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34Y1 - 장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장구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34Y1
KR200466834Y1 KR2020110008854U KR20110008854U KR200466834Y1 KR 200466834 Y1 KR200466834 Y1 KR 200466834Y1 KR 2020110008854 U KR2020110008854 U KR 2020110008854U KR 20110008854 U KR20110008854 U KR 20110008854U KR 200466834 Y1 KR200466834 Y1 KR 200466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rim
janggu
support member
gea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248U (ko
Inventor
강명규
강전호
Original Assignee
강전호
강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전호, 강명규 filed Critical 강전호
Priority to KR202011000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3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28Mountings or supports for individual dru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10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 F16C2226/18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by magnets, i.e. magnetic attraction to hold parts toge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구를 앉아서 연주할 때 장구를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장구의 이동시에도 장구에 밀착되어 쉽게 분실하지 않도록 된 장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구용 받침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구의 원형강철림 부분이 안착되도록 관통형성된 강철림안착부(111)와, 이 강철림안착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 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이동하여 일측면으로 연통되도록 절취된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된 장구받침대부재(110)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의 하부면에 부착설치되어 장구받침대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패드부재(120)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에 장착되어 장구의 강철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된 자석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구용 받침대{Supporter for drum shaped like an hourglass}
본 고안은 장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구를 앉아서 연주할 때 장구를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장구의 이동시에도 장구에 밀착되어 쉽게 분실하지 않도록 된 장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악에서 사용하는 타악기로 장구가 대표적인 바, 허리가 가늘고 잘록한 둥근 통의 양쪽 마구리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운 환테를 대고 장구고리와 조임줄로 얽어서 만들며, 왼쪽은 손이나 궁채로, 오른쪽은 채로 치는데, 주로 춤이나 소리의 반주에 사용된다.
최근에 사물놀이가 국내는 물론 세계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를 배우기 위한 공부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장구를 연주할 때 실외에서 광목 등을 이용하여 어깨에 둘러멘 상태에서 춤을 추며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요즈음은 기후 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장구를 연주할 수 있도록 실내에서 공연을 많이 하고 있다.
즉, 실외에서 장구를 어깨에 멘 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장구의 위치 등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하고 움직이지 않게 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장구의 연주시에 어려움이 없지만, 건물의 내부에서 앉아서 연주시 직접 연주자의 발을 이용하여 장구를 거치하여 연주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구를 앉아서 연주할 때 장구를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제조가 용이하도록 된 장구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장구의 이동시에도 장구에 밀착되어 쉽게 분실하지 않도록 된 장구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장구용 받침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구의 원형강철림 부분이 안착되도록 관통형성된 강철림안착부와, 이 강철림안착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 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이동하여 일측면으로 연통되도록 절취된 고리안착절취부가 형성된 장구받침대부재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의 하부면에 부착설치되어 장구받침대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패드부재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에 수납되어 장구의 강철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된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안착절취부가 형성된 강철림안착부의 남은 쪽에는 강철림안착부의 폭 보다 넓게 고리도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강철림안착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장구의 원형강철림이 안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구용 받침대에 의하면, 장구를 앉아서 연주할 때 장구를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장구용 받침대에 의하면, 장구의 이동시에도 장구에 밀착되어 쉽게 분실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구용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장구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장구를 받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구용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장구용 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구용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장구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장구를 받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장구용 받침대(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구(200)의 원형강철림(210) 부분이 안착되도록 관통형성된 강철림안착부(111)와, 이 강철림안착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 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이동하여 일측면으로 연통되도록 절취된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된 장구받침대부재(110)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의 하부면에 부착설치되어 장구받침대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패드부재(120)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에 장착되어 장구의 강철림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된 자석부재(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강철림안착부(111)에 장구(200)의 원형 강철림(210)이 가죽으로 싸여진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고리안착절취부(112)로 장구의 고리(220)가 끼워지면서 원형 강철림이 안정되게 안착되게 되며, 상기 마찰패드부재(120)가 바닥에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상기 자석부재(130)에 의해 장구(200)의 강철림(210)에 부착되어 장구를 들어 올려서 이동하게 되어도 쉽게 장구용 받침대(100)를 잃어버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강철림안착부(111)가 관통형성된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져 나무나 합성수지 및 금속등의 다양한 재질로 재작이 용이하다.
또 상기 자석부재(130)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된 강철림안착부(111)의 남은 쪽에는 강철림안착부의 폭 보다 넓게 고리도피부(1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리도피부(112a)에 의해 고리안착절취부(112)의 안쪽에 위치한 강철림안착부(111)에 장구의 고리(220)가 걸리지 않게 되므로 장구의 원형강철림부분이 장구용 받침대(100)에 안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리도피부(112a)에 의해 장구(200)의 고리(220)가 용이하게 안착되므로 안정되게 장구(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부재(120)는 본 실시예에서는 장구받침대부재(110)의 하부면에 원형의 패드부재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나 장구받침대부재(110)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130)는 상기 장구받침대부재(110)의 강철림안착부(111)에 설치되되, 상기 강철림안착부(111)의 측면에 수납되어 장구(200)의 강철림(210)에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강철림안착부(11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장구의 원형강철림이 안착되는 경사면(11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12b)에 의해 장구의 원형강철림에 감싸여진 가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장구의 원형강철림의 직경에 따라 안착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13은 장구받침대부재(110)의 모서리를 투박하지 않게 만져지도록 하면서 부드럽게 보이도록 한 모따기부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장구용 받침대 110: 장구받침대부재
111: 강철림안착부 112: 고리안착절취부
120: 마찰패드부 130: 자석부재

Claims (3)

  1.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구의 원형강철림 부분이 안착되도록 관통형성된 강철림안착부(111)와, 이 강철림안착부의 일측면으로 연통되도록 절취된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된 강철림안착부(111)의 남은 쪽에는 강철림안착부의 폭 보다 넓게 고리도피부(112a)가 형성된 장구받침대부재(110)와, 상기 장구받침대부재(110)의 하부면에 부착설치되어 장구받침대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패드부재(120)를 포함하는 장구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장구받침대부재(110)의 고리안착절취부(112)가 강철림안착부(111)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 단부쪽으로 일정길이 편심 이동하여 형성되고,
    상기 강철림안착부(11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강철림안착부(111)의 폭 보다 좁게 경사면(112b)이 형성되며,
    상기 장구받침대부재(110)의 고리안착절취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 장착되어 장구(200)의 강철림(2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된 자석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장구용 받침대.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8854U 2011-10-04 2011-10-04 장구용 받침대 KR200466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54U KR200466834Y1 (ko) 2011-10-04 2011-10-04 장구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54U KR200466834Y1 (ko) 2011-10-04 2011-10-04 장구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48U KR20130002248U (ko) 2013-04-12
KR200466834Y1 true KR200466834Y1 (ko) 2013-05-09

Family

ID=5242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854U KR200466834Y1 (ko) 2011-10-04 2011-10-04 장구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3345A1 (en) * 2019-12-13 2021-06-17 William James Butera Portable device to limit unwanted movement of drums and other musical instru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06Y1 (ko) * 2020-02-05 2021-12-31 김겸수 장구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3345A1 (en) * 2019-12-13 2021-06-17 William James Butera Portable device to limit unwanted movement of drums and other musical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48U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6867A3 (en) Instrument support
KR200466834Y1 (ko) 장구용 받침대
US7579538B2 (en) Music instrument
US20170278493A1 (en) Musical instrument
US6267685B1 (en) Billiards cue stroke guidance aid
DE60209033D1 (de) Ball mit Bändern
DE60221417D1 (de) Spielgerät mit angebundenem Ball
JP3212173U (ja) 弦楽器の駒
JP3222479U (ja) 床上カーリング競技用ストーン
JP5737700B1 (ja) 楽器支持具及び音源体支持具
JP5970635B2 (ja) 打楽器用固定具
US6536081B2 (en) Novelty balancing apparatus
JP3828565B1 (ja) 独立長縄跳びまわし手ポール
KR200494806Y1 (ko) 장구용 받침대
KR200167327Y1 (ko) 골프용 볼 마커-핀 휴대용구
CN202632734U (zh) 一种钢琴
KR200462485Y1 (ko) 휴대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
KR200401671Y1 (ko) 유희구
JP2007029753A5 (ko)
KR200399185Y1 (ko) 장구 받침대
JP2006030436A (ja) エンドピンストッパー
US20120220188A1 (en) Toy with rotating balls
WO2011061578A1 (en) Magnetic traction endpin rest for cello
JP3116435U (ja) 楽器二胡立奏用ベルト
JP5892402B1 (ja) 弦楽器用保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