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57Y1 - 견과류 까는 가위 - Google Patents

견과류 까는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57Y1
KR200466357Y1 KR2020100011674U KR20100011674U KR200466357Y1 KR 200466357 Y1 KR200466357 Y1 KR 200466357Y1 KR 2020100011674 U KR2020100011674 U KR 2020100011674U KR 20100011674 U KR20100011674 U KR 20100011674U KR 200466357 Y1 KR200466357 Y1 KR 200466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utton
scissors
hand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35U (ko
Inventor
한재호
Original Assignee
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호 filed Critical 한재호
Priority to KR202010001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5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6Nutc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제1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을 갖는 제1 가위날, 제2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2 내면을 갖는 제2 가위날 , 및 제1 가위날과 제2 가위날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며, 제1 가위날의 일 단부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을 갖는 제1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이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으로부터 제1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만을 점유하며, 제1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이 제1 평면으로부터 제1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견과류 껍질을 깨는데에 적합한 가위가 공개된다.

Description

견과류 까는 가위{Scissors for use of cracking nuts}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과류의 내용물을 파괴하지 않고 껍질만을 까는데 적합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두 개의 가위 날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종이와 같은 물체를 자를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 두 개의 가위 날의 반대쪽에는 두 개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자르는 과정에서 두 개의 가위 날이 형성하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0°에서 백수십도(보통 180°이하)까지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0°라는 것은 두 개의 가위 날이 서로 최대한 맞물린 상태를 의미하며 이때 가위가 닫혔다고 말할 수 있다. 반대로 두 개의 가위 날이 이루는 각도가 0°보다 큰 경우에는 가위가 열려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가위가 닫힌 경우에는 두 개의 손잡이가 서로 맞닿게 된다. 가위가 열린 상태에서 두 개의 손잡이가 맞닿는 부분 사이에 견과류를 끼워 넣고 가위를 닫으려고하면 두 개의 손잡이가 견과류를 압축하여 견과류가 깨질 수 있다. 이때 견과류가 두 개의 손잡이의 맞닿는 부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손잡이의 맞닿는 부분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거나 톱니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단한 견과류가 깨지면서 그 안에 들어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내용물이 함께 깨질 수 있다. 견과류의 껍질을 파괴하지만 그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견과류 까는 가위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견과류의 내용물의 형상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견과류의 껍질만을 효율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새로운 견과류 까는 가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범위가 위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위 부재가 제공된다. 이 가위 부재는 제1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을 갖는 제1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을 갖는 제1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손잡이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가위가 제공된다. 이 가위는, 제1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을 갖는 제1 가위날; 제2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2 내면을 갖는 제2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과 상기 제2 가위날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위날의 일 단부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을 갖는 제1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위날의 일 단부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2 버튼을 갖는 제2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3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2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4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상기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은 동일한 평면이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4 공간은 동일한 공간이고,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은 동일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손잡이의 바깥면과 상기 제2 손잡이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견과류의 내용물의 형상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견과류의 껍질만을 효율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새로운 견과류 까는 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위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다. 전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1)가 닫혀있는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위(1)는 제1 가위날(11), 제1 가위날(11)의 일 단부(61)에 형성된 제1 손잡이(31), 제2 가위날(12), 제2 가위날(12)의 일 단부(62)에 형성된 제2 손잡이(32), 및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31)에는 제1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손잡이(32)에는 제2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위(1)가 닫혀있다는 것은 가위(1)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가위날(11)이 제2 가위날(12)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이상 시계방향(A)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가위(1)가 닫혀있을 때에, 제1 손잡이(31)와 제2 손잡이(32)는 접점(40)에서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가위(1)가 닫혀있을 때에는 제1 손잡이(31)와 제2 손잡이(32)에 의한 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41)와 제2 돌출부(42)는 견과류의 껍질과 접촉되는 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공간(50)의 크기에 따라 견과류의 내용물의 형태가 보존되거나 또는 망가질 수도 있다. 그런데 가위를 사용할 때에, 사람의 손가락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가위(1)가 닫혀있을 때의 공간(50)의 크기를 너무 크게 형성하려고 한다면, 가위(1)가 닫혀있을 때에 가위(1)를 쥐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이 이미 너무 벌어져 있기 때문에 가위(1)를 다시 충분히 열기가 어려울 수 있다. 가위(1)가 닫혀있을 때의 공간(50)의 크기는 제1 손잡이(31)와 제2 손잡이(32)의 모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물건을 자를 때에, 가위(1)를 열고 닫는 동작이 반복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위(1)가 닫힌 상태에서 가위(1)를 잡고 있는 손가락이 너무 벌어져 있지 않은 것이 좋다. 따라서, 공간(50)의 크기를 크게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공간(5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땅콩과 같은 작은 견과류는 그 내용물을 파괴하지 않고 껍질만을 파괴할 수 있겠지만, 호두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견과류는 껍질을 파괴하면서 그 내용물까지도 파괴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가위를 옆에서 본 모습이다.
도 1c 및 도 1d는 도 1b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제1 가위날(11)과 제1 손잡이(3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도 1d는 제2 가위날(12)과 제2 손잡이(32)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1 가위날(11)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을 포함한다. 제1 내면(111)의 한쪽 모서리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면(111)은 제1 평면(P1)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을 향하는 공간을 제1 공간(S12)라고 지칭하고,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의 반대쪽을 향하는 공간을 제2 공간(S1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31)가 제1 공간(S12) 및 제2 공간(S11)을 모두 점유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위날(12)은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내면(121)의 한쪽 모서리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면(121)은 제2 평면(P2)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을 향하는 공간을 제3 공간(S22)라고 지칭하고,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의 반대쪽을 향하는 공간을 제4 공간(S2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잡이(32)가 제3 공간(S22) 및 제4 공간(S21)을 모두 점유하고 있다.
보통 가위(1)에서는, 도 1c와 도 1d의 가위 부재의 가위날이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 이 가위날들이 실질적으로 거의 빈틈없이 맞물리기 때문에 상술한 제1 평면(P1)과 제2 평면(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제1 공간(S12)과 제4 공간(S21)은 동일한 공간이고, 제2 공간(S11)과 제3 공간(S22)는 서로 동일한 공간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위(1)가 닫히고 접점(40)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제1 손잡이(31) 중 제1 공간(S12)을 점유하는 부분이 제2 손잡이(32) 중 제4 공간(S21)을 점유하는 부분과 만나고, 또는 제1 손잡이(31) 중 제2 공간(S11)을 점유하는 부분이 제2 손잡이(32) 중 제3 공간(S22)을 점유하는 부분과 만나기 때문이다. 즉, 가위(1)의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가위(1)가 닫히는 순간이 되면 제1 손잡이(31)와 제2 손잡이(32)가 서로에게 걸릴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가위(1)를 닫힌 상태에서 여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힘을 주더라도,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계속 회전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즉, 제1 가위날(11)은 제1 공간(S12)을 점유하는데, 제1 가위날(11)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경우, 제1 가위날(11)이 결국 제2 손잡이(32) 중 제4 공간(S21)을 점유하는 부분에 의해 걸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2 가위날(12)은 제3 공간(S22)을 점유하는데, 제2 가위날(12)이 계속해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경우, 제2 가위날(12)이 결국 제1 손잡이(31) 중 제2 공간(S11)을 점유하는 부분에 의해 걸리게 되어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렇게 회전을 멈춘 상태가 도 1e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 1에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견과류의 내용물의 형태를 보존하면서 껍질만 파괴하기에 적합한 가위를 공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1)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1)가 닫혀있는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위(1)는 제1 가위날(11), 제1 가위날(11)의 일 단부(61)에 형성된 제1 손잡이(131), 제2 가위날(12), 제2 가위날(12)의 일 단부(62)에 형성된 제2 손잡이(132), 및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131)에는 제1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손잡이(132)에는 제2 돌출부(1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가위를 옆에서 본 모습이다.
도 2c 및 도 2d는 도 2b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제1 가위날(11)과 제1 손잡이(13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도 2d는 제2 가위날(12)과 제2 손잡이(132)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1 가위날(11)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을 포함한다. 제1 내면(111)의 한쪽 모서리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면(111)은 제1 평면(P1)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을 향하는 공간을 제1 공간(S12)라고 지칭하고,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의 반대쪽을 향하는 공간을 제2 공간(S1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131)가 제1 공간(S12)의 일부를 점유하고 있지만, 제2 공간(S11)은 점유하고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제2 가위날(12)은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내면(121)의 한쪽 모서리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면(121)은 제2 평면(P2)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을 향하는 공간을 제3 공간(S22)라고 지칭하고,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의 반대쪽을 향하는 공간을 제4 공간(S2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잡이(132)가 제3 공간(S22)의 일부를 점유하고 있지만, 제4 공간(S21)은 점유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손잡이(131)가 제2 공간(S11)은 점유하고 있지 않고, 제2 손잡이(132)가 제4 공간(S21)을 점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가위날(11)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더라도, 제1 가위날(11)이 제2 손잡이(132)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위날(12)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더라도, 제2 가위날(12)이 제1 손잡이(131)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2e는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상대적으로 약 θ°만큼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θ°는 180°보다 크다. 이 상태에서 제1 돌출부(141)와 제2 돌출부(142) 사이에 견과류를 넣고, 제1 가위날(11)을 계속하여 반시계방향(B)으로 돌리고, 제2 가위날(12)을 계속하여 시계방향(A)으로 돌리면 견과류의 껍질이 파괴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41)와 제2 돌출부(142) 사이에 형성된 공간(51)은 가위(1)의 제1 손잡이(131)와 제2 손잡이(132)의 모양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e와 같이 가위(1)를 견과류를 깨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51)을 필요한 만큼 크게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e의 경우에도 견과류를 파괴하기 위해 주는 힘을 잘 제어하지 못하면 견과류의 내용물이 함께 파괴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서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듯이, 제1 손잡이(131)와 제2 손잡이(13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더 나아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손잡이(131)가 필요에 따라 제2 공간(S11)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유할 수 있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제2 손잡이(132)가 필요에 따라 제4 공간(S21)을 선택적으로 점유하도록 하는 구조을 공개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손잡이(131) 및/또는 제2 손잡이(132)에 이러한 기능을 하는 버튼(91, 92)을 설치할 수 있는데, 버튼(91, 92)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도 2b와 도 2c에 도시한 도면에 대응되는데, 버튼(91, 92)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낸다. 오프 상태의 버튼(91)은 제2 공간(S11)의 일부를 점유하고, 오프 상태의 버튼(92)은 제4 공간(S21)의 일부를 점유하게 된다.
도 3b는 버튼(91, 92)이 온된 상태를 나타낸다. 온 상태의 버튼(91)은 제2 공간(S11)을 점유하지 않고, 온 상태의 버튼(92)은 제4 공간(S21)을 점유하지 않는다.
버튼(91, 92)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버튼(91, 92)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어느 시점에서 손잡이에 걸려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 3c 및 도 3d는 실제로 이러한 버튼(91, 92)의 구현 예를 나타낸 것인데, 본 고안의 범위가 이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c에서는 제2 손잡이(132)에 버튼(92, 192, 292)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버튼(92, 192, 292)은 탄성체에 의해 튀어나올 수 있는,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TV 전원 온/오프 버튼 중 누를 때 탄성이 느껴지는 버튼이 이와 같은 타임의 버튼이다. 버튼(92, 192, 292)을 손가락으로 한 번 누르면 튀어나고도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버튼(92, 192, 292)이 제2 손잡이(132) 속으로 다시 들어간다. 버튼(92, 192, 292)이 튀어나온 상태가 상술한 오프 상태이고, 버튼(92, 192, 292)이 제2 손잡이(132) 속으로 다시 들어간 상태가 상술한 온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d는 제2 손잡이(132)에 버튼(92, 192, 292)이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버튼(92, 192, 292)은 축(301)을 중심으로 돌릴 수 있는 형태이며, 버튼(92, 192, 292)의 한쪽에는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손잡이(132)에는 축(301)이 형성되어 있고, 버튼(92, 192, 292)의 중심에는 축(301)에 끼울 수 있는 통공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d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2 손잡이(132)와 버튼(92, 192, 292)을 서로 분리하여 제시하였지만, 통공부(302)를 축(301)에 결합하여 버튼(92, 192, 292)을 회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버튼(92, 192, 292)이 회전된 정도에 따라 돌출부(303)가 제1 공간(S12)의 일부를 점유하거나 또는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서는 제2 손잡이(132)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제1 손잡이(131)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버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제시한 버튼이 손잡이의 어느 부분에 형성되었는지에 따라 물건을 자르는 기능으로서의 가위의 성능과, 견과류의 껍질을 파괴하는 가위로서의 성능에 차이가 날 수 있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버튼(91, 92)이 위치(A1)에 있는 경우에, 이 버튼을 오프시키면, 가위가 회전하다가 어느 시점에 회전이 멈출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가위와 같이 물건을 자르는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e를 다시 참조하면, 버튼(91, 92)이 위치(A2)에 있는 경우에, 이 버튼을 오프시키면, 견과류의 껍질을 파괴하는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a 상태에서 도 2e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버튼(91, 92)을 온 상태로 바꾸어 제1 가위날(11), 제2 가위날(12), 제1 손잡이(131), 제2 손잡이(132)가 서로 걸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에 따르면, 도 2a와 같이 물건을 자르는 가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때에, 가위가 닫힌 상태에서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의 상대적인 각도를 0°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견과류의 껍질을 파괴할 때에는 도 2e와 같이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의 상대적인 각도가 180° 이상인 상태(도 2e의 θ°)에서 껍질을 파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e에 제시한 버튼의 위치(A1, A2)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버튼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 부재는, 제1 외면(112)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111)을 갖는 제1 가위날(11), 및 제1 가위날(11)의 일 단부(61)에 형성되어 있으며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91)을 갖는 제1 손잡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버튼(91)이 온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91)이 제1 내면(111)을 포함하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S12)만을 점유하며, 제1 버튼(91)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91)이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S11)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131)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는, 제1 외면(112)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111)을 갖는 제1 가위날(11); 제2 외면(122) 및 칼날이 형성된 제2 내면(121)을 갖는 제2 가위날(12); 및 제1 가위날(11)과 제2 가위날(12)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20)를 포함하며, 제1 가위날(11)의 일 단부(61)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91)을 갖는 제1 손잡이(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버튼(91)이 온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91)이 제1 내면(111)을 포함하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S12)만을 점유하며, 제1 버튼(91)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1 버튼(91)이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1 외면(112)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S11)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가위날(12)의 일 단부(62)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2 버튼(92)을 갖는 제2 손잡이(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버튼(92)이 온 상태일 때에는 제2 버튼(92)이 제2 내면(121)을 포함하는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 방향에 존재하는 제3 공간(S22)만을 점유하며, 제2 버튼(92)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2 버튼(92)이 제2 평면(P2)으로부터 제2 외면(122)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4 공간(S21)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내면(111)을 포함하는 제1 평면(P1)과 제2 내면(121)을 포함하는 제2 평면(P2)은 동일한 평면이며, 제1 공간(S12)과 제4 공간(S21)은 동일한 공간이고, 제2 공간(S11)과 제3 공간(S22)은 동일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131)의 바깥면과 제2 손잡이(132)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141, 1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1: 제1 가위날
12: 제2 가위날
20: 회전축 부재
91: 제1 버튼

Claims (6)

  1. 제1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을 갖는 제1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을 갖는 제1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견과류 까는 가위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견과류 까는 가위 부재.
  3. 제1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1 내면을 갖는 제1 가위날;
    제2 외면 및 칼날이 형성된 제2 내면을 갖는 제2 가위날; 및
    상기 제1 가위날과 상기 제2 가위날을 연결하는 회전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위날의 일 단부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1 버튼을 갖는 제1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1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1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2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견과류 까는 가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위날의 일 단부에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제2 버튼을 갖는 제2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버튼이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면 방향에 존재하는 제3 공간만을 점유하며, 상기 제2 버튼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면 방향의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제4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견과류 까는 가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상기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은 동일한 평면이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4 공간은 동일한 공간이고,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은 동일한 공간인, 견과류 까는 가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의 바깥면과 상기 제2 손잡이의 바깥면에는 견과류의 껍질을 깨는데 사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견과류 까는 가위.
KR2020100011674U 2010-11-12 2010-11-12 견과류 까는 가위 KR200466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4U KR200466357Y1 (ko) 2010-11-12 2010-11-12 견과류 까는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4U KR200466357Y1 (ko) 2010-11-12 2010-11-12 견과류 까는 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5U KR20120003535U (ko) 2012-05-22
KR200466357Y1 true KR200466357Y1 (ko) 2013-04-15

Family

ID=4661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74U KR200466357Y1 (ko) 2010-11-12 2010-11-12 견과류 까는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5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532A (ja) * 1992-05-26 1993-12-03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鋏の刀身構造
KR960003681U (ko) * 1994-07-06 1996-02-14 호도까개
JP2008006522A (ja) 2006-06-28 2008-01-17 Yaoki Kogyo Kk 手動利器における両把持柄の開閉動機構
KR20090001950U (ko) * 2007-08-27 2009-03-04 강창균 견과류의 껍질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532A (ja) * 1992-05-26 1993-12-03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鋏の刀身構造
KR960003681U (ko) * 1994-07-06 1996-02-14 호도까개
JP2008006522A (ja) 2006-06-28 2008-01-17 Yaoki Kogyo Kk 手動利器における両把持柄の開閉動機構
KR20090001950U (ko) * 2007-08-27 2009-03-04 강창균 견과류의 껍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5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810B2 (en) Gardening scissor
KR200472987Y1 (ko) 과실삽입부를 포함하는 적과 가위
US8832945B2 (en) Safety device for shears
JP2013240399A (ja)
CN105405694B (zh) 断路器与隔离开关的联锁装置
KR200466357Y1 (ko) 견과류 까는 가위
US11000302B2 (en) Grasping treatment instrument
CN112739508A (zh) 手动操作的剪切工具
GB2344783A (en) Gardening shears
US10674849B2 (en) Mechanical utensil
JP6439169B2 (ja) 超強力ハサミ
US20100257740A1 (en) Nail clipper
WO2017221307A1 (ja) 処置具
JP5823460B2 (ja) ハサミ型切断工具
JP2820600B2 (ja) 理容鋏
KR102170148B1 (ko) 선재용 커터
CN203843857U (zh) 一种新型制式折叠刀
CN103934835A (zh) 一种新型制式折叠刀
KR200245658Y1 (ko) 믹서기의 칼날 보호커버
EP3918159B1 (en) Key combination element in key blank and key
JP7168839B2 (ja) はさみ鉗子
JP7111649B2 (ja) 果菜分離方法及びその分離手段
JP2011161118A (ja) R面取り用ニッパー
JPH0713644Y2 (ja)
WO2007029931A1 (en) The scissor for kit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