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61Y1 - 단자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단자압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7861Y1 KR200467861Y1 KR2020110010083U KR20110010083U KR200467861Y1 KR 200467861 Y1 KR200467861 Y1 KR 200467861Y1 KR 2020110010083 U KR2020110010083 U KR 2020110010083U KR 20110010083 U KR20110010083 U KR 20110010083U KR 200467861 Y1 KR200467861 Y1 KR 2004678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wire
- terminal crimping
- crimping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상에 위치하며, 와이어에 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단자 압착기 및 상기 단자 압착기에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는 상면이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단자압착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테이블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단자압착기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유지부를 구비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상기 테이블 측면에 고정시키는 블록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단자 압착기의 단자압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인입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단자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자 압착공정시 와이어가 단자 압착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단자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자동화된 기계설비, 자동차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는 자동제어반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동제어반과 PLC프로그램, 제어서보모터, 각종 센서류와, 유압 혹은 공압설비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한다.
각각의 전기적 연결을 용도별, 전기적 특성별로 분류하여 와이어 및 커넥터, 단자 등을 세트(set)화해서 한번에 연결시켜 작업성, 안정성, 시인성을 향상한 배선 뭉치가 와이어링 하네스이다.
차량의 경우, 최근에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센서에 의해 전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및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 및 모터 등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의 운전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사용 비중이 급등하고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대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직경이 큰 대전류용 와이어가 많이 사용되며, 또 다른 와이어나 컨넥터 등의 요소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끝단의 피복이 탈피되며, 탈피된 도선에 단자가 압착된다.
즉, 단자 압착기에 와이어의 탈피된 도선 측 단부를 인입하면, 상하방향으로 단자 압착기가 작동하여 도 1과 같이 와이어(10)의 탈피된 도선(12)에 단자(20)가 압착된다.
그런데, 와이어(10)의 도선(12)이 단자(20) 양측부에 균일한 길이(L1,L2)로 돌출되어야 하나 한쪽으로 편중되면, 와이어(10)의 도선(12)과 단자(20) 사이에 틈새가 생겨 물리적 쇼트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자(20)를 잡아당겼을 때 인장력이 낮아 단자(20)가 쉽게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육안으로 와이어(10)와 단자(20)의 압착 상태를 명료하게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와이어(10)와 단자(20)의 압착 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단자(20)의 압착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와이어(1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10)의 단자 압착공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 작업자의 키 등의 신체적 조건 등에 따라 와이어(10)가 단자 압착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인입되지 못하고 기울어진 자세로 인입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와이어(10)마다 단자(20)의 압착 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불균일하여 품질 산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20)의 압착품질 불량률이 높아 고가의 원자재 손실 및 생산성 저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의 압착품질 산포를 방지할 수 있는 단자압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단자압착장치는 테이블 상에 위치하며, 와이어에 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단자 압착기 및 상기 단자 압착기에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는 상면이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단자압착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테이블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단자압착기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유지부를 구비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상기 테이블 측면에 고정시키는 블록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단자 압착기의 단자압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인입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블록고정부는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고, 테이블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압착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단자 압착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압착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와이어의 인입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눌려지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단자압착장치는 와이어가 정자세로 단자 압착기에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단자압착공정의 품질 산포를 방지할 수 있어, 와이어의 단자압착공정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자재 손실 방지 및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단자압착장치는 와이어 감지부에 의해 와이어가 정자세로 인입되는 경우에만 단자 압착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어의 단자압착공정의 품질 산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어와 단자의 압착 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지그의 와이어 인입 전 상태 평면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지그의 와이어 정자세 인입 상태 평면도.
도 4a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인입 전 상태 측단면도.
도 4b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정자세 인입 상태 측단면도.
도 4c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오자세 인입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지그의 와이어 인입 전 상태 평면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지그의 와이어 정자세 인입 상태 평면도.
도 4a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인입 전 상태 측단면도.
도 4b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정자세 인입 상태 측단면도.
도 4c는 도 2의 A-A방향에 따른 지그의 와이어 오자세 인입 상태 측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단자압착장치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자압착장치는 테이블(206) 상에 위치하며, 와이어(10)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단자 압착기(200) 및 단자 압착기(200)에 와이어(10)를 가이드하는 단자압착공정용 지그(1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압착공정용 지그(100)는 베이스(110)와, 가이드부(120)와, 와이어 감지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단자 압착기(200)는 와이어(10)에 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그리고, 단자 압착기(200)의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은 단자 압착기(200)에 인입된 와이어(1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단자 압착기(200)의 한 쌍의 프레스(press)(202,204)가 단자압착공정을 위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단자 압착기(200)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하방향이 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단자 압착기(200) 또는 단자 압착기(200) 주변에 고정되어 가이드부(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부(120)를 지지하는 블록(112)과, 블록(112)이 단자 압착기(200) 또는 단자 압착기(200) 주변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블록 고정부(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112)은 가이드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 형상이든 무방하다. 예컨대, 블록(112)은 단자 압착기(200)의 테이블(206)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가이드부(120)가 구비되는 'ㄱ'자형 본체부(112a) 및, 단자 압착기(200)의 테이블(206) 상면에 밀착되도록 본체부(112a)로부터 돌출된 중심유지부(112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ㄱ'자형 본체부(112a)는 와이어(10)가 단자 압착기(200)의 와이어 인입 높이와 동일한 높이 선 상에서 가이드부(120)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상면이 단자 압착기(200)의 와이어 인입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록 고정부(114)는 단자 압착기(200) 또는 단자 압착기(200) 주변에 다양한 방법으로 블록(112)을 단자압착기(200)의 테이블(206)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단자 압착기(200)의 테이블(206)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블록(1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단자 압착기(200)의 테이블(206)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에 일체로 구비되며, 단자 압착기(200)의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과 수직한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와이어(10)가 단자 압착기(200)에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특히, 가이드부(120)는 베이스(110)의 상면 위에 구비되어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2,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20)는 와이어(10)가 단자 압착기(200)의 인입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단자 압착기(200)에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10)가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에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안착, 이탈될 수 있고, 와이어(10)의 측방으로만 가이드 레일(122,124)과의 마찰이 형성되어 와이어(10)가 가이드 레일(122,124)과 큰 마찰없이 부드럽게 인입될 수 있고, 특히 와이어(10)가 대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수많은 심선에 의해 두껍고 무게감 있게 구성된 경우 자중에 의해 베이스(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의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수평하게 인입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2,124)은 각각, 와이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어(10)가 일직선으로 단자 압착기(200)에 인입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감지부(130)는 와이어(10)가 가이드부(120)를 따라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의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인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와이어(10)가 올바르게 인입된 상태이면 단자 압착기(200)가 작동되어 단자압착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와이어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가 작동 가능하여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단자압착공정이 진행되거나,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의 작동이 불가능해져 단자압착공정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는 작업자의 발로 눌려 스위칭 동작시킬 수 있는 풋 스위치( foot switch)(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감지부(130)는 가이드부(120)에 설치되어 와이어(10)가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의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배치되면 와이어(10)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는 스위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132)는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에 돌출되어 와이어(10)의 자중에 의해 눌려지는 프로브(probe)(132a)와, 프로브(132a)가 완전히 눌려지면 프로브(132a)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는 스위칭 소자(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브(132a)는 와이어(10)의 인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블록(112)에 프로브(132a)의 눌림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홀(112c)에 와이어(10)의 자중에 의해 완전히 삽입되어 스위칭 소자(132b)를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프로브(132a)는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와이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군데서 와이어(10)의 인입 자세를 확인 가능토록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를 따라 복수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132b)는 푸시 버튼, 홀 소자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블록(112)의 홀(112c)에는 설치되어 프로브(132a)의 눌림 반대 방향을 향해 프로브(132a)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2c)가 설치됨에 따라, 프로브(132a)가 눌려진 후 프로브(132a)를 누르던 외력(즉, 와이어(10)의 자중)이 제거되면 프로브(132a)가 블록(112)의 홀(112c)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10)의 단자압착공정용 지그(100)를 이용한 와이어(10)의 단자압착공정을 살펴보면, 와이어(1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에 끼워져 단자 압착기(200)를 향해 인입됨으로써 단자 압착기(200)에 올바른 자세, 즉 정자세로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10)의 단자 압착부분은 전체적으로 와이어(10)의 자중에 의해 블록(112)의 상면에 밀착되어, 단자 압착기(200)의 단자압착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단자 압착기(200)의 단자압착위치와 중심이 상호 일치한 상태에서 단자압착방향(화살표 A)의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배치되어 일직선으로 단자압착기에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0)가 올바른 자세로 인입되면, 와이어(10)의 자중에 의해 프로브(132a)가 눌려져 블록(112)의 홀(112c)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스위칭 소자(132b)가 스위칭 동작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132b)가 스위칭 동작되면,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세팅되어 작업자가 단자 압착기(200)의 작동 스위치(132)를 동작시키면 단자압착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 도 4c와 같이, 와이어(10)가 올바르지 않은 자세, 즉 오자세(예컨대, 비스듬하게 세워진 자세 등)로 인입되면, 프로브(132a)가 일부만 눌려져 프로브(132a)의 일부가 와이어(10)의 인입경로(120a)에 돌출된 상태가 됨으로써 프로브(132a)가 스위칭 소자(132b)를 스위칭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자압착공정이 진행되지 못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와이어 100; 지그
110; 베이스 112; 블록
114; 블록 고정부 120; 가이드부
130; 와이어 감지부 132; 스위치
132a; 프로브
110; 베이스 112; 블록
114; 블록 고정부 120; 가이드부
130; 와이어 감지부 132; 스위치
132a; 프로브
Claims (5)
- 테이블 상에 위치하며, 와이어에 단자를 압착시키기 위한 단자 압착기 및 상기 단자 압착기에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를 포함하는 단자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압착공정용 지그는,
상면이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단자압착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테이블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단자압착기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유지부를 구비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상기 테이블 측면에 고정시키는 블록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단자 압착기의 단자압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 압착기에 인입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인입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가이드부;
을 포함하는 단자압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고정부는 상기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압착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단자 압착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단자압착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와이어의 인입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눌려지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083U KR200467861Y1 (ko) | 2011-11-15 | 2011-11-15 | 단자압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083U KR200467861Y1 (ko) | 2011-11-15 | 2011-11-15 | 단자압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060U KR20130003060U (ko) | 2013-05-24 |
KR200467861Y1 true KR200467861Y1 (ko) | 2013-07-08 |
Family
ID=5139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083U KR200467861Y1 (ko) | 2011-11-15 | 2011-11-15 | 단자압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86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9079A1 (ja) * | 2013-02-22 | 2014-08-28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及び圧着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
KR102457438B1 (ko) * | 2022-08-12 | 2022-10-21 | 인지산업(주) | 코일 단자 압착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4702U (ko) * | 1998-12-30 | 2000-07-25 | 이구택 | 수평 인입식 하역기의 와이어 홀딩장치 |
KR100768538B1 (ko) * | 2006-05-11 | 2007-10-18 | (주)케이엠 디지텍 | 전원단자압착기 |
-
2011
- 2011-11-15 KR KR2020110010083U patent/KR2004678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4702U (ko) * | 1998-12-30 | 2000-07-25 | 이구택 | 수평 인입식 하역기의 와이어 홀딩장치 |
KR100768538B1 (ko) * | 2006-05-11 | 2007-10-18 | (주)케이엠 디지텍 | 전원단자압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060U (ko) | 2013-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33236B2 (en) | Battery wiring module | |
US6630625B1 (en) |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1408601B (zh) | 单相多功能电能表校验台自动短路自动接线装置 | |
KR101496719B1 (ko) |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 |
KR20120008440A (ko) | 접속기 | |
KR200467861Y1 (ko) | 단자압착장치 | |
CN103247873B (zh) | 输入端子台 | |
CN211577399U (zh) | 一种线束导通测试装置 | |
CN220438527U (zh) | 一种汽车线束的电流测试连接装置 | |
JP2004220891A (ja) | サブハーネス製造装置及びサブハーネス製造方法 | |
CN215218339U (zh) | 一种汽车线束端子拉力测试机 | |
KR101449753B1 (ko) | 배터리 셀 모듈의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모듈 | |
KR20160053686A (ko) | 와이어링 하네스 지그장치 | |
CN215641444U (zh) | 用于电能表接线端子的接线柱 | |
US5514966A (en) | Inspection method and an inspection apparatus for a temporarily bundled circuit of a wire harness | |
JP3764630B2 (ja) | コネクタ導通検査装置及びコネクタ導通検査方法 | |
JPH06283224A (ja) | アタッチメント付端子台 | |
JP6248912B2 (ja) | スプライス部の絶縁構造、ハーネス配置プレートおよび配線ユニット | |
CN107576568B (zh) | 线束推拉试验机 | |
JPS6232564B2 (ko) | ||
JP2017098092A (ja) |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支援装置及びコネクタバー | |
CN214335186U (zh) | 一种用于汽车线束自动检测一体的装置 | |
KR101636292B1 (ko) | 검사장치 | |
CN212693902U (zh) | 结合磁力表座的端子排快速接线单元 | |
KR101533409B1 (ko) | 하네스 콘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