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71Y1 - 유희구 - Google Patents

유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71Y1
KR200401671Y1 KR20-2005-0024545U KR20050024545U KR200401671Y1 KR 200401671 Y1 KR200401671 Y1 KR 200401671Y1 KR 20050024545 U KR20050024545 U KR 20050024545U KR 200401671 Y1 KR200401671 Y1 KR 200401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body portion
magnetic plate
ball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안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 데이비드 filed Critical 안 데이비드
Priority to KR20-2005-0024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21L4/045Pocke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희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판이 부착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자석판에 부착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으로서, 저가의 비용으로 최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최대의 놀이 흥미도를 유발하는 동시에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 향상 기능 및 시각적 악세러리 기능을 고루 갖춘 유희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금속 또는 비자성체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부착되는 자석판과;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과; 상기 자석판 표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요동치듯 흔들리게 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희구{Device for playgame}
본 고안은 유희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판이 부착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자석판에 부착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강구를 만지는 동시에 일정한 힘을 가하는 놀이를 통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손가락 운동 및 감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강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몸체부에 후레쉬, 사진틀, 볼펜 등 장식품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식 기능을 갖는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희구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재미있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만들어진 놀이 용구로서, 주위를 끌기위해 여러가지의 기능이 부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단순히 재미 또는 흥미를 유발시키는 기능 뿐만아니라 가지고 노는 도중에 스트레스 해소 및 지압 효과 등을 자연스럽게 유발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유희구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유희구는 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주로 건전지 및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그 제작 비용이 고가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고를 위한 판촉물의 경우에는 저가의 제조비용으로 최대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것이다.
즉, 적은 제작비용으로 최대의 흥미를 유발하는 놀이 기능, 시각적 악세서리(장식품) 기능, 운동 및 지압 기능 등이 모두 겸비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석판 및 강구 등을 이용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최대의 놀이 흥미도를 유발하는 동시에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 향상 기능 및 시각적 악세러리 기능을 고루 갖춘 유희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구현예는 금속 또는 비자성체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부착되는 자석판과;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과; 상기 자석판 표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요동치듯 흔들리게 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몸체부는 반구체, 사람 모형, 동물 모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몸체부에 부착된 자석판에 저면에 금속판을 갖는 소형 후레쉬 또는 소형 사진틀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자석판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등간격을 이루며 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각 스프링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자석판에 부착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원판형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한 유희구로서, 적은 제작 비용으로 최대의 놀이 흥미도를 유발하는 동시에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 향상 기능 그리고 시각적 악세서리 기능 등을 고루 갖춘 판촉물용 유희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희구(10)의 구성은 반구형으로 성형된 금속 또는 비자성체의 몸체부(12)와, 이 몸체부(12)에 부착되는 자석판(14)과, 상기 몸체부(12)의 저면에 부착되는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16)과, 상기 자석판(14) 표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요동치듯 흔들리게 되는 강구(18)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2)는 금속 또는 비자성체(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을 이용하여 반구형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상면 중앙 영역은 평평한 원판형의 자석판(14)이 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몸체부(12)의 상면(평평하게 된 부분)에 원판형의 자석판(14)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자석판(14)의 표면에는 원형 볼 형태의 강구(18)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반구형 몸체부(12)의 저면에는 예를들어, 마찰력을 갖는 거친 천 재질로 만들어진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16)이 부착되는 바, 유희구(10)를 책상 유리와 같은 장소에 놓았을 때 상기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16)에 의하여 몸체부(12)가 미끌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제1실시예의 유희구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강구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자석판(14)에 부착된 강구(18)를 손가락으로 쳤을 때, 강구(18)는 원판형의 자석판(14)내에서 요동치듯이 움직이게 된 후, 정지하게 되는 움직임을 갖게 된다.
상기 강구의 움직임을 자세히 살펴보면, 강구(18)의 일측면 또는 상면에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면, 강구(18)는 자석판(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사방으로 요동치듯이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강구(18)의 움직임에 사용자는 흥미 및 재미를 느끼게 되어, 마치 중독된 것 처럼 반복해서 강구(18)를 건들이게 되며,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손가락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손가락 표면에 대한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무의식중에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손가락 부상 등으로 재활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자석판(14)의 자력은 강구(18)를 손가락으로 쳤을 때, 강구(18)가 요동치듯이 움직이면서 자석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범위를 갖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강구(18)를 강하게 밀치게 되면, 강구(18)가 자석판(14)으로부터 이탈되지만 너무 세게 밀치지 않는 한 강구(18)는 자석판(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강구(18)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상기 자석판(14)은 자력이 크거나 작은 것으로 선택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악세서리 기능을 갖는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상기 몸체부(12)의 상면에 부착된 자석판(14)에 여러가지 악세서리를 부착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금속판(20)이 부착된 소형 후레쉬(22)를 자석판(14)의 표면에 부착시키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금속판(20)이 부착된 소형 사진틀(28)을 자석판(14)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책상 등에 본 고안의 유희구(10)를 놓았을 때 후레쉬(22)의 빛이 발광되는 미려한 장식 기능 및 소형 사진을 부착시킨 장식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강구를 사용하되, 몸체부(12)의 형상이 장식 기능을 갖는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몸체부(12)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반구형과 달리, 사람(인체) 모형, 동물 모형, 그 밖에 흥미를 끄는 모형 등으로 만들어진 점에 특징이 있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 모형의 몸체부(12)에 자석판(14)을 부착하고, 그 표면에 강구(18)를 부착함으로써, 마치 강구(18)가 사람의 머리와 같이 장식된다.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물 모형의 몸체부(12)에 자석판(14)을 부착하고, 그 표면에 강구(18)를 부착함으로써, 마치 강구(18)가 동물의 머리와 같이 장식된다.
물론, 인체 또는 동물 모형의 몸체부(12)에 부착된 강구(18)도 제1실시예와 같이 손가락으로 쳤을 때, 자석판(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사방으로 요동치듯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강구를 사용하되, 강구를 강하게 쳐서 자석판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거나,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차단해주는 기능을 갖는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희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 비자성체 재질의 몸체부(12)와, 이 몸체부(12)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원판형 자석판(14)과, 상기 몸체부(12)의 상면 가장자리에 원호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프링(24)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각 스프링(24) 사이면에 형성되는 강구 수용홈(26)과, 상기 자석판(14)에 부착되는 강구(18)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원판형 몸체부(12)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그 원호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링(24)이 고정지지되는 지지단(28)이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4)의 외끝단은 지지단(28)에 고정되고, 내끝단은 상기 자석판(14)을 향하여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희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강구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제1실시예와 같이 강구(18)는 자석판(14)의 자력범위내에서 사방으로 요동치듯이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첨부한 도 8의 (a)에서 보듯이, 강구(18)에 강한 힘을 가하면 강구(18)는 자석판(14)의 자력범위를 떠나 외부로 이탈되는 바, 이탈된 강구(18)는 스프링(24)에 닿는 순간, 스프링(24)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재차 자석판(14)쪽으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첨부한 도 8의 (b)에서 보듯이, 강구(18)에 강한 힘을 가하면 강구(18)는 자석판(14)의 자력범위를 떠나 외부로 이탈되는 바, 이탈된 강구(18)가 스프링 사이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강구 수용홈(26)의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결국 강구(18)는 원판형 몸체부(12)의 밖으로는 절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자석판상의 강구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치는 등의 놀이를 통하여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레쉬 및 사진틀과 같은 시각적 악세러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판촉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유희구는 중공의 육면체 플라스틱통과, 상기 플라스틱통의 내부에 내재되는 소형자석(34)과, 상기 플라스틱통(32)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로 적층 부착된 자석판(14) 및, 상기 자석판상에 부착되는 강구(18)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라스틱통(32)에 내재되는 소형자석(34)은 플라스틱통(32)을 흔들었을 때, 자유롭게 움직이는 자석이다.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통(32)의 상면에 자석판(14)을 부착시키는 동시에 그 내부의 소형자석(34)이 달라붙어 서로 부착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자석판(14)상에 강구(18)를 부착시키게 된다.
이에, 자석판(14)상의 강구(18)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치는 등의 놀이를 통하여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강구(18)를 임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자석판(14) 및 소형자석(34)도 플라스틱통(32)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여 흥미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판(14)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쌓아 부착시키면서 자석판의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에 의하면, 자석판이 부착된 몸체부와, 자석판에 부착되는 강구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희구를 최소의 제작 비용으로 최대의 흥미 및 재미를 느낄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판상의 강구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치는 동작에 의거, 강구가 자석판상에서 사방으로 요동치듯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는 그 재미에 반복해서 손가락으로 강구를 건들이게 되고, 그에 따라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손가락 운동 및 손가락 표면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판에 후레쉬 및 사진틀과 같은 것을 부착하여 시각적 악세러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여러가지 기능을 겸비한 유희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판촉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유희구의 강구 움직임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희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희구 12 : 몸체부
14 : 자석판 16 :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
18 : 강구 20 : 금속판
22 : 후레쉬 24 : 스프링
26 : 강구 수용홈 28 : 사진틀
30 : 지지단 32 : 플라스틱통
34 : 소형자석

Claims (6)

  1. 금속 또는 비자성체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자석판과;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미끌림 방지용 받침판과;
    상기 자석판 표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요동치듯 흔들리게 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반구체, 사람 모형, 동물 모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부착된 자석판에 저면에 금속판을 갖는 소형 후레쉬 또는 소형 사진틀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4.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자석판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등간격을 이루며 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각 스프링 사이에 형성되는 강구 수용홈과;
    상기 자석판에 부착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6. 중공의 육면체 플라스틱통과;
    상기 플라스틱통의 내부에 자유롭게 움직임 가능하게 내재되는 소형자석과;
    상기 플라스틱통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로 적층 부착된 자석판과;
    상기 자석판상에 부착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구.
KR20-2005-0024545U 2005-08-25 2005-08-25 유희구 KR200401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45U KR200401671Y1 (ko) 2005-08-25 2005-08-25 유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545U KR200401671Y1 (ko) 2005-08-25 2005-08-25 유희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36 Division 2005-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71Y1 true KR200401671Y1 (ko) 2005-11-21

Family

ID=4370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45U KR200401671Y1 (ko) 2005-08-25 2005-08-25 유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1397A (en) Table top soccer game apparatus
JP2005525148A (ja) ブロック玩具
US20080200092A1 (en) Magnetic item and toy comprising the same
US4802880A (en) Leapfrog and football game
US5913707A (en) Devices having magnetically levitating component
US20010024925A1 (en) Self-propelled amusement device
US20130149936A1 (en) Invertible Pop Action Toy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01671Y1 (ko) 유희구
US4411096A (en) Educational toy doll with weight tending to return head
JP6837638B2 (ja) 遊具
US2353866A (en) Ball game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79932Y1 (ko) 소형딱지가 내장 가능한 딱지
US20040056422A1 (en) Magnet movement gaming device
JP3130390U (ja) 磁石を用いた玩具及びステーショナリー及びインテリア用品
US4113253A (en) Amusement device requiring concentration and coordination
KR200418153Y1 (ko) 야외용 매트
CN211863811U (zh) 一种滚珠游戏装置
JPH07194770A (ja) 磁力盤と磁力駒とで遊ぶゲーム用具
US838087A (en) Game device.
JP3999754B2 (ja) 対面式ゲーム盤
JP3151295U (ja) はじき駒ゲーム盤セット
JPH0429662Y2 (ko)
TWD214505S (zh) 指間運動玩具(一)
CA1267534A (en) Leapfro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