도록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외피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목에 밀착되는 손목 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손목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마사지 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의 상기 절취홈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손가락부를 상기 손가락에 밀착시키는 손가락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패드에서 손과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외피의 외면에서 손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0. 발을 감싸고 상기 발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다공성 재질의 케어패드,
    상기 케어패드에 도포되어 상기 발의 피부를 보호 및 관리하는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의 부분 중 발가락이 위치되는 끝단 부분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발가락이 노출되도록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외피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목에 밀착되는 발목 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발목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기 절취홈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외피가 절단되어 개방되는 부분을 상기 발에 밀착시키는 발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시지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밴드부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제는
    피부미백제 또는 피부보습제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패드에서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외피의 외면에서 발바닥이 위치되는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팩.
KR2020110004877U 2011-06-02 2011-06-02 마사지 팩 KR200468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877U KR200468309Y1 (ko) 2011-06-02 2011-06-02 마사지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877U KR200468309Y1 (ko) 2011-06-02 2011-06-02 마사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17U KR20120008517U (ko) 2012-12-12
KR200468309Y1 true KR200468309Y1 (ko) 2013-08-07

Family

ID=5139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877U KR200468309Y1 (ko) 2011-06-02 2011-06-02 마사지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983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손발용 피부미용팩과 그 제조방법
KR20230023319A (ko) 2021-08-10 2023-02-17 박장훈 편의착용 핸드케어장갑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84B1 (ko) * 2016-05-17 2018-04-06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족용 미용 팩
CN107875032B (zh) * 2017-12-20 2021-07-06 广东快女生物技术有限公司 护肤蚕丝手膜
KR102140317B1 (ko) * 2018-10-23 2020-08-11 주식회사 셈앤텍 공기를 이용한 마사지 수단과 장갑형 팩을 구비한 손 미용기구
KR102243389B1 (ko) * 2019-02-22 2021-04-22 이영태 손 팩
KR102191694B1 (ko) * 2019-03-29 2020-12-17 주식회사 라뚜이 피부 미용 손 팩 및 발 팩
KR102259241B1 (ko) * 2019-06-28 2021-05-31 이나경 미용 시트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60A (ja) 2003-02-18 2004-09-09 Sansho Shigyo Kk 薬液を含浸したスキンケア用品
KR200397459Y1 (ko) * 2005-07-21 2005-10-04 조현진 핸드용 시트팩
KR200448539Y1 (ko) * 2008-11-17 2010-04-21 (주) 스킨케어 피부 미용을 위한 장갑 및 양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60A (ja) 2003-02-18 2004-09-09 Sansho Shigyo Kk 薬液を含浸したスキンケア用品
KR200397459Y1 (ko) * 2005-07-21 2005-10-04 조현진 핸드용 시트팩
KR200448539Y1 (ko) * 2008-11-17 2010-04-21 (주) 스킨케어 피부 미용을 위한 장갑 및 양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983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손발용 피부미용팩과 그 제조방법
KR20230023319A (ko) 2021-08-10 2023-02-17 박장훈 편의착용 핸드케어장갑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17U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309Y1 (ko) 마사지 팩
US20190208844A1 (en) Skin care mask glove and mask sock
US6905487B2 (en) Dermal treatment applicator and method relating thereto
KR200478460Y1 (ko) 손발 및 팔다리용 팩 세트
US11800922B2 (en) Hair pack
JP3157135U (ja) スキンケアのための手袋及び靴下
KR200464833Y1 (ko) 피부미용팩
US10231527B2 (en) Snappy color caps
KR200416533Y1 (ko) 피부미용팩
KR200464826Y1 (ko) 손톱손질이 가능한 피부미용팩
KR200466462Y1 (ko) 피부미용 실링팩
US20190254403A1 (en) Treatment application garment
KR101855916B1 (ko) 사용이 편리한 마스크시트 화장품
KR102259241B1 (ko) 미용 시트팩
KR200455743Y1 (ko) 손가락 마사지 패치
JP3115897U (ja) 甲部スキンケアシート
KR102127328B1 (ko) 발팩
KR200270904Y1 (ko) 피부개선용 장갑
KR20200076151A (ko) 발 팩
JP3149518U7 (ko)
JP3149518U (ja) フットケア用パック
JP2017179683A (ja) 指カバーの構造及び指先保護カバー
US20210093845A1 (en) Treatment Application Garment
JP3116048U (ja) 靴擦れ防止具
CN210054659U (zh) 护甲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