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30Y1 -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30Y1
KR200468130Y1 KR2020120003351U KR20120003351U KR200468130Y1 KR 200468130 Y1 KR200468130 Y1 KR 200468130Y1 KR 2020120003351 U KR2020120003351 U KR 2020120003351U KR 20120003351 U KR20120003351 U KR 20120003351U KR 200468130 Y1 KR200468130 Y1 KR 200468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rame
rib
fitting groove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문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정승문
주식회사 Korea 신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문, 주식회사 Korea 신예 filed Critical 정승문
Priority to KR2020120003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주골조를 칼럼 부재로 대체하고 상기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결합 부위에 유격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풍압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 및 하단의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1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2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칼럼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COLUMN ASSEMBLY USED TO BUS PLATFORM STRUCTURE}
본 고안은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칼럼 부재와 각종 광고물을 게재할 수 있는 광고판이나 정보장치의 설치가 가능한 프레임들의 조립에 의한 칼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버스승강장에 지면에 고정된 폴대와 상기 폴대에 버스 노선 정보를 표시한 표지판이 고정된 형태로 버스승강장임을 나타내었었지만, 최근에는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버스승강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광고 등의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도록 여러 지지판이 주골조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부스(Booth) 형식의 버스승강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스승강장 구조물의 주골조와 지지판의 결합 부분을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승강장 구조물은 여러 개의 지지판(20, 30 등)이 주골조(1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성인데, 여기서 도면번호 20으로 표시된 지지판을 제1 지지판이라 하고 도면번호 30으로 표시된 지지판을 제2 지지판이라 하기로 한다.
제1 지지판(20)에는 소정의 광고물을 게재할 수 있는 광고판(40)이 설치되고, 제2 지지판(30)에는 버스노선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주골조(1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20, 30)은 서로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구조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주골조(10)의 일측에 상기 제1 지지판(20)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22)에 대응되는 제1 홈부(12)가 형성되고 주골조(10)의 타측에 상기 제2 지지판(30)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33)에 대응되는 제2 홈부(13)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골조(10)의 제1 홈부(12)는, 제1 지지판(20)의 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판(20)의 제1 결합부(22)가 주골조(10)의 제1 홈부(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주골조(10)의 제2 홈부(13)는, 제2 지지판(30)의 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지지판(30)의 제2 결합부(33)가 주골조(10)의 제2 홈부(1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주골조 및 각 지지판의 결합구조는 용이한 슬라이드 결합 등 원활한 조립성을 고려하여 결합부(22 또는 33)와 홈부(12 또는 13) 사이에 조립 공차를 두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조립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 또는 33)와 홈부(12 또는 13) 사이에 유격부(A 및 B)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유격부(A 및 B)는 풍압 및 외력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흔들림에 의해 주골조에 뒤틀림 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단부 쪽에 과다한 피로(Fatigue)가 가중되어 결국 피로 파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골조(10)에 각 지지판(20, 30)을 각각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골조(10)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 지지판(20, 30)을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조립 작업이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주골조를 칼럼 부재로 대체하고 상기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결합 부위에 유격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풍압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 및 하단의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1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2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칼럼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가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어 복수개의 볼트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고정되며, 상기 제2 끼워맞춤 리브가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어 복수개의 볼트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는 그 단면이 단부 쪽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 및 제2 끼워맞춤 홈부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의 테이퍼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공간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 대응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 및 제2 끼워맞춤 홈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평 리브와 대응되어 상기 수평 리브가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 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주골조를 칼럼 부재로 대체하고 상기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럼 부재와 각 프레임 사이의 결합 부위에 유격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풍압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승강장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스승강장 구조물에서 주골조 및 그와 결합된 부분들에 대한 결합관계를 좀 더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조립체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조립체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칼럼 부재(100), 제1 프레임(200) 및 제2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200)은 버스승강장의 이용객에 대한 광고물 개시를 위한 광고판(40)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 프레임(300)은 버스승강장의 이용객을 위한 소정의 정보장치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럼 부재(100)는 종래의 주골조와는 달리 내부가 중공된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제1 끼워맞춤 리브(120), 그 타측에 제2 끼워맞춤 리브(1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 및 제2 끼워맞춤 리브(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 및 제2 끼워맞춤 리브(130)는 칼럼 부재(100) 전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 및 제2 끼워맞춤 리브(13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칼럼 부재(100)에 각각 결합되거나 용접 등의 접합을 통해 구비되는 경우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00)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끼워맞춤 홈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가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220)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여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프레임(300)의 단부에는 상기 제2 끼워맞춤 리브(13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끼워맞춤 홈부(330)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끼워맞춤 리브(130)가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330)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여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칼럼 부재(100)와 각 프레임(200, 300) 사이의 끼워맞춤 조립의 특성상 유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끼워맞춤 조립에 더하여 각 끼워맞춤 리브(120 또는 130) 및 각 끼워맞춤 홈부(220 또는 330) 사이의 결합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하고 미세한 흔들림이나 뒤틀림조차 방지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리브(120 또는 130)와 끼워맞춤 홈부(220 또는 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트(110)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칼럼 부재(100)와 각 프레임(200, 3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종래에는 볼트 결합으로 보강할 수 없는 구조임에 반해 본 고안은 용이하게 볼트 결합을 할 수 있는 구조임).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칼럼 부재(100)의 제1 끼워맞춤 리브(120)의 단면이 단부 쪽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부(1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제1 프레임(200)의 제1 끼워맞춤 홈부(220)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120)의 테이퍼부(140)에 각각 대응되도록 공간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 대응부(1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칼럼 부재(100)의 제2 끼워맞춤 부재(130)에도 테이퍼부(140)를 적용할 수 있고, 이때에는 제2 프레임(300)의 제2 끼워맞춤 홈부(330)는 상기 테이퍼부(140)에 대응되도록 테이퍼 대응부(1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퍼부(140) 및 테이퍼 대응부(150)의 구성으로 말미암아 본 고안에 따른 칼럼 조립체의 조립성 향상은 물론 유격의 발생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는, 칼럼 부재(100)의 제1 끼워맞춤 리브(120)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122)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제1 프레임(200)의 제1 끼워맞춤 홈부(220)에는 상기 수평 리브(122)와 대응되어 상기 수평 리브(122)가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 홈부(2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칼럼 부재(100)의 제2 끼워맞춤 부재(130)에도 상기한 수평 리브(12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제2 프레임(300)의 제2 끼워맞춤 홈부(330)도 상기 수평 리브(122)에 대응되도록 수평 홈부(222)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평 리브(122)는 제1 끼워맞춤 리브(120) 및/또는 제2 끼워맞춤 리브(130)가 뒤틀림 응력 및 이로 말미암은 피로(Fatigue)를 받는 것을 보강할 수 있어 견고성과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면번호 111 및 112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볼트(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홀을 나타낸다.
100:칼럼 부재, 110:볼트
120:제1 끼워맞춤 리브, 130:제2 끼워맞춤 리브
122:수평 리브, 140:테이퍼부
150:테이퍼 대응부, 200:제1 프레임
220:제1 끼워맞춤 홈부, 222:수평 홈부
300:제2 프레임, 330:제2 끼워맞춤 홈부

Claims (4)

  1.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에 있어서,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워맞춤 홈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 및
    하단의 일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1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도록 제2 끼워맞춤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칼럼 부재;
    를 포함하는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가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어 복수개의 볼트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고정되며, 상기 제2 끼워맞춤 리브가 상기 제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춤 되어 복수개의 볼트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는 그 단면이 단부 쪽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 및 제2 끼워맞춤 홈부는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의 테이퍼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공간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는 테이퍼 대응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 리브 및 제2 끼워맞춤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끼워맞춤 홈부 및 제2 끼워맞춤 홈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평 리브와 대응되어 상기 수평 리브가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 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KR2020120003351U 2012-04-24 2012-04-24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KR200468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51U KR200468130Y1 (ko) 2012-04-24 2012-04-24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51U KR200468130Y1 (ko) 2012-04-24 2012-04-24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30Y1 true KR200468130Y1 (ko) 2013-07-24

Family

ID=5139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351U KR200468130Y1 (ko) 2012-04-24 2012-04-24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3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16Y1 (ko) 2001-11-15 2002-02-19 (주)금강아트휀스 파고라
JP2002339498A (ja) 2001-05-21 2002-11-27 Nippon Light Metal Co Ltd 複数の部材の接合構造
KR100530882B1 (ko) 2005-03-22 2005-11-29 하무영 사우나 부스의 조립 장치
KR20100068764A (ko) * 2008-12-15 2010-06-24 대민산업개발(주) 안전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98A (ja) 2001-05-21 2002-11-27 Nippon Light Metal Co Ltd 複数の部材の接合構造
KR200264416Y1 (ko) 2001-11-15 2002-02-19 (주)금강아트휀스 파고라
KR100530882B1 (ko) 2005-03-22 2005-11-29 하무영 사우나 부스의 조립 장치
KR20100068764A (ko) * 2008-12-15 2010-06-24 대민산업개발(주) 안전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8402B (zh) 多柱式桥墩地震耗能构造
AU2016204682B2 (en) Structur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TW201311976A (zh) 耐震隔間構造、使用於該構造之輕鋼架安裝固具及抗震按壓固具
CN102340967A (zh) 机柜框架立柱
KR200468130Y1 (ko) 버스승강장 구조물에 이용되는 칼럼 조립체
KR101447452B1 (ko) 도로명판 걸이구
KR102140099B1 (ko) 연결바로 조립된 탄성받침 및 그 교체방법
KR101362107B1 (ko) 볼트조립형 큐브 모듈의 강화유리 일체형 프레임유닛
CN104358408A (zh) 一种方盘脚手架
JP2014001541A (ja) 圧縮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1131396B1 (ko) 리모델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공법
US8910404B2 (en) Flat stock device to attach a printed display and a flag therewith to a fence
KR200463273Y1 (ko) 조립형 펜스 지주
KR200441216Y1 (ko) 표지판용 서포터
KR20160048368A (ko)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광고판
KR101304138B1 (ko)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연결 구조물
CN207660246U (zh) 台阶地板组装结构
KR100699178B1 (ko) 스텐 난간의 구조
CN110409888A (zh) 一种便于安装的立体车库
KR200463854Y1 (ko) 입체 간판 고정구
CN103485444A (zh) 一种桁架墙系统
CN2587034Y (zh) 可拆卸的广告牌
JP2015148651A (ja) 広告板用取付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屋外広告看板
CN102196689A (zh) 便携式电子装置壳体
CN203175070U (zh) 一种具移动墙的展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