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37Y1 -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537Y1
KR200466537Y1 KR2020110009869U KR20110009869U KR200466537Y1 KR 200466537 Y1 KR200466537 Y1 KR 200466537Y1 KR 2020110009869 U KR2020110009869 U KR 2020110009869U KR 20110009869 U KR20110009869 U KR 20110009869U KR 200466537 Y1 KR200466537 Y1 KR 200466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ase
cable
boss
co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경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효율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컴팩트화함과 아울러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부 일측에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심선들이 내재된 케이블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대향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된 상기 심선들을 가로질러 안내리브에 의해 구획되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구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심선들이 접속되도록 대응되는 핀접속단자들이 구비된 소켓하우징; 및 상기 체결공, 상기 체결공간, 그리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with a plurality of electric pin}
본 고안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컴팩트화함과 아울러 조립성이 개선된 복수핀 연결케이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시키거나 콘트롤 박스와 외부기기를 연결시키는 등의 접속수단으로서 중요한 전기부품이라 할 수 있고, 하나의 전기장치에 많은 수의 심선들이 대응되는 복수개의 핀이 구비된 커넥터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기기기가 복잡해지면서 하나의 전기기기가 다른 전기기기와 통신을 하거나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각 심선들을 케이블에 취합하여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신호나 전원 공급이 이룬다.
많은 수의 케이블을 대응되는 커넥터 핀들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로 인해, 케이블 커넥터의 부피를 감소하여야 하며, 설치 및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1)의 외피 내에 심지어 40라인 이상에 이르는 많은 수의 심선들(1a)이 수용된다. 상기 케이블(1)의 전단에서 외피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케이스(2) 내측으로 유입된 각 심선들은 고정수단들에 의하여 고정되고, 복수의 심선(1a) 가닥의 전단부는 케이스(2)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소켓 하우징(3)의 대응되는 단자들에 각각 접속된다.
이때, 상기 소켓 하우징(3)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타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용 핀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접속용 핀단자들이 구비된다.
한편, 종래에는 커넥터(2) 내측에 케이블(1)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노출된 복수개의 심선들(1a)을 무작위로 밴딩하여 각각 소켓 하우징(3)의 대응되는 단자에 접속하므로, 상기 밴딩된 부분이 중찹되어 두께가 증가된다. 기존의 심선수가 10개 미만인 경우 큰 문제가 없으나 심선수가 30여개 이상 증가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여유공간을 두어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증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상기 케이스(2)가 두 개의 케이스편들(2a,2b)이 횡방향 볼트(5)에 의해 체결 및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상부의 구배진 측부로부터 인입되도록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 및 소켓 하우징(3)을 관통하여 타 케이블 커넥터 측부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종방향 체결부재(6)는 상기 케이스(2) 상부의 구배진 측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재(6)가 바로 상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케이블(1)에 상호 간섭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케이블을 강하게 젖힌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체결부재(6)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재(6)의 조립과정이 까다로워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케이스편들(2a,2b)의 조립 내지 상기 케이스(2)와 케이블(1) 간의 결합시 치수 공차로 인하여 조립이 난해하고 조립된 후에도 케이스와 케이블 간의 결합부분이 밀착되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마련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297068호
본 고안은 효율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컴팩트화함과 아울러 조립성이 개선된 복수핀 연결케이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측면부 일측에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심선들이 내재된 케이블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대향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내측에 배치된 상기 심선들을 가로질러 안내리브에 의해 구획되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구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심선들이 접속되도록 대응되는 핀접속단자들이 구비된 소켓하우징; 및 상기 체결공, 상기 체결공간, 그리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 피치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구속와셔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되 하단이 노출된 와셔홈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상기 케이블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심선들은 유입방향과 직교하여 배치되되 상기 유입방향과 나란히 횡방향을 따라 배열된 핀접속단자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노출된 심선의 길이는 대응되는 상기 핀접속단자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르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커버와 상기 제2결합커버의 유입구 양측에는 각각 상호간의 체결수단 체결을 위한 제1보스 및 제2보스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되, 상기 제1보스 및 상기 제2보스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외주와 형합되도록 돌출된 형합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보스의 대향되는 첨단부에는 외경이 협소화된 얼라인보스가 더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보스는 대향되는 측의 얼라인홈에 삽입되어 조립위치가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복수핀 연결케이블 커넥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블에노 노출되는 심선들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소켓하우징의 핀접속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안내리브에 의해 보호되는 체결공간을 안정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소켓하우징 하측으로 단부가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므로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노출된 각 심선의 길이를 소켓하우징의 대응되는 핀접속단자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내에서 심선들이 불규칙적으로 꼬이거나 엉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선들의 규칙적이고 가지런한 배열을 유지할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두께를 얇고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보스에 정렬구조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와 케이블간의 결합시 케이블의 외주를 고정하는 형합리브를 보스에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케이스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와 케이블 간의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4은 도 3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10)는 케이스(20), 소켓하우징(30), 그리고 체결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전면 및 후면을 이루는 제1결합커버(21)와 제2결합커버(22)가 상호 대향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측면부 일측에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심선들(11a)이 내재된 케이블(11)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7)으로부터 상기 케이블(11)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20)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심선들(11a)을 가로질러 한쌍의 대향 돌설된 안내리브(29)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간(1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호 대향 배치되어 돌출된 한쌍의 안내리브(29) 사이의 종방향 공간은 상기 심선들(11a)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후술되는 체결부재(60)가 관통하는 체결공간(18)으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심선들(11a)은 상기 안내리브(29)의 상단턱에 놓이므로, 상기 한쌍의 안내리브(29) 내측 공간은 심선(11a)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고 체결부재(60)가 원활히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간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커버(21)와 제2결합커버(22)는 전후방향으로 일체로 각각 형성된 보스들를 관통 체결되는 나사(50)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결합커버(21)와 제2결합커버(22) 중 일측 내벽면에 돌출된 보조고정 후크(27a)가 타측에 형성된 후크고정홈(27b)에 결합되어 결합을 보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10)의 사용용도 내지 어드레스/결합위치 등을 나타내는 표시가 기재될 수 있는 네이밍판(15)이 후크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켓하우징(30)의 하단턱(30a)은 상기 케이스(20)의 조립시 제1결합커버(21)와 제2결합커버(22)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단턱(21a)에 구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심선들(11a)이 접속되도록 대응되는 핀접속단자들(도 3의 35)이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블(11)의 단부에서 피복 외측으로 노출된 심선들(11a)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각각 대응되는 핀접속단자(3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하우징(30)의 핀접속단자(35)에 상기 전기기기와 대응되는 장치의 핀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체결공(17), 상기 체결공간(18), 그리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연결대상 타 전기기기의 체결홈(미도시)에 나사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60)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산(6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11)이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블(11)에서 노출되는 심선들(11a)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소켓하우징(30)의 핀접속단자(35)에 연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체결공(17)을 통해 상기 체결공간(18)을 원활히 관통하여 상기 소켓하우징(30) 하측으로 단부가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60)를 체결 및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11) 등에 의해 간섭 내지 방해받지 않으므로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20)의 유입구(16)를 통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상기 케이블(11)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심선들(11a)은 유입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밴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유입방향과 나란히 횡방향을 따라 배열된 핀접속단자들(35)에 접속되도록, 상기 노출된 각 심선(11a)의 길이는 대응되는 핀접속단자(35)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르게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블(11)의 단부로부터 대응되는 핀접속단자(35)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각 심선(11a)의 길이가 조절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노출된 심선(11a)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케이스 내에서 심선들(11a)이 불규칙적으로 꼬이거나 엉킴으로써 중첩되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선들(11a)의 규칙적이고 가지런한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심선들 다발의 전후방향 두께를 감소시켜 케이스의 전후방향 두께를 얇고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하우징(30)의 핀접속단자(35)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에 돌출된 정렬고정돌출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정렬고정돌출부(35)는 상기 핀접속단자(35)에 연결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심선들(11a)을 가지런히 가압하여 상기 각 심선이 꼬이거나 외부충격에 의한 유동에 의해 상기 심선들이 핀접촉단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커버(21)와 상기 제2결합커버(22)의 상기 유입구(도 2의 16)로부터 인입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11) 양측에는 각각 상호 간의 나사(50) 체결을 위한 제1보스(25) 및 제2보스(26)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되, 상기 제1보스(25) 및 상기 제2보스(26)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외주와 형합되도록 돌출된 형합리브(25a,26a)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커버에 형성된 보스 및 형합리브에 상응하여 상기 제2결합커버에도 보스 및 형합리브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각각 사출성형시 상기 제1결합커버 또는 제2결합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형합리브(25a,26a)의 외측면은 상기 케이블(11)의 외주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결합커버(21)와 상기 제2결합커버(22)의 조립시 상기 형합리브(25a,26b)는 상기 케이블(11)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합되어 가압하므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상기 케이블(11)의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보스(25,26)의 대향되는 첨단부에는 외경이 협소화된 얼라인보스(25b,26b)가 더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보스(25b,26b)는 각각 대향되는 측의 보스 단부에는 얼라인홈(25c,26c)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커버(21)와 상기 제2결합커버(22)의 조립시 상기 얼라인보스(25b,26b)가 상기 얼라인홈(25c,26c)에 삽입되면 간편히 조립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조립시 보스의 위치 공차로 인해 체결위치가 어긋나서 발생되는 케이스(20)의 박리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3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60)의 중앙 몸통부에는 2개의 와셔(62,63)가 연결된다. 상부에 개재되는 상부와셔(62)는 헤드부(61)와 체결공(17)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개재되는 구속와셔(63)는 상기 소켓하우징(30)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20) 내측에 형성된 와셔홈(28)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60)의 단부에는 타 장치에 구비되는 체결홈(미도시)에 체결되는 나사산(60a)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60a) 피치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구속와셔(63)는 상기 소켓하우징(30)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되되 하단이 노출된 와셔홈(28)에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셔홈(28)의 상부및 측부에는 리브(28a)를 돌설하지만, 하단에는 별도의 리브를 돌설하지 않고 노출하여도 바로 상기 소켓하우징(30) 관통공(31)의 테두리 상단면(32)이 밀착되어 와셔홈의 하단 테두리로서 기능하므로, 상기 와셔홈(28)의 하단 테두리를 형성하는 리브를 삭제하는 만큼의 부피를 컴팩트하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구속와셔(63)의 배치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60)가 타 장치의 체결홈과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체결부재(60)의 나사산(60a)이 구속와셔(63)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체결공(17)을 통해 케이스로부터 탈거되지 않으므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11: 케이블 1a,11a: 심선
16: 유입구 17: 체결공
18: 체결공간 2,20: 케이스
3,30: 소켓하우징 25,26: 보스
25a,26a: 형합리브 25b,26b: 얼라인보스
29: 안내리브 60: 체결부재
63: 구속와셔

Claims (5)

  1. 측면부 일측에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심선들이 내재된 케이블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대향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내측에 배치된 상기 심선들을 가로질러 안내리브에 의해 구획되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구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심선들이 접속되도록 대응되는 핀접속단자들이 구비된 소켓하우징; 및
    상기 체결공, 상기 체결공간, 그리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 피치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구속와셔는 상기 소켓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되 하단이 노출된 와셔홈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상기 케이블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심선들은 유입방향과 직교하여 배치되되 상기 유입방향과 나란히 횡방향을 따라 배열된 핀접속단자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노출된 심선의 길이는 대응되는 상기 핀접속단자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르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커버와 상기 제2결합커버의 유입구 양측에는 각각 상호간의 체결수단 체결을 위한 제1보스 및 제2보스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되, 상기 제1보스 및 상기 제2보스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외주와 형합되도록 돌출된 형합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스의 대향되는 첨단부에는 외경이 협소화된 얼라인보스가 더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보스는 대향되는 측의 얼라인홈에 삽입되어 조립위치가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5. 삭제
KR2020110009869U 2011-11-08 2011-11-08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KR200466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69U KR200466537Y1 (ko) 2011-11-08 2011-11-08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69U KR200466537Y1 (ko) 2011-11-08 2011-11-08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537Y1 true KR200466537Y1 (ko) 2013-04-23

Family

ID=5138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69U KR200466537Y1 (ko) 2011-11-08 2011-11-08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5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99B1 (ko) * 2017-11-21 2018-07-02 이기석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KR102588073B1 (ko) * 2022-10-26 2023-10-12 이기석 아나로그 전원단자 분리 착탈구조를 갖는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068Y1 (ko) * 2002-09-16 2002-11-30 삼원액트 주식회사 케이블 코넥터
US7270562B1 (en) * 2006-04-04 2007-09-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thumb screw retention member
US20080050963A1 (en) * 2006-08-22 2008-0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068Y1 (ko) * 2002-09-16 2002-11-30 삼원액트 주식회사 케이블 코넥터
US7270562B1 (en) * 2006-04-04 2007-09-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thumb screw retention member
US20080050963A1 (en) * 2006-08-22 2008-0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99B1 (ko) * 2017-11-21 2018-07-02 이기석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KR102588073B1 (ko) * 2022-10-26 2023-10-12 이기석 아나로그 전원단자 분리 착탈구조를 갖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60044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KR200466537Y1 (ko) 복수핀 연결커넥터 장치
KR20110089560A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의 케이블 잭 결합구조 및 이를 위한 케이블 잭
CN103444034A (zh) 线束固定装置和具有该线束固定装置的线束
KR20080005384U (ko) 전선정리용 몰드
KR200488389Y1 (ko) 요비선용 전선 결속유닛
CN213182547U (zh) 一种计算机线束用理线装置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61531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KR101662813B1 (ko) 케이블 커넥터
CN210052873U (zh) 一种排线连接结构
JP2012235555A (ja) 電線保護具の装着方法および保護具付電線
CN218550408U (zh) 一种束线结构、用电器外壳、用电器及冷接头
CN207488572U (zh) 光纤配线盒
CN215071423U (zh) 一种线束固定组件及家用电器
CN216818880U (zh) 一种多接口插头
CN201131098Y (zh) 一种电源线扣
CN201975611U (zh) 一种usb连接器
JP6025559B2 (ja) 電気機器の筐体構造
KR10147348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303780Y1 (ko) 보빈콘센트가 내장된 배선정리함
JP2013226018A (ja) 電気接続箱
CN215974450U (zh) 一种绕线结构及电子设备
CN219718693U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202678872U (zh) 电源线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