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28Y1 -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 Google Patents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28Y1
KR200467428Y1 KR2020110003121U KR20110003121U KR200467428Y1 KR 200467428 Y1 KR200467428 Y1 KR 200467428Y1 KR 2020110003121 U KR2020110003121 U KR 2020110003121U KR 20110003121 U KR20110003121 U KR 20110003121U KR 200467428 Y1 KR200467428 Y1 KR 200467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hole
panel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67U (ko
Inventor
이충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진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진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진흥
Priority to KR2020110003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대비 흡음 차단 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은, 사각 패널; 상기 패널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공; 및 상기 각 흡음공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중심선 상으로 이격 배열되되 이격되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와 이의 중심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을 갖는 돌출형 리세스(recess), 상기 리세스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상기 흡음공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포트, 그리고 인접한 상기 서포트와 서포트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음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A SOUNDPROOF BOARD}
본 고안은 소음원의 소음을 난반사시켜 감쇄시켜 주고 통과하는 소음은 내부로 굴절 유도시켜 줄 수 있는 흡음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흡음 차단 성능이 향상되고 나아가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방음판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 등의 주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 또는 이에 장착되는 방음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129608호(2009.12.17.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방음벽』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전면에 위치하며 소음이 통과하는 흡음공이 다수 개 관통되어 있은 흡음판, 상기 흡음판을 지지하며 통과한 소음을 차단하는 케이스, 상기 흡음판과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흡음재, 상기 흡음재 상에 장착되어 소음을 분산시키는 분산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 상기 흡음판은 오목하게 안쪽으로 눌려 들어간 복수의 합입홈이 종횡으로 형성되고, 상기 합입홈은 중심 부분에 상기 흡음공이 관통되어 있으며, 측벽면에 하나 이상의 흡음슬롯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전체적 구조를 통해 흡음 차단 성능이 어느 정도 향상되기는 하나, 합입홈이 사각 또는 원형의 구멍이고, 이 구멍이 종횡의 격자(格子)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합입홈과 흡음공을 연결하는 네 개의 다리가 합입홈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이어서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흡음공의 구조를 육각 구멍으로 형성하고, 이 구멍에 다수의 서포트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연결한 방음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방음블록에 소음의 굴절 유도를 위한 요입부와 중심공을 형성하되 상기 요입부가 방음블록의 돌출 반대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구조로 형성하고, 나아가 상기 흡음공이 하니컴(honeycomb : 벌집)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흡음 차단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은,
사각 패널;
상기 패널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공; 및
상기 각 흡음공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중심선 상으로 이격 배열되되 이격되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와 이의 중심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을 갖는 돌출형 리세스(recess), 상기 리세스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상기 흡음공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포트, 그리고 인접한 상기 서포트와 서포트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음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현예로서,
상기 각 흡음공은 상기 패널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임)의 행(行)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 흡음공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의 리세스는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구현예로서,
상기 각 흡음공은 상기 패널에 n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 흡음공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의 리세스는 상부 행의 리세스와 하부 행의 리세스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음공은 육각 구멍이고, 상기 방음블록에서 각 서포트의 단부(端部)는 상기 흡음공의 육각 구멍 꼭짓점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흡음공은 상기 패널에 하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은,
흡음공의 육각 구멍 구조와, 방음블록의 상하 행 상호 돌출 반대 구조와, 굴절 유도용 요입부 구조와, 흡음공 하니컴 배열 구조 등을 통해 흡음 차단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하니컴 배열 구조 특성상 종래에 비해 동일 면적당 더 많은 흡음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기존대비 흡음 성능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현예의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구현예의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방음판이 장착된 방음유닛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방음유닛이 설치된 방음벽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육안으로 보이는 패널의 앞부분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패널의 뒷부분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패널의 윗부분을 상부 또는 상방, 패널의 아랫부분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의 "A", "B", "C", "D" 및 "E"는 각각 해당 영역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은,
크게 패널(10), 흡음공(20) 및 방음블록(3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패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사각 패널로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사각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흡음공(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음이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10)에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방음블록(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흡음공(20)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중심선 상으로 이격 배열되되 이격되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311)와 이의 중심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312)을 갖는 돌출형 리세스(recess)(31),
상기 리세스(31)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상기 흡음공(20)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포트(32), 그리고
인접한 상기 서포트(32)와 서포트(3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각 흡음공(20)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 상으로부터 후술할 제1 및 제2 구현예서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 배열되고, 이격되는 반대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의 상기 요입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311) 중심, 즉 움푹 들어간 바닥 중심을 전후 관통하는 상기 중심공(3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서포트(32)는 상기 흡음공(20)과 이에 배열된 상기 리세스(31)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포트(32)의 일단부(一端部)는 상기 리세스(31)에 이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32)의 타단부(他端部)는 상기 리세스(31)의 중심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뻗어 가는 형태로 상기 흡음공(20)에 이의 내벽을 따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3)는 상기 흡음공(20)에서 상기 각 서포트(32)에 의해 분할된 공간으로서,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음이 통과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은 상기 패널(10)에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 돌출 방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제1 구현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각 흡음공(20)은 상기 패널(10)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임)의 행(行)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흡음공(20)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는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결국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는 상기 패널(10)에서 전방이나 후방 측으로 한쪽 방향을 향해서만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제2 구현예로서,
도 2 및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현예에서와 같이 상기 각 흡음공은(20)은 상기 패널(10)에 n개의 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흡음공(20)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는 상부 행의 리세스(31)와 하부 행의 리세스(3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다시 부연하면, 홀수 행의 리세스(31)가 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인 경우, 짝수 행의 리세스(31)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인 것이다.
결국 상부 행과 하부 행의 리세스(31)는 상호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구현예의 방음판은
소음원의 소음이 상기 각 흡음공(20)을 통과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리세스(31)에서는 안쪽의 중심공(312) 측으로 유도되어 후술할 카트리지(2)에 의해 흡음 차단되고 경사진 서포트(32)에 의해 측방으로 분산되며,
아울러 후방으로 돌출된 리세스(31)에서는 이와 이의 서포트(32)에 의해 측방으로 난반사 되거나 카트리지(2) 측으로 유도되어 흡음 차단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은 상기 각 흡음공(20)이 원형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방음판이 상하 적층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좀 더 견딜 수 있는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흡음공(20)은 육각 구멍이고, 상기 방음블록(30)에서 각 서포트(32)의 단부(端部) 즉, 타단부(他端部)는 상기 흡음공(20)의 육각 구멍 꼭짓점 부분에 연결된다.
결국 육각 구멍을 이루는 각 변(邊)에 비해 다소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는 변과 변의 연결 지점인 꼭짓점에 상기 서포트(32)의 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각 흡음공(20)은 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루는 구멍에 비해 상부나 측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쉽게 변형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강한 내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은
전술한 육각 구멍의 각 흡음공(20)이 최적의 구조로 상기 패널(10)에 배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구멍의 상기 각 흡음공(20)은 상기 패널(10)에 하니컴(honeycomb : 벌집) 구조로 배열된다.
따라서 육각 구멍이면서 벌집 구조로 배열된 상기 각 흡음공(20)은 외부에서 압력을 받을 때에 삼각이나 사각, 원형이나 타원형 등에 비해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은 하우징(1)에 장착되어 하나의 방음유닛(40)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방음유닛(40)은
도 3, 도 3의 "C"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플레이트(1a)를 갖는 하우징(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에 내장되어 흡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흡음 및 진동 제거용 카트리지(2)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10)이 상기 카트리지(2)를 덮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 전방에 장착되되, 상기 패널(10)에 이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절곡한 후 상기 하우징(1)의 상단부 후면에 밀착되도록 더 절곡한 상부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10)에 이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절곡한 후 상기 플레이트(1a) 후면에 밀착되도록 더 절곡한 하부결합부(12)가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이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하나의 방음유닛(40)이 완성된다.
소음원의 소음은 상기 흡음공(20) 및 방음블록(30)에 의해 굴절되거나 분산되고, 내부로 유도된 소음은 상기 카트리지(2)에 의해 흡음 및 진동 제거되어 차단된다.
상기 방음유닛(40)의 사용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지주(3)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방음유닛(40)이 상하 적층되게 설치되어 방음벽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패널
11 : 상부결합부 12 : 하부결합부
20 : 흡음공
30 : 방음블록
31 : 리세스 311 : 요입부
312 : 중심공 32 : 서포트
33 : 공간부
40 : 방음유닛

Claims (5)

  1. 사각 패널(10);
    상기 패널(10)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공(20); 및
    상기 각 흡음공(20)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중심선 상으로 이격 배열되되 이격되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311)와 이의 중심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312)을 갖는 돌출형 리세스(recess)(31), 상기 리세스(31)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상기 흡음공(20)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포트(32), 그리고 인접한 상기 서포트(32)와 서포트(3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3)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음블록(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흡음공(20)은 상기 패널(10)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임)의 행(行)으로 배열되면서 하니컴(honeycomb)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각 흡음공(20)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는 전방 또는 후방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각 흡음공(20)은 육각 구멍이고, 상기 방음블록(30)에서 각 서포트(32)의 단부(端部)는 상기 흡음공(20)의 육각 구멍 꼭짓점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2. 삭제
  3. 사각 패널(10);
    상기 패널(10)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공(20); 및
    상기 각 흡음공(20)의 중심에서 이를 통과하는 중심선 상으로 이격 배열되되 이격되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311)와 이의 중심에 전후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312)을 갖는 돌출형 리세스(recess)(31), 상기 리세스(31)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상기 흡음공(20)과 연결되는 다수의 서포트(32), 그리고 인접한 상기 서포트(32)와 서포트(3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3)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음블록(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흡음공(20)은 상기 패널(10)에 n개의 행으로 배열되면서 하니컴(honeycomb)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각 흡음공(20)에 배열된 상기 각 방음블록(30)의 리세스(31)는 상부 행의 리세스(31)와 하부 행의 리세스(3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각 흡음공(20)은 육각 구멍이고, 상기 방음블록(30)에서 각 서포트(32)의 단부(端部)는 상기 흡음공(20)의 육각 구멍 꼭짓점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3121U 2011-04-13 2011-04-13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KR200467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21U KR200467428Y1 (ko) 2011-04-13 2011-04-13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21U KR200467428Y1 (ko) 2011-04-13 2011-04-13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7U KR20120007267U (ko) 2012-10-23
KR200467428Y1 true KR200467428Y1 (ko) 2013-06-12

Family

ID=4751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21U KR200467428Y1 (ko) 2011-04-13 2011-04-13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40A (ko) * 2020-05-07 2021-11-17 지에스중공업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재용 흡음판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6149B (zh) * 2019-04-11 2023-05-12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低频蜂窝吸声装置
KR102094961B1 (ko) * 2019-10-02 2020-03-30 에이치엔테크 주식회사 흡음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394A (ja) 2002-11-20 2004-06-17 Takamura Sogyo Kk 車両通行帯における防音プレート
KR20080097265A (ko) * 2007-05-01 2008-11-05 김광만 방음벽
KR100923310B1 (ko) * 2009-02-02 2009-11-12 최은철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20100103244A (ko) * 2009-03-13 2010-09-27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394A (ja) 2002-11-20 2004-06-17 Takamura Sogyo Kk 車両通行帯における防音プレート
KR20080097265A (ko) * 2007-05-01 2008-11-05 김광만 방음벽
KR100923310B1 (ko) * 2009-02-02 2009-11-12 최은철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20100103244A (ko) * 2009-03-13 2010-09-27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40A (ko) * 2020-05-07 2021-11-17 지에스중공업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재용 흡음판넬
KR102349447B1 (ko) * 2020-05-07 2022-01-12 지에스중공업 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재용 흡음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7U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812B1 (ko) 방파제용 소파블록
US20190017260A1 (en) Acoustic panel
CA2929397C (en) A building plate for a toy building set and a toy building set including such building plate.
KR200467428Y1 (ko) 흡음 구조 개선형 방음판
KR100923310B1 (ko)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JP3187449U (ja) 高床式フロアボード
KR100694000B1 (ko) 삼중 흡음패널
KR102012067B1 (ko) 황토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용 흡음블록
KR102117305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
KR10064523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KR101365969B1 (ko) 저소음 타이어
KR102025689B1 (ko) 상쇄간섭홀이 구비된 흡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패널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KR102424415B1 (ko) 흡음 장치
KR20210143703A (ko)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JP3198454U (ja) 吸音体
JP6882026B2 (ja) 空調用放射パネル
KR20170077487A (ko) 도로 방음벽용 흡음패널
KR100815519B1 (ko) 극세사 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용 방음판
CN214195330U (zh) 一种吸声装饰板
JP7336787B2 (ja) 木質構造体用制振部材及び木質構造体の制振構造
KR20150009383A (ko) 방파제용 블록
RU2819015C2 (ru) Стеновой элемент
KR101475319B1 (ko) 방파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