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26Y1 -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 Google Patents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26Y1
KR200467926Y1 KR2020110002704U KR20110002704U KR200467926Y1 KR 200467926 Y1 KR200467926 Y1 KR 200467926Y1 KR 2020110002704 U KR2020110002704 U KR 2020110002704U KR 20110002704 U KR20110002704 U KR 20110002704U KR 200467926 Y1 KR200467926 Y1 KR 20046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support
elastic
vibration
rubb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968U (ko
Inventor
윤성필
Original Assignee
윤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필 filed Critical 윤성필
Priority to KR2020110002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2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체 지지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성체와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체가 부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접합력 및 진동 흡수 효과를 갖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ELASTIC BODY SUPPORTER FOR VIBRATION DAMPING RUBBER MEMBER}
본 고안은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체 지지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성체와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방진 고무 부재는 대상체로부터 발생하거나 또는 대상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대상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현재 대상체의 종류 또는 방진 재료에 따라 수많은 종류들이 개발되어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진 고무 부재는 진동을 수반하는 다양한 제품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브라운관과, 자동차, 기차, 선박, 항공기 등과 같은 수송기관 등의 차체용 금속판, 자동차의 도어, 오일팬, 배기소음기의 진동부, 브레이크 장치, 구동엔진과 같은 구동장치, 베어링 하우징이나, 에이컨 또는 냉장고의 압축기, 보일러, 세탁기 등의 하우징과 같이 진동을 수반하는 장치의 하우징, 진동을 수반하는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금속류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유체 수송용 파이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진 고무 부재는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 지지체는 제품에 부착 혹은 결합되고, 이 탄성체 지지체에 접합된 탄성체는 제품의 진동 혹은 제품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진 고무 부재는 다양한 문제점 또한 안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례로, 방진 고무 부재의 탄성체 지지체에 접합된 탄성체는 결합된 제품의 강한 진동 혹은 접합시 결합력의 저하로 인해, 탄성체가 탄성체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의 재접합을 위한 공정이 필요하고, 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탄성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접합력 및 진동 흡수 효과를 갖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체가 부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홈 또는 굴곡의 형상은 환형 또는 사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 지지판과 맞닿는 면에, 탄성체 지지판과 맞물리도록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 지지체의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 지지체의 홈 또는 굴곡 사이의 간격은 0.7~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 지지체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탄성체 지지체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180% 증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접합력 및 진동 흡수 효과를 갖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탄성체 지지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가 접합된 방진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탄성체 지지체 및 탄성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자는 탄성체 지지체에 탄성체가 접합됨으로써 구성되는 방진 고무 부재에 있어 상기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탄성체 지지체의 일면 즉, 탄성체가 부착되는 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결합력 및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탄성체가 부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탄성체 지지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탄성체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탄성체 지지체(10)는 실질적으로 지지판(11)으로만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1)의 일면이 탄성체와, 또 다른 일면은 제품에 결합됨으로써, 방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과의 결합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판(11)의 일면은 탄성체와 접합되고, 또 다른 일면은 나사 홈이 형성된 봉의 형태를 갖는 돌기부(12)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지지판(11)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탄성체 지지체(10)와 이 탄성체 지지체에 접합되는 탄성체는 접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제품의 진동 흡수력 또한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20)는 지지판(21)에 홈 또는 굴곡 등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접합되는 탄성체와의 접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착력 향상 효과는 본 방진 고무 부재가 적용되는 대상 제품의 강한 진동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확보까지 이어지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종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탄성체 지지체에 형성되는 홈 또는 굴곡의 형상 또한 접합 면적을 늘릴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조 비용을 고려할 때에는 환형 또는 사선형이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가공의 용이성까지 고려할 경우에는 환형의 형태가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의 지지판의 직경은 10~30Ø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가 접합된 방진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진 고무 부재(100)는 상기 설명한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체(20)에 탄성체(23)가 접합되어 구성되게 된다. 이 때,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탄성체 지지체와 탄성체의 종류, 방진 고무 부재의 적용분야 등을 고려하여 접착제의 종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탄성체 지지체 및 탄성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인데, 이와 같이, 탄성체 지지체(20)뿐만 아니라 탄성체(23)에도 홈 또는 굴곡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접촉 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 지지체(20)와 탄성체(23) 각각에 형성된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경우, 보다 향상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탄성체 지지체에 형성되는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깊이가 0.1mm미만인 경우에는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접합력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며, 0.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체가 탄성체 지지체에 접합되는 면의 총 면적이 오히려 감소하여 접합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깊은 홈 또는 굴곡으로 인하여 탄성체를 탄성체 지지체에 접합시키기 위한 강력한 압착력이 요구되게 된다.
상기 탄성체 지지체의 홈 또는 굴곡 사이의 간격은 0.7~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0.7mm미만인 경우에는 너무 협소한 간격으로 인하여 평평한 면에 비해 접촉 면적 향상 효과가 적으며 가공 또한 용이하지 않고, 1.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접합력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간격이란 탄성체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있어, 골과 골 혹은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탄성체 지지체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탄성체 지지체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180% 증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120%미만인 경우에는 접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과도하게 형성된 홈 또는 굴곡에 의하여 탄성체와의 접합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진 고무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진 고무 부재는 하나의 탄성체 지지체와 하나의 탄성체가 접합되어 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탄성체(23)의 양 면에 두 개의 탄성체 지지체(20)가 접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20 : 탄성체 지지체 11, 21 : 지지판
12, 22 : 돌기부 23 : 탄성체
100 : 방진 고무 부재

Claims (6)

  1. 탄성체(23)가 접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지지판(21); 및
    상기 지지판(21)에 구비되는 나사 홈이 형성된 봉 형상의 돌기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22)는 상기 탄성체(23)가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0.5mm이며,
    상기 홈 또는 굴곡 사이의 간격은 0.7~1.5mm이고,
    상기 지지판(21)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21)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180%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또는 굴곡의 형상은 환형 또는 사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3)는 상기 지지판(21)과 맞닿는 면에, 상기 지지판(21)과 맞물리도록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10002704U 2011-03-31 2011-03-31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KR20046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04U KR200467926Y1 (ko) 2011-03-31 2011-03-31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04U KR200467926Y1 (ko) 2011-03-31 2011-03-31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68U KR20120006968U (ko) 2012-10-10
KR200467926Y1 true KR200467926Y1 (ko) 2013-07-12

Family

ID=4750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704U KR200467926Y1 (ko) 2011-03-31 2011-03-31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2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5475U (ko) * 1976-12-30 1978-08-03
JPS55167820U (ko) * 1979-05-21 1980-12-02
JPS5879611U (ja) * 1981-11-25 1983-05-3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建築用防振材
JPS63188351U (ko) * 1987-05-28 1988-12-0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5475U (ko) * 1976-12-30 1978-08-03
JPS55167820U (ko) * 1979-05-21 1980-12-02
JPS5879611U (ja) * 1981-11-25 1983-05-3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建築用防振材
JPS63188351U (ko) * 1987-05-28 1988-12-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68U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39634U (zh) 脉动流体管道减振支架
CN205737305U (zh) 紧固夹系统和紧固组件
US8950736B2 (en) Frequency tuned damper
CN102782359B (zh) 隔振结构体
JP6355255B2 (ja) 防振装置
JP6157000B2 (ja) 防振装置
JP6275493B2 (ja) ブラケット付防振装置
JP2006234046A (ja) 防振装置
JP6024677B2 (ja) フードヒンジ構造
JP2020159540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2008185201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4591619B1 (ja) 圧縮機
KR101485310B1 (ko) 완충고무 부재
KR200467926Y1 (ko)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
JP4742122B2 (ja) 防振装置
JP2011247333A (ja) 防振支持構造
WO2011125667A1 (ja) 防振装置
JP5949350B2 (ja) 内燃機関
JP2010060031A (ja) 締結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KR101242589B1 (ko) 방진 고무 부재용 탄성체 지지체의 제조방법
JP6560863B2 (ja) 制振床構造
JP2002276548A (ja) 圧縮機の防振装置
JP6781237B2 (ja) 防振継手および防振継手構造
WO2020241434A1 (ja) 車両用配管ユニット
CN107289064B (zh) 方型流体封入式隔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