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98Y1 -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 Google Patents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98Y1
KR200466998Y1 KR2020080003178U KR20080003178U KR200466998Y1 KR 200466998 Y1 KR200466998 Y1 KR 200466998Y1 KR 2020080003178 U KR2020080003178 U KR 2020080003178U KR 20080003178 U KR20080003178 U KR 20080003178U KR 200466998 Y1 KR200466998 Y1 KR 200466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panel
resin
transparent base
present
bas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235U (ko
Inventor
이억형
최원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80003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9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 베이스 수지부; 및 상기 투명 베이스 수지부 내부에 함유된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투명 베이스 수지 내에 그 형태와 질감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된 천연 소재를 통하여, 보다 자연적인 장식미, 입체감 및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천연 소재가 패널 표면이 아닌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이 연마 또는 마모되더라도 외관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인테리어 패널, 투명 베이스 수지, 천연소재, 억새풀

Description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An interior panel comprising natural materials}
본 고안은 투명 베이스 수지부; 및 상기 투명 베이스 수지부 내부에 함유된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패널은 건축물 내/외벽 장식재, 싱크대, 세면대, 화장대, 은행이나 일반 매장의 접수대 상판 등의 다양한 용도로 빈번히 사용되는 건축 자재이다. 이러한 인테리어 패널 등에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여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패널의 표면에 인쇄 또는 코팅 등의 방법으로 일정한 색상이나 무늬를 부여하는 방법, 또는 각종의 장식 시트를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모두 장식 효과가 표면에만 국한되므로, 표면의 마모 또는 연마 등에 의해 색상 또는 무늬 등이 훼손될 우려가 크고, 장식 효과의 구현이 2차원적이고 평면적인 것에 그치기 때문에, 다양하고 화려한 외관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가로 최근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자연적인 장식미를 입체적으로 구현하고, 장기간의 사용에도 장식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인테리어 패널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된 것으로, 투명 베이스 수지 내에 천연 소재를 그 형태 및 질감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시켜 자연스러운 장식미 및 입체감을 구현하고, 상기 천연소재가 표면에 국한되지 않고 내부에서 3차원적으로 표현됨으로 해서, 표면이 마모 또는 연마되더라도 장식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인테리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 베이스 수지부; 및 상기 투명 베이스 수지부 내부에 함유된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패널에 포함되는 투명 베이스 수지부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패널에서 투명 베이스 수지부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 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패널에 포함되는 천연 소재는 억새풀, 갈대, 꽃, 꽃잎, 나뭇잎, 이끼류, 목재, 석재, 자개 및 석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패널은 또한 수지층의 두께가 1 mm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패널은 또한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백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천연 소재가 투명 베이스 수지 내에 그 형태 및 질감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어, 자연스러운 장식미 및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천연소재가 내부에 3차원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한 표면의 마모 발생 또는 추가적인 연마 공정 등에 의해서도 외관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투명 베이스 수지부; 및 상기 투명 베이스 수지부 내부에 함유된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인조대리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에 포함되는 투명 베이스 수지부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광투과율』은 경화 상태의 투명 베이스 수지의 두께로 1 cm로 하였을 때 측정된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상기 광투과율이 80% 미만이면, 내부에 함유된 천연소재가 외부에서 인식되는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베이스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광투과율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베이스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아크릴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α,β-불포화 이염기산 또는 상기 이염기산 및 포화 이염기산의 혼합물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산가가 5 내지 40이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이염기 산 등을 다가 알코올과 특정 비율(ex. 알콜성 수산기 몰수/카르복실기 몰수 = 0.8 내지 1,2)로 혼합한 후, 탄산가스 및/또는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기류 하 14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을 축합 반응시키면서 생성수를 제거하고 반응 진행 정도에 따라서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α,β-불포화 이염기산 또는 포화 이염기산의 예로는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 시트라콘산(citraco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무수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아디프산(aip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및/또는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고;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소화 비스페놀 A, 트리메틸롤 프로판 모노아릴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및/또는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아크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및/또는 안식향산(benzoic acid) 등의 일염기산; 또는 트리멜리트산(trimellitic acid) 및/또는 벤졸의 테트라카본산 등의 다염기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의 종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관능 또는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관능 또는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예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페닐 에탄 에폭시 수지 및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하나 이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수지층의 투명 베이스 수지부가 투명성 안료 또는 투명성 염료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료 또는 염료의 함유로 인해, 투명 수지부 자체가 고유의 색상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되고 다양한 장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투명성 안료 또는 염료의 구체적인 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각종의 염료 또는 안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투명성 안료 또는 염료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부의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면 된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은 상기와 같은 투명 베이스 수지부 내에 포함된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천연소재의 구체적인 종류는 패널 내부에 포함되어 자연스러운 장식미 및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는 억새풀, 갈대, 꽃, 꽃잎, 나뭇잎, 이끼류, 목재, 석재, 자개 또는 석영 등과 같은 소재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천연소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의 수지층은 또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 며, 분자 내에 공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을 가져, 전술한 아크릴 수지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베이스 수지와 가교 결합이 가능하다면 어느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의 예로는 다관능성 아크릴계 단량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ED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3EDMA),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4EDMA),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TMPMA),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TMPMA) 및/또는 에틸렌클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DMA)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투명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2 중량부보다 작으면, 패널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거나, 상부와 하부에 기포가 발생하고, 원료들의 결합력, 내열성 및/또는 내열변색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천연소재의 상분리가 일어나 패널의 외관 패턴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의 수지부는 또한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공정에서 수지 조성물의 중합 및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경화제의 종류로는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 퍼옥사이드; 부틸히드로 퍼옥 사이드 및 쿠밀 히드로 퍼옥사이드 등의 히드로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 말레인산;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시 부틸레이트; 아세틸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 디메틸발레로 니트릴; t-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및 t-아밀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 t-부틸히드로퍼옥시 부틸레이트 및/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민의 퍼옥사이드 및 술폰산의 혼합물; 또는 퍼옥사이드 및 코발트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중합 및 경화가 실온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경화제는 투명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2 중량부보다 작으면, 제조 공정 시에 경화속도가 느려지거나, 충분한 경화가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속도가 오히려 지연되거나, 부분적인 미경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의 수지층은 상기 외에도 고안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무기 충전제; 소포제; 유기 또는 무기 안료나 염료; 자외선 흡수제; 인계 또는 무기 금속계 난연제; 스테아린산계 또는 실리콘계 이형제; 카테콜계 또는 하이드로퀴논류의 중합억제제; 및 페놀계, 아민계, 퀴논계, 유황계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무기 충전제는 지나치게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수지층의 투명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무기 충전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이 최소한으로 제한되거나, 또는 투명성을 해하지 않도록 굴절률이 조절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수지층은 그 두께가 1 내지 1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두께에 제한되지 않고, 패널이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수지층의 두께를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은 또한 천연소재가 삽입된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백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백업층은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패널 전체의 기계적 강도 및 시공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백업층으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백업층의 예로는 충진제 및 보강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된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 공법 또는 프레스 공법으로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수지의 예로는 전술한 베이스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인테리어 패널은, 투명 베이스 수지부를 구성할 액상 수지 시럽 내에 천연소재를 적절히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 방법의 예로는, 프레스 공법, 캐스팅 공법, 조성물을 이송 벨트에서 이송시키면서 경화시키는 방법 또는 판 넬 주형에 조성물을 주입하고 열풍 건조 등의 수단으로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후, 샌딩 공정 등의 마무리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된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백업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백업층은 충진제와 보강제와 같은 첨가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 또는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경화시켜 제조된 통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업층의 적층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접착제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적층하거나, 또는 백업층을 구성할 수지 조성물 자체를 제조된 수지층에 도포, 경화시킨 후 적절히 연마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억새풀이 삽입된 인테리어 패널의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다.

Claims (8)

  1.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베이스 수지부; 및 상기 투명 베이스 수지부 표면이 아닌 내부에 함유된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베이스 수지부의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베이스 수지부가 투명성 안료 또는 투명성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 소재가 억새풀, 갈대, 꽃, 꽃잎, 나뭇잎, 이끼류, 목재, 석재, 자개 및 석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의 두께가 1 mm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백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KR2020080003178U 2008-03-11 2008-03-11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KR200466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8U KR200466998Y1 (ko) 2008-03-11 2008-03-11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8U KR200466998Y1 (ko) 2008-03-11 2008-03-11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5U KR20090009235U (ko) 2009-09-16
KR200466998Y1 true KR200466998Y1 (ko) 2013-05-20

Family

ID=4153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78U KR200466998Y1 (ko) 2008-03-11 2008-03-11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703A (ko) 2018-06-06 2019-03-15 (주) 모드온 접착제 색 외부 발현 난연 인테리어 월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9339B1 (es) * 2009-12-05 2013-03-01 Beatriz Valls Rodríguez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revestimiento para paramentos de construcción y revestimiento obtenido con el mismo.
CN102352667B (zh) * 2011-11-07 2012-11-28 张智慧 一种以芦苇为原材料的建筑外墙保温板及其生产方法
KR20190135067A (ko) * 2018-05-28 2019-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273A (ja) * 2000-08-09 2002-02-20 Nippon Shokubai Co Ltd 複合被覆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273A (ja) * 2000-08-09 2002-02-20 Nippon Shokubai Co Ltd 複合被覆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703A (ko) 2018-06-06 2019-03-15 (주) 모드온 접착제 색 외부 발현 난연 인테리어 월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5U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552B1 (en) Preparation method of artificial marble
ES2347922T3 (es) Material de relleno en polvo orgánico como el sustituto del material de relleno mineral en los compuestos.
KR100975378B1 (ko)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66998Y1 (ko) 천연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KR100975380B1 (ko)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49559B1 (ko) 깊이감과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투명칩, 이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383B1 (ko) 시멘트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251098B1 (ko) 천연소재 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008207441A (ja) 化粧シート
KR101316478B1 (ko) 멜라민 수지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JP3701480B2 (ja) 高硬度軟質複合材
US20230183527A1 (en) Partially cured coated sheet
KR101242277B1 (ko) 광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투명칩, 상기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469639Y1 (ko)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부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101283868B1 (ko) 무늬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0134A (ko) 인조 대리석
KR101316304B1 (ko) 바인더층을 갖는 투명칩, 이를 포함한 인조대리석 및이들의 제조 방법
KR101228170B1 (ko) 반사효과를 갖는 칩,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제조방법
JP2001287313A (ja) 複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3995B1 (ko) 인조대리석 투명칩용 조성물
KR20090130593A (ko) 패각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7653B1 (ko) 재활용 아크릴칩을 포함한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5386A (ko)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9761B1 (ko) 특정 패턴을 갖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칩을 함유하는 인조대리석, 이의 제조방법 및 인조대리석용 칩의 제조방법
KR200476977Y1 (ko) 엘이디가 내장된 인테리어 조명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