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368Y1 -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 Google Patents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368Y1
KR200467368Y1 KR2020100009083U KR20100009083U KR200467368Y1 KR 200467368 Y1 KR200467368 Y1 KR 200467368Y1 KR 2020100009083 U KR2020100009083 U KR 2020100009083U KR 20100009083 U KR20100009083 U KR 20100009083U KR 200467368 Y1 KR200467368 Y1 KR 200467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pansion
band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74U (ko
Inventor
허근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스
대원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스, 대원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to KR2020100009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36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3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Abstract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의 확장링은, 그 일부가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탄성을 갖는 링 형상의 밴드, 밴드의 절개위치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단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벌려 밴드를 확장시키는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며, 이때 간격 조절구는, 절개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한 쌍의 체결구와; 그 중앙이 밴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에 각각 고정된 확장쇠;로 이루어져, 확장쇠의 절곡된 지점에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확장쇠의 양 끝단이 벌어지면서 상기 밴드가 확장된다.

Description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Pipe connector containing Pipe connecting extention ring}
본 고안은 관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관(또는 맨홀)의 측면에 분기관을 연결함에 있어 그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주관(또는 맨홀)에 대한 분기관의 접속 각도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우수한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관 사이를 연결하거나 맨홀에 하수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그 연결부위에 대한 수밀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하수관을 맨홀 벽체의 측면 구멍에 설치한 상태에서 하수관과 맨홀 벽체 사이에 틈이 존재하게 되면,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맨홀 벽체와 하수관 사이의 틈을 통한 누수는 결국, 지반 오염 및 지반 부등침하의 원인이 된다.
누수로 인한 부등침하는 땅속에 묻힌 맨홀 또는 하수관 자체 침하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관과 관 사이 또는 맨홀과 관 사이의 연결부위 어긋남으로 이어져 보다 많은 누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맨홀에 하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그 연결부위에 대한 수밀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맨홀뿐만 아니라 수로를 형성하는 상·하수관의 주관으로부터 다양한 경로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수로용 관 또는 맨홀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을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메인이 되는 주관 측면 또는 맨홀 벽체에 소정의 크기로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이곳에 합성수지 소재의 접속관체를 끼운 다음, 그 접속부 틈새에 충전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몰탈을 채워 분기관을 연결하는 시공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은, 시공 후 외부 압력 또는 지진이 발생하면, 그 접속부위의 충전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몰탈이 쉽게 떨어져 나가거나 균열 등이 발생하여 누수가 생기며, 특히, 주관에 대한 분기관 또는 맨홀에 대한 하수관의 접속각도는 현장 상황 또는 지형적 여건에 따라 달라져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관 접속각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시공상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맨홀 벽체에 하수관을 연결하거나 주관으로부터 분기관을 분기 접속시킴에 있어, 현장 상황 또는 지형적 여건에 따라 접속각도가 달라지더라도, 그 접속각도에 적합한 형태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그 접속부위에 대한 수밀성은 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맨홀 또는 주관에 형성되는 접속구멍과 분기관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분기관의 직경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링 형상의 밴드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탄성을 갖고, 상기 밴드의 절개위치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단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벌려 밴드를 확장시키는 간격 조절구가 장치되며, 상기 간격 조절구는, 상기 절개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한 쌍의 체결구와; 그 중앙이 밴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에 각각 고정된 확장쇠;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쇠의 절곡된 지점에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확장쇠의 양 끝단이 벌어지면서 상기 밴드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용 확장링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소재로 한 것이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의 절개단에는, 이 절개단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밴드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좁은 단면적을 가지는 절단 노치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체결구 사이 간극을 커버링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곡선상의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 일 측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 중 어느 한 쪽 체결구 외면에 고정되고, 다른 일 측은 다른 한 쪽 체결구 외측에 자유단 형태로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 일 측을 장착대상 공간에 고정하는 상기한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부재는, 단차(段差)진 종단면을 가진 중공의 소켓부; 및 소켓부 선단(先端)에서 외향 절곡된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소켓부 선단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소켓부 선단 일부를 덮는 확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부는, 길이 방향으로 대구경 소켓부, 경사 연결부, 그리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에 비해 작은 직경의 소구경 소켓부가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연이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와, 소구경 소켓부는 클램프 장착을 위한 복수의 요홈을 그 외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확장 접속부는 관 접속구용 확장링 장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그 내면에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연결부와 대구경 소켓부를 잇는 연결지점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소구경 소켓부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상기 절단부를 통해 소구경 소켓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를 이용하여 맨홀 벽체 또는 주관에 형성된 접속구멍으로 분기관을 접속시킴에 있어, 상기 접속구멍 주변에 대한 밀착성 확보를 통해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확장 접속부 말단에는 시일 테두리가 일정 각도로 외향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부재를 접속구멍에 끼운 다음, 확장 접속구 사이로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위치시키고, 확장링의 확장쇠를 가압하여 확장링의 반경을 늘리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맨홀 또는 주관과 분기관을 접속 연결하는 관 접속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그 접속부위의 수밀성 또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속부재가 고무와 같이 수밀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임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상황 또는 지형적 여건에 따라 주관 또는 맨홀에 대한 분기관의 접속각도가 달라지더라도, 그 접속각도에 적합한 형태로 용이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유연한 소재의 접속부재 적용으로 인하여, 시공 후 외압 또는 지진, 지반 부등침하로 인해 접속각도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속부분에 균열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외압 또는 지진, 지반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시공에 있어 분기관의 직경에 따라 접속부재의 소구경 소켓부를 이용하거나 소구경 소켓부를 제거한 뒤 대구경 소켓부를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분기관의 직경에 구애됨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용 확장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확장링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확장링의 다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접속부재의 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접속구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시공 완료 후의 시공 단면도.
도 8은 시공된 관 접속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용 확장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용 확장링(1)은, 링 형상의 밴드(10)와, 밴드(10) 직경 가변을 위한 간격 조절구(12)로 구성된다. 상기 링 형상의 밴드(10)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탄성을 갖고, 상기 간격 조절구(12)는 상기 밴드(10)의 절개위치에 장치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단(100)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벌려 밴드(10)를 확장시킨다.
상기 밴드(10) 및 간격 조절구(12)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확장링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간격 조절구(12)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된 간격 조절구(12)는 상기 밴드(10)의 절개단(100)에 조립되는 한 쌍의 체결구(120)를 구비한다. 체결구(120)는 상기 절개단(100)이 끼워져 고정되는 접속부(122)를 구비하며, 각각의 체결구(1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확장쇠(124)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확장쇠(124)는 그 중앙이 밴드(10)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확장쇠(124)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120)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쇠(124)의 절곡된 지점(125)에 이를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확장쇠(124)의 양 끝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소성변형이 일어나고, 확장쇠(124)가 연결된 한 쌍의 체결구(120) 간격 역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멀어짐으로써 결국, 도 2에 파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밴드(10)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된다. 탄성 확장을 위해 상기 밴드(10)는 합성수지 예컨대, PE 또는 PP가 소재로 채택될 수 있으며, 다르게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역시 소재로 채택될 수 있다.
도면부호 126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120) 사이 간극을 커버링하는 덮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126)는 상기 한 쌍의 체결구(120) 사이를 커버링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곡선상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덮개(126) 일 측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120) 중 어느 한 쪽 체결구(120) 외면에 고정되고, 다른 일 측은 다른 한 쪽 체결구(120) 외측에 자유단 형태로 존재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확장링의 다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밴드(10)의 절개단(100)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밴드(10)의 절개단(100)은, 이 절개단(10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밴드(1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절개단(100)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좁은 단면적(또는 두께)의 절단 노치부(10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여러 개소에 형성된 절단 노치부(102) 중 어느 한 개소의 절단 노치부(102)를 선택 후 절단하면, 그 절단된 길이만큼 전체적인 밴드(10)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고, 결국 장착 대상물(맨홀 또는 주관)에 형성된 접속구멍의 크기에 맞게 밴드(10) 사이즈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는, 원통형의 접속부재(2) 및 상기 접속부재(2) 일 측을 장착대상 공간(접속구멍)에 고정하는 관 접속구용 확장링(1)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재(2)는 주관 또는 맨홀에 대한 분기관의 접속각도가 달라지더라도 그 접속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유연한 소재 예컨대, 고무를 소재로 하며, 관 접속구용 확장링(1)은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관 접속구용 확장링(1)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속부재(2)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접속부재(2)의 횡 단면도로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된 접속부재(2)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속부재(2)는, 단차(段差)진 종단면을 가진 중공의 소켓부(20) 및 상기 소켓부(20) 선단(先端)에서 외향 절곡된 경사 연결부(204)를 매개로 상기 소켓부(20) 선단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소켓부(20) 선단 일부를 덮는 확장 접속부(22)로 구성된다.
소켓부(20)는 길이 방향으로 대구경 소켓부(200), 경사 연결부(204), 그리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200)에 비해 작은 직경의 소구경 소켓부(206)가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연이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200)와, 소구경 소켓부(206)는 클램프 장착을 위한 복수의 요홈(209)을 그 외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확장 접속부(22)는 상기한 관 접속구용 확장링(1) 장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220)을 그 내면에 구비한다.
상기 관 접속구를 이용하여 관 이음 시공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주관 또는 맨홀에 접속되어지는 피 접속관 즉, 분기관의 직경이 현장여건 또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 연결부(204)와 대구경 소켓부(200)를 잇는 연결지점(125)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절단부(202)를 형성함으로써, 소구경 소켓부(206)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상기 절단부(202)를 통해 소구경 소켓부(206)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 접속부(22) 말단에는 시일 테두리(222)를 일정 각도로 외향 절곡되게 일체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상기 관 접속구를 이용하여 맨홀 벽체 또는 주관에 형성된 접속구멍으로 분기관을 접속시킴에 있어 해당 접속구멍 주변에 대한 밀착성 확보를 통해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를 통해 수행되는 관 접속과정을 본 고안에 따른 관 접속구의 조립과 연계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접속구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맨홀에 하수관을 접속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구를 이용하여 맨홀(M)에 하수도 관(P)을 접속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도 6의 (a)의 도시와 같이 맨홀(M) 벽체에 형성된 접속구멍(H)으로 상기한 접속부재(2)를 끼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부재(2)의 일측의 확장 접속부(22)가 상기 접속구멍(H)에 위치하도록 접속부재(2)를 접속구멍(H)에 끼운다.
그 상태에서 도 6의 (b)와 같이, 확장 접속부(22)와 소켓부(20) 사이의 소정의 공간으로 도 1에 도시된 관 접속구용 확장링(1)을 끼워, 맨홀 벽체에 형성된 접속구멍과 상기 관 접속구용 확장링(1)이 접속부재(2)의 상기 확장 접속부(2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접속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인 도 6의 (c)의 도시와 같이, 유압식 확장기(3, 또는 수동식 확장도구)를 이용하여 확장쇠(124)의 절곡된 지점(125)에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확장쇠(124)의 양 끝단이 벌어지면서 도 6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밴드(10)가 확장되고, 따라서 밴드(10)와 접속구멍(H) 사이에 위치한 상기 확장 접속부(22)는 접속구멍(H) 벽면으로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접속부재(2)의 일측이 접속구멍(H)에 고정되면, 도 6의 (e)와 같이 접속부재(2) 타측의 소구경 소켓부(206) 또는 대구경 소켓부(200) 내측으로 연결대상 하수관(P)을 끼운 상태로, 그 외측을 클램프(C) 등으로 죄어 고정하면, 간단하게 그 시공이 마무리될 수 있으며, 도 7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 접속시공이 완료된 후의 시공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접속구에 따르면, 접속부재를 접속구멍에 끼운 다음, 확장 접속구 사이로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위치시키고, 확장링의 확장쇠를 가압하여 확장링의 반경을 늘리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맨홀 또는 주관과 분기관을 접속 연결하는 관 접속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재가 고무와 같이 수밀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후 상기 접속부재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임 자유롭다. 이에 따라, 현장 상황 또는 지형적 여건에 따라 주관 또는 맨홀에 대한 분기관의 접속각도가 달라지더라도, 그 접속각도에 적합한 형태로 용이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시공 후 외압 또는 지진, 지반 부등침하로 인해 접속각도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속부분에 균열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외압 또는 지진, 지반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그 시공에 있어서도 분기관의 직경에 따라 접속부재의 소구경 소켓부를 이용하거나 소구경 소켓부를 제거한 뒤 대구경 소켓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관의 직경에 크게 구애됨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는 시공상의 이점 또한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관 접속구용 확장링 2...접속부재
10...밴드 12...간격 조절구
100...절개단 102...절단 노치부
120...체결구 122...접속부
124...확장쇠 126...덮개
2...접속부재 20...소켓부
22...확장 접속부 200...대구경 소켓부
202...절단부 204...경사 연결부
206...소구경 소켓부 209, 220...요홈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주관 또는 맨홀 벽체에 분기관을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 일 측을 장착대상 공간에 고정하는 확장링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링은
    접속구를 이용해 주관 또는 맨홀 벽체에 분기관을 접속함에 있어 사용되는 것으로,
    링 형상의 밴드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탄성을 갖고, 상기 밴드의 절개위치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단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벌려 밴드를 확장시키는 간격 조절구가 장치되며,
    상기 간격 조절구는,
    상기 절개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한 쌍의 체결구와;
    그 중앙이 밴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상기 한 쌍의 체결구에 각각 고정된 확장쇠;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쇠의 절곡된 지점에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했을 때, 확장쇠의 양 끝단이 벌어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밴드가 확장되고 확장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접속부재는,
    단차(段差)진 종단면을 가진 중공의 소켓부; 및
    소켓부 선단(先端)에서 외향 절곡된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소켓부 선단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소켓부 선단 일부를 덮는 확장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켓부는, 길이 방향으로 대구경 소켓부, 경사 연결부, 그리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에 비해 작은 직경의 소구경 소켓부가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연이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구경 소켓부와, 소구경 소켓부는 클램프 장착을 위한 복수의 요홈을 그 외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확장 접속부는 관 접속구용 확장링 장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그 내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연결부와 대구경 소켓부를 잇는 연결지점에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접속부 말단에는 시일 테두리가 일정 각도로 외향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
KR2020100009083U 2010-08-31 2010-08-31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KR200467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83U KR200467368Y1 (ko) 2010-08-31 2010-08-31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83U KR200467368Y1 (ko) 2010-08-31 2010-08-31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74U KR20120001674U (ko) 2012-03-08
KR200467368Y1 true KR200467368Y1 (ko) 2013-06-14

Family

ID=4660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83U KR200467368Y1 (ko) 2010-08-31 2010-08-31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36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563B2 (ja) * 1997-01-09 2002-01-21 株式会社泰成工業所 マンホール継手用取付リング
JP2002364011A (ja) 2001-06-12 2002-12-18 Azuma Rubber Kogyo Kk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の固着方法
JP3990039B2 (ja) 1997-11-27 2007-10-10 シー・アール・ケイ株式会社 マンホールジョイント
JP4070488B2 (ja) * 2002-03-25 2008-04-02 早川ゴム株式会社 拡張バンド及びマンホール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563B2 (ja) * 1997-01-09 2002-01-21 株式会社泰成工業所 マンホール継手用取付リング
JP3990039B2 (ja) 1997-11-27 2007-10-10 シー・アール・ケイ株式会社 マンホールジョイント
JP2002364011A (ja) 2001-06-12 2002-12-18 Azuma Rubber Kogyo Kk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の固着方法
JP4070488B2 (ja) * 2002-03-25 2008-04-02 早川ゴム株式会社 拡張バンド及びマンホール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74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7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buried pipe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JP5662783B2 (ja) 管の接続構造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0467368Y1 (ko) 관 접속구용 확장링을 포함하는 관 접속구
EP2459810B1 (en) Toilet pan connector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US20070200341A1 (en) Sewer tap with watertight lip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200413764Y1 (ko) 수도관 연결 장치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60117086A (ko)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CN109844389B (zh) 具有钟状接头的塑料管
KR100864054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180051024A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JP3689032B2 (ja) 管端防食コアの固定リング及びそれを使用した固定構造並びに固定方法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US202100717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Buried Pipeline
KR200268456Y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970001421Y1 (ko) 맨홀 및 콘크리트관과의 가지관 연결장치
WO20160448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ipes
JP2004232849A (ja) 管継ぎ手部内面の止水装置
KR20220026107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이형관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